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연구개발과제 PM을 맡았다가 퇴직원을 제출하였는데, 회사측의 인력부족 사정에 의해 업무인수자가 없고 (연구내용 전달) 이에 따라 인수인계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 회사측에서 이것을 이유로 최종근무월 급여와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겠다고 통보하여 온 바 생계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법원 등에 신고할 경우, 급여와 퇴직금을 신속히 지급받을 수 있을지요?

물론 업무인수인계도 중요하지만, 본인의 급여와 별개문제라고 봅니다. 
인수자가 지정되면 몇번이라도 와서 계속 업무지속을 위한 일을 하겠다고 약속을 하였습니다.
인수받을자가 없어서 업무인수가 안되는 것은 회사사정이라고 봅니다만....

혜안을 주십시오.
항상 고맙습니다.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대전
회사 업종 과학기술 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5~1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20.07.01 17:14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퇴직의 의사표시는 노동관계법에 명시된 바 없으므로 근로계약이나 취업규칙에 따르되, 이마저도 없다면 민법에 따라 근로계약 해지통고 후 1개월 가량이 지나면 퇴직의 효력이 발생합니다.

    민법 660조
    제660조【기간의 약정이 없는 고용의 해지통고】
    ① 고용기간의 약정이 없는 때에는 당사자는 언제든지 계약해지의 통고를 할 수 있다.② 전항의 경우에는 상대방이 해지의 통고를 받은 날로부터 1월이 경과하면 해지의 효력이 생긴다.③ 기간으로 보수를 정한 때에는 상대방이 해지의 통고를 받은 당기후의 일기를 경과함으로써 해지의 효력이 생긴다.

    따라서 귀하의 경우도 퇴직원을 제출하였으나 사용자가 거부한다고 해도 1개월 가량이 지나면 퇴직의 효력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와는 별개로 귀하께서 출근하셔서 근로를 제공하셨다면 근로제공한 기간만큼 당연히 임금을 지급해야 하고 이를 위반할 경우 임금체불에 해당하게 되어 사용자는 민형사상 책임을 져야 할 것 입니다.

    따라서 1개월 가량 최대한 인수인계를 위해 노력하시되, 퇴사 후 14일 이내에 임금 등 금품을 지급하지 않는다면 사업장 관할 고용노동부 지청에 임금체불진정을 제기하셔서 권리를 구제받으시면 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 퇴직금 중간 정산 문의 1 2020.07.17 376
고용보험 실업급여 인정 사유 1 2020.07.16 692
임금·퇴직 입사시에 퇴직금이 없다했었는데 받을 수 있나요 1 2020.07.15 194
임금·퇴직 평균임금 계산 퇴직금 정산 후 상당기간 경과 후 통상임금 계산 ... 1 2020.07.15 730
임금·퇴직 퇴직급여제도 설정 1 2020.07.14 140
임금·퇴직 퇴직연금 관련 1 2020.07.14 123
임금·퇴직 퇴직연금 실수령액이 적은것 같아요.. 1 2020.07.13 3506
임금·퇴직 연차수당의 퇴직금 산입(포함) 여부 추가문의드립니다.(1년이상 2... 1 2020.07.13 2196
근로계약 근로계약관련 문의입니다. 1 2020.07.12 164
근로계약 인수인계 기간 / 퇴직금 삭감 / 부당 수급 신고 여부 1 2020.07.12 721
임금·퇴직 코로나로 인한 퇴직금 영향 여부 1 2020.07.12 2165
임금·퇴직 dc형 퇴직급여 부담금 2020.07.10 341
임금·퇴직 퇴직금 체불. 퇴직급 지급이 합의된 상태로 퇴직 후, 갑자기 퇴직... 1 2020.07.10 512
임금·퇴직 퇴직금 및 연차수당 정산 1 2020.07.09 499
임금·퇴직 월급 밀린 것 관련 실업급여, 퇴직금 등 여러 문의 1 2020.07.08 1110
임금·퇴직 연차수당의 퇴직금 산입(포함) 여부 문의드립니다. 1 2020.07.08 755
임금·퇴직 중도 퇴사 후 지급된 월급에 관한 문의 1 2020.07.07 825
임금·퇴직 퇴직금 평균임금으로 계산되어 통상임금으로 재정산할 경우(통상... 1 2020.07.07 1129
임금·퇴직 통상임금 퇴직금에 대한 문의 1 2020.07.06 260
임금·퇴직 사장이 급여명세서 임의변경 시 위법문의 1 2020.07.01 677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172 Next
/ 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