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연구개발과제 PM을 맡았다가 퇴직원을 제출하였는데, 회사측의 인력부족 사정에 의해 업무인수자가 없고 (연구내용 전달) 이에 따라 인수인계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 회사측에서 이것을 이유로 최종근무월 급여와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겠다고 통보하여 온 바 생계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법원 등에 신고할 경우, 급여와 퇴직금을 신속히 지급받을 수 있을지요?

물론 업무인수인계도 중요하지만, 본인의 급여와 별개문제라고 봅니다. 
인수자가 지정되면 몇번이라도 와서 계속 업무지속을 위한 일을 하겠다고 약속을 하였습니다.
인수받을자가 없어서 업무인수가 안되는 것은 회사사정이라고 봅니다만....

혜안을 주십시오.
항상 고맙습니다.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대전
회사 업종 과학기술 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5~1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20.07.01 17:14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퇴직의 의사표시는 노동관계법에 명시된 바 없으므로 근로계약이나 취업규칙에 따르되, 이마저도 없다면 민법에 따라 근로계약 해지통고 후 1개월 가량이 지나면 퇴직의 효력이 발생합니다.

    민법 660조
    제660조【기간의 약정이 없는 고용의 해지통고】
    ① 고용기간의 약정이 없는 때에는 당사자는 언제든지 계약해지의 통고를 할 수 있다.② 전항의 경우에는 상대방이 해지의 통고를 받은 날로부터 1월이 경과하면 해지의 효력이 생긴다.③ 기간으로 보수를 정한 때에는 상대방이 해지의 통고를 받은 당기후의 일기를 경과함으로써 해지의 효력이 생긴다.

    따라서 귀하의 경우도 퇴직원을 제출하였으나 사용자가 거부한다고 해도 1개월 가량이 지나면 퇴직의 효력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와는 별개로 귀하께서 출근하셔서 근로를 제공하셨다면 근로제공한 기간만큼 당연히 임금을 지급해야 하고 이를 위반할 경우 임금체불에 해당하게 되어 사용자는 민형사상 책임을 져야 할 것 입니다.

    따라서 1개월 가량 최대한 인수인계를 위해 노력하시되, 퇴사 후 14일 이내에 임금 등 금품을 지급하지 않는다면 사업장 관할 고용노동부 지청에 임금체불진정을 제기하셔서 권리를 구제받으시면 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퇴직금 지급 관련 궁금증 1 2021.09.01 388
임금·퇴직금 1년미만퇴직금, 야근수당 문의합니다 1 2021.06.16 367
임금·퇴직금 사업장 폐업 후 신규사업장 이직 퇴직금 미지급 1 2021.05.24 1240
임금·퇴직금 사업주 변경에 의한 퇴직금 문제 1 2021.04.29 1055
임금·퇴직금 입사후 정년이 되어 촉탁으로 재채용된 직원의 퇴직금 관련 문의 1 2021.04.09 201
임금·퇴직금 지속적인 월급 미납 / 퇴직금 지급 불안정 / 실업급여 2 2021.03.10 2763
» 임금·퇴직금 인수인계가 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퇴직월급여와 퇴직금을 지급하... 1 2020.06.30 1236
근로계약 제조업 현장직근로자인데 프리랜서 계약 가능한가요? 1 2020.06.01 1066
임금·퇴직금 1년이상 퇴직일자를 한달 당겨서 퇴직처리 시킨 경우.. 1 2020.04.01 332
임금·퇴직금 퇴사일 기준 효력 관련 사항, 인수인계 원하는 수준까지 퇴직금 ... 2 2019.10.16 954
임금·퇴직금 퇴직금 미지급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1 2019.07.08 314
임금·퇴직금 근무기간 1년 기준 1 2019.06.25 1935
근로계약 회사에서 권고사직을 한뒤 여전히 퇴사처리를 하지않고 권고사직... 1 2019.06.17 2766
임금·퇴직금 상여금을 퇴직금으로 대신하는게 말이 되는 건가요? 1 2019.04.17 518
임금·퇴직금 퇴직금 받을 수 있을까요 1 2019.02.20 200
임금·퇴직금 1년 미만 퇴직금, 지급 약속 법적 효력 여부? 1 2019.02.07 2196
임금·퇴직금 정년퇴직 이후 1년간 비정규직을 근무하였는데 재직 중 본인 학자... 1 2018.12.28 560
임금·퇴직금 퇴직금 미지급 처벌 1 2018.12.09 1788
임금·퇴직금 퇴직연금 미가입사업장의 퇴직금 지급시 과태료나 행정처분 2018.09.28 3316
임금·퇴직금 근무기간 369일 후 퇴사를 하였는데 연차 사용과 무급휴가로 인하... 1 2018.07.10 71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