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사건 2007도4171 근로기준법위반
판결법원 대법원
판결선고 2007.8.23.

월급이나 일당 속에 퇴직금을 포함하여 지급하는 것은 무효이고, 퇴직금 사전포기 약정은 무효이다.

사건

대법원 2007. 8. 23. 선고 2007도4171 판결 [근로기준법위반] 

판시사항

[1] 임금지급의무의 존부와 범위에 관하여 다툴 만한 근거가 있는 경우, 구 근로기준법 제112조, 제36조 위반죄의 고의 인정 여부(소극)

[2] 퇴직금 명목의 돈을 월급 등에 포함하여 지급한 경우 퇴직금지급으로서 유효한지 여부(무효) 및 위와 같은 방식으로 퇴직금을 지급받기로 한 약정의 효력(무효)

[3] 퇴직금을 월급 등에 포함하여 지급하는 약정을 이유로 사용자가 퇴직근로자에게 퇴직금지급을 거절한 경우, 구 근로기준법 제112조, 제36조 위반죄의 고의 인정 여부(적극)

판결요지

[1] 임금지급의무의 존부 및 범위에 관하여 다툴 만한 근거가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임금을 지급하지 아니한 데에 상당한 이유가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어서 근로기준법 제112조, 제36조 소정의 임금 등의 기일 내 지급의무 위반죄에 관한 고의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

[2] 퇴직금지급청구권은 퇴직이라는 근로관계의 종료를 요건으로 하여 비로소 발생하는 것으로 근로계약이 존속하는 한 퇴직금지급의무는 발생할 여지가 없으므로 매월 지급받은 월급이나 매일 지급받는 일당 속에 퇴직금이란 명목으로 일정한 금원을 지급하였다고 하여도 그것은 근로기준법 제34조에서 정하는 퇴직금의 지급으로서의 효력은 없을 뿐만 아니라, 그와 같이 매월의 월급이나 매일의 일당 속에 퇴직금을 포함시켜 지급받기로 하는 약정은 최종 퇴직시 발생하는 퇴직금청구권을 사전에 포기하는 것으로서 강행법규인 근로기준법 제34조에 위반되어 무효이다.

[3] 사용자가 사법상의 효력이 없는 ‘매월의 월급이나 매일의 일당 속에 퇴직금을 포함시켜 지급한다’는 내용의 약정을 내세워 퇴직한 근로자에 대한 퇴직금의 지급을 거절하는 경우, 이를 퇴직금지급의무의 존부에 관하여 다툴 만한 근거가 있어 사용자가 퇴직금을 지급하지 아니한 데에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라고 볼 수 없고, 이러한 사용자에게 근로기준법 제112조, 제36조 소정의 임금 등의 기일 내 지급의무 위반죄에 관한 고의가 없다고 할 수는 없다.


관련 언론보도

“월급속 퇴직금 지급은 퇴직금 효력 없어”

문화일보 2007.08.27.

퇴직금을 월급이나 일당 속에 포함시켜 지급받기로 근로자와 사용자 간 약정을 맺었다고 하더라도 퇴직 시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은 위법이라는 대법원의 판결이 나왔다.

전북 전주에서 종합병원을 운영하는 윤모(여·52)씨는 2002년 3월부터 이 병원의 진료과장으로 근무하다가 2005년 10월 퇴직한 이모씨에게 퇴직금 1400여만원을 지급하지 않은 근로기준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의해 기소됐다. 하지만 윤씨는 이씨와 임금 약정을 맺을 때 매달 월급에 퇴직금을 포함시켜 미리 지급기로 하는 연봉제 약정을 맺었고, 이를 모두 지급했기 때문에 더 이상 퇴직금 지급 의무가 없다고 주장했다.

원심 법원도 “중소병원 관행상 진료과장의 경우 퇴직금을 포함해 월급을 지급하는 형태로 운영됐고, 이씨에게 지급된 실급여가 급여대장상 지급액보다 훨씬 많았다”며 윤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그러나 대법원 1부(주심 고현철 대법관)는 27일 “월급이나 일당 속에 퇴직금을 포함시켜 지급받기로 한 약정은 퇴직 시 발생하는 퇴직금청구권을 사전에 포기하는 것으로써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무효”라며 윤씨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깨고 사건을 전주지법으로 돌려보냈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퇴직금지급청구권은 퇴직이라는 근로관계의 종료를 요건으로 할 때 비로소 발생하는 것으로 근로계약이 계속되는 한 퇴직금 지급 의무는 발생할 여지가 없다”며 “매월 지급받은 월급이나 매일 지급받는 일당 속에 퇴직금 명목으로 일정 금액을 지급했다고 해도 근로기준법 34조에서 정하는 퇴직금 지급으로서의 효력이 없다”고 밝혔다.


관련 정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근로기준 연차휴가를 토요휴무제로 대체하려면 반드시 근로자대표와의 서면합의가 필요하다 file
근로기준 영리로 타인의 취업에 개입하는 행위의 의미
근로기준 영업비밀보호 필요가 인정되면 사전 전직금지약정이 없더라도 전직금지를 청구할 수 있다.
근로기준 영업비밀의 의미와 그 요건
근로기준 영업양도의 의미 및 영업의 포괄적 양도와 고용계약의 승계 여부
근로기준 영업의 전부 또는 일부양도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해당 근로자들의 근로관계가 양수하는 기업에 승계된다
근로기준 예산편성범위를 초과하였더라도 실제로 초과근무한 시간에 대한 임금을 지급해야
근로기준 외국인 근로자에게도 근로기준법과 최저임금법이 적용된다.
근로기준 용역업체 변경시 근로자에게 고용승계에 대한 기대권이 인정되는지 판단하는 방법 file
산재보상 원청 사업주는 하도급 근로자에 대해서도 산업보건안전법상 책임이 있다
근로기준 원청회사도 부당노동행위 구제명령의 시정주체가 될 수 있다.
» 근로기준 월급,일당 속에 퇴직금을 포함하는 것은 무효이고, 퇴직금 사전포기 약정도 무효이다.
근로기준 월급근로자로서 6개월 미만자 해고예고 적용예외는 위헌(2014헌바3) file
근로기준 위법한 쟁의기간은 평균임금 산정대상기간에서 제외되는 기간이 아니다
근로기준 위임계약을 맺고 채권추심업무로 성과수수료만을 받는 자가 근로자가 아니라고 본 사례
근로기준 위탁교육 후의 의무재직기간 근무 불이행시 그 급여를 반환토록 한 약정의 효력
근로기준 위탁판매원(야쿠르트 아주머니)는 근로자가 아니다.
근로기준 의도적으로 평균임금이 높아진 경우 그 기간을 뺀 그 직전 3개월로 평균임금을 계산한다
근로기준 의무재직기간 근무 불이행시 파견된 해외 회사로부터 지급받은 금품을 반환하기로 한 약정의 효력
근로기준 이메일 해고통지는 서면에 의한 해고통지가 아니다
근로기준 이미 발생한 임금채권을 조합원 동의나 수권없이 노조가 반납(반환)할 수 없다.
근로기준 이미 지급청구권이 발생한 임금을 단체협약으로 포기할 수 없다.
근로기준 이사 등에게 지급하는 퇴직연금도 압류금지채권에 해당한다
근로기준 이사의 퇴직금을 이사회의 결의가 없었음을 이유로 지급거절할 수 없다
근로기준 인사규정에 의한 명령휴직의 효력을 판단하는 기준
근로기준 인사규정에서 당연퇴직, 징계면직, 직권면직을 규정한 것은 유효하다
근로기준 인사규정의 징계시효기간에 관한 규정의 취지와 그 기간의 기산점
근로기준 인사처분에 대해 노사가 사전합의토록 했더라도 사전합의 없는 인사처분이 유효한 경우
근로기준 인센티브(성과급)를 지급규정에 따라 정기적으로 받아왔다면 평균임금에 포함된다.
근로기준 일방적인 취업규칙 변경이 근로자 동의없이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 및 합리성 유무의 판단기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