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2.01
Extra Form
행정해석 번호 근기 68207-2328
행정해석 일자 2000.8.3

연봉계약기간의 만료가 근로관계 종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근기 68207-2328, 2000.8.3.)

질의

A사는 ’99.8.1.자로 2급 이상 간부사원에 대해 연봉제를 실시하여 위 간부사원들은 ’99.7.31자로 퇴직금 중간정산을 받고 ’99.8.1.자로 신규채용하는 고용형태가 되었음 (연봉계약기간은 ’99.8.1.~2000.7.31.까지 1년간임)

위 경우에서 회사경영방침 수행정도가 미흡하고 직무능력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되는 연봉직 사원의 계약기간 종료 시 재계약하지 않는 것이 적법한지 여부

회시 답변

귀 질의내용이 불분명하여 정확한 판단이 곤란하나 구체적인 사실관계에 있어서

- 귀사는 기존에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2급 이상 간부사원에 대하여 퇴직금 중간정산을 실시하고, 연봉제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추정됨.

귀사가 퇴직금 중간정산을 실시하였다면 근로기준법 제34조제3항[현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제8조]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 경우 근로자의 퇴직을 전제로 한 것이 아닌 것으로 사료되며,

- 귀사의 경우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하에서 2급 이상 간부사원에 대해 월급제에서 연봉제로 급여지급형태를 변경한 것으로 볼 수 있음.

- 따라서 귀사의 경우 연봉계약기간의 만료가 근로관계 종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없음.

- 아울러 근로자를 해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근로기준법 제30조[현 근로기준법 제23조]에 규정한 해고제한규정이 적용됨.

(근기 68207-2328, 2000.8.3.)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해고ㆍ징계ㆍ감봉 연봉계약 종료와 동시에 근로계약이 해지되는지
근로계약・변경・사직 사직서 제출 시 사직의 효력
» 해고ㆍ징계ㆍ감봉 연봉계약기간의 만료가 근로관계 종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해고ㆍ징계ㆍ감봉 파견계약의 중도해지를 근로계약종료의 사유로 정하는 것이 가능한지, 또 이를 이유로 해고할 수 있는지
해고 예고 계약기간 종료시 별도의 해고예고를 해야 하는지
정리해고ㆍ고용승계 위탁사업 일부폐지에 따른 경영상해고 요건 및 절차
정리해고ㆍ고용승계 위탁업체 변경 시 고용승계와 근로자의 기존 경력 인정 여부
재직기간 무단결근 기간이 계속근로기간에 포함되는지
IRP 퇴직연금 폐지에 따라 IRP로 지급된 퇴직급여를 중도인출 부분해지 할수 있는지
IRP IRP계좌의 일부 해지 가능여부
해고ㆍ징계ㆍ감봉 기간제 근로자를 경영상 사정(업무량 조정, 통폐합, 사업폐지 등)으로 계약기간 만료 전에 계약해지 할 수 ...
해고ㆍ징계ㆍ감봉 당연퇴직 또는 계약 자동해지 조항에 따라 퇴직처리할 때, 해고 및 해고예고 여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