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ty0711 2020.10.26 11:04

제가 지금 회사에 근무한지는 4년정도 되었습니다.
처음 입사할 때 고지 받은 업무는 단순 사무직 및 창고 재고관리였습니다
하지만 점점 사무직에서 관리자 역할의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고
처음 고지 받은 업무와는 다른 환경에 부당하다고 느꼈습니다.
왜냐하면 그에 맞는 급여 인상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2년쯤 됐을 무렵 퇴직하겠다고했지만 인수인계받던 사람이 업무가 많다며 중간에 나오지 않았고
사장님 건강상의 이유로 수술해야 했던 여러가지 상황이 있어서 조금 더 하기로 했습니다.
그렇게 물류창고에서 저 혼자 해결해야 하는 일들이 늘어났고 이제는 사무직이 아닌 그냥 관리자 입장이었습니다
그리고 근로계약서 1년짜리를 쓰면서 급여를 조금 올려줬고 올해 6월말에 계약이 만료되었습니다.
계약만료를 고지했고 그만 둘꺼라고 했습니다.
제가 원했던 일도 아니었고 사무직 정도 수준되는 급여를 받으면서 사장님이 하던 업무까지 제가 다 처리해야 하는게
너무 스트레스였습니다.
일년에 제가 사용할 수 있는 휴가를 여름휴가 단 2틀뿐이었고 4년차임에도 불고하고 연차 월차 같은 건 전혀 없었습니다.
6월부터 사무실에 온다던 사장님은 4달이 넘도록 시간만 미루고 오지않고 제대로된 이야기조차 나누지 못했고 
나오지 않으니 재계약 연봉협상도 없는 상태에서 업무를 하고있는 상태입니다.
물론, 몸이 좋지않아 병원에 다니면서 건강을 보살피고 있다지만 건강상의 이유가 있으면 그에 합당한 조치를 해야 하지 않나요? 폐업을 하든가 다른 사람에게 넘기든가... 근데 저한테 일거리를 다 미루고 당연시 하는게 2년이 다 되어갑니다.
이미 올해 여름부터 퇴사를 고지해왔지만 자신의 입장만 내세우면서 처우개선도 없이 미루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퇴사를  하게 되면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한가요?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경기
회사 업종 도소매업
상시근로자수 1~4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20.10.28 17:45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 우선 귀하의 업무내용이 근로계약상 약정한 업무의 범위를 벗어나 있다는 점을 입증할수 있어야 하는데 포괄적으로 일이 많다는 주장만으로는 자발적 이직의 경우 실업인정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됩니다.

    2) 귀하의 건강상태로는 현재 담당하고 있는 직무를 수행기 어렵다는 의사의 소견과 그로 인해 해당 사업장에서 휴직등을 부여할 수 없다는 확인이 가능하다면 이 경우 귀하가 자발적으로 이직하더라도 실업인정이 가능합니다.(고용보험법 시행규칙 제 101조[별표2] 9항)

    3) 따라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귀하의 건강상황에 대해 현재직무를 설명하여 업무 수행이 어렵다는 진단을 먼저 받으십시오. 보통 3개월 이상(13주) 치료가 필요하여 일상생활이 어렵다는 건강상의 이유라면 실업인정 가능성이 높으며 2달 이내의 치료가 요구되는 질병의 경우 의사의 소견등을 참고하여 결정합니다. 이후 사업주에게 휴직신청을 하시되, 사업주가 이를 거부하는 내용등의 발언이나 문제메시지를 녹취하거나 갈무리 하여 두었다가 건강상의 이유로 사직 의사를 밝힌후 관할 고용센터에서 실업인정을 신청하시기 방법으로 대응하시기 바랍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최저시급 가정시 수당및 급여문의. 1 2020.11.09 241
기타 부정맥으로인한 수술,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1 2020.11.09 710
여성 1년 계약직 후 정규직전환으로 입사하였다가 출산휴가로 계약직종료 1 2020.11.09 970
고용보험 배우자 이직으로 인한 실업급여 문의드려요. 1 2020.11.09 904
기타 최대근로시간 초과로 인한 퇴직 실업급여 1 2020.11.09 162
임금·퇴직금 월요일 무단퇴사자 급여문의 드립니다. 1 2020.11.09 308
기타 실업급여 문의드립니다 1 2020.11.06 546
근로계약 계약만료로 인한 실업급여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1 2020.11.04 12956
근로시간 휴업수당 임금체불 실업급여 문의드립니다 2020.11.04 622
임금·퇴직금 조기출근하여 업무준비에 따른 수당을 지급해야되는지 1 2020.11.04 702
해고·징계 해고시 실업급여 질문입니다. 1 2020.11.03 921
임금·퇴직금 근로계약서 미작성 & 4개월 임금 미지급 1 2020.11.02 356
근로계약 휴업수당 인금체불로 인한 실업급여 신청 1 2020.11.02 762
임금·퇴직금 실업급여 받을 수 있을까요? 1 2020.11.02 258
임금·퇴직금 고용보험 허위신고, 퇴직연금 미지급 등에 관하여 질문 있습니다. 1 2020.11.01 475
고용보험 4년 다닌 회사 자발적퇴사 후 1달이상 단기계약직 계약만료 실업... 1 2020.10.31 14240
근로계약 재계약 미시행일 경우 실업급여 질문드립니다. 1 2020.10.30 1053
임금·퇴직금 결혼후 거주지 변경에 따른 실업급여 자격조건 문의 1 2020.10.29 487
임금·퇴직금 급여 계산 문의드립니다. 1 2020.10.29 300
고용보험 실업급여 관련 문의입니다 1 2020.10.29 253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145 Next
/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