승환이 2020.05.27 08:14

운영자님, 안녕하세요

저는 2005년 9월 1일 회사에 입사했었습니다. 당시 직원수는 50명 정도였었고

연월차 휴가를 근로기준법 개정 전 기준을 따라 매년 월차 12개, 년차 10개로 시작하여

연차는 매년 1개씩 추가되는 기준을 적용하고 있었습니다.

당시 기준대로라면 2005.9.1 ~ 2005.12.31 근무하면 2006.1.1에 연차와 월차가 몇개씩 발생하는지요?

연차는 발생하면 발생시점에서 1년간 사용기간이 있고 미사용시 2007.1월 급여에 지급하는데

월차의 경우도 1년간 사용기간이 있고 2007. 1월 급여에 지급하는지 아니면 월차는 사용기간이 없고

2006.1월 급여에 지급받아야 하는지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서울
회사 업종 도소매업
상시근로자수 50~9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있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20.05.28 11:21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지금은 폐지된 월차휴가의 경우 휴가청구권은 연차휴가와 마찬가지로 1년이 지나면 소멸하고 미사용수당을 지급했습니다. 다만, 2006년에 미지급된 임금이 있더라도 임금채권의 소멸시효는 3년이므로 지급거부해도 위법하지는 않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근로계약 연봉계약서의 기본연봉에서 항목별 계산방법이 없다면 이부분은 ... 1 2018.02.12 1350
휴일·휴가 1년 미만 근무자 퇴직시 연차보상 지급 1 2021.02.27 1350
임금·퇴직금 퇴사조율이 잘 안됩니다. 1 2018.06.07 1435
» 기타 연차, 월차 발생은 몇개입니까? 1 2020.05.27 1453
임금·퇴직금 퇴직금 문의 드립니다. 2 2014.01.24 1453
임금·퇴직금 임금 체불외 근로기준위반사항에 처벌여부 1 2016.04.11 1510
휴일·휴가 법정공휴일 근무시 대체휴일 관련하여 질문합니다! 1 2023.07.26 1544
근로계약 현장실습기간 종료 후 자발적 퇴사 문의드립니다 ㅠㅠ 1 2018.12.19 1584
근로시간 근로기준법 제 48조 1 2021.06.08 1604
휴일·휴가 2018년 근로기준법 개정 소급적용 기간 문의 1 2019.10.16 1652
휴일·휴가 회계년도 기준(1월 1일) 18년도 연차 계산 2018.06.22 1801
기타 취업규칙 위반 처벌가능한지?, 노사협의회 구성 1 2020.10.06 1921
임금·퇴직금 근로기준법 63조 적용의 제외 범위 1 2021.09.01 2001
근로계약 당일퇴사 의사 밝힌 후 욕설 협박 공갈 및 고소 1 2017.05.12 2006
임금·퇴직금 2017년도에 연봉제에서 시급제로 전환 1 2017.03.17 2064
임금·퇴직금 체불임금 소멸시효 및 노동부 진정과 민사소송 1 2019.07.28 2070
임금·퇴직금 네트 급여 중간 입사자 일할계산 문의 1 2021.08.27 2130
휴일·휴가 2년 계약직 연차휴가 41개 계약, 현재 변경된 근로기준법 행정해... 2 2022.05.09 2141
휴일·휴가 연차수당이 연봉에 포함한 사실을 이제 알게되었습니다. 1 2014.01.15 2186
고용보험 야근 자진퇴사 실업급여 1 2022.11.06 219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