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행정해석 번호 근로개선정책과-5758
행정해석 일자 2014.10.20

'계약직규정'을 적용받던 기간제근로자가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되었다면 일반직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취업규칙'이 적용된다.

(근로개선정책과-5758, 2014.10.20.)

질의

당사의 임금제도는 연봉제로서 전 직원이 연봉계약서 또는 근로계약서를 쓰지만 근로계약서에는 일반적인 임금 및 근로조건만 명시되어 있고 나머지는 취업규칙에 따르도록 되어 있음.

- 또한 취업규칙은 일반 직원들에게 적용되는 '취업규정'과 '계약인력관리지침' 2종류가 있음. 특히 일반 직원들에게 적용되는 취업규정의 경우 적용대상을 '직원'이라고 할 뿐 특별한 제한 사항이 없으며, '계약인력관리지침'은 계약직을 대상으로 할 뿐 무기계약직까지 확대 적용한다는 명시적인 문구는 없음.

- 그렇다면, 2008년 이후에 계약직으로 채용되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된 8명의 직원의 근로조건과 복지사항 등은 '취업규정'과 '계약인력관리지침' 중 어떤 규정을 적용하여야 하는지?

회사가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된 직원들에 대하여 새로운 직군에 적용하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적용을 조절 또는 확대하는 조치 없이 '계약인력관리지침'을 적용하고 있음.

- 무기계약 직원들이 사측에 일반 취업규칙 규정에 규정된 복리후생을 청구할 수 있는지?

회시 답변

하나의 사업장에도 직종이나 업무의 특수성 등 경영상 필요에 의하여 근로자를 집단별로 구분하여 근로조건을 달리하거나 별도의 취업규칙을 작성할 수 있음 (대법원 1992.02.28. 선고 91다30828).

귀사의 취업규칙은 일반근로자에 적용되는 취업규정과 기한을 정하여 한시적으로 고용된 인력에게 적용되는 계약인력 관리지침 두 종류가 존재한다고 판단됨.

- 귀사의 취업규정은 일반 직원에게 적용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계약인력 관리지침은 기한을 정하여 한시적으로 고용된 인력에 적용된다고 규정하고 있어 무기계약직근로자의 근로조건에 관해서는 원칙적으로 취업규정이 적용될 것으로 사료됨.

(근로개선정책과-5758, 2014.10.20.)


관련 법원판례


관련 노동부 행정해석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재직기간 재직중 특별채용절차를 거쳐 재채용된 경우라도 계속근로관계가 인정되는 경우
재직기간 재직중 중간정산이 있는 무기계약직 근로자의 퇴직금 지급을 위한 계속근로기간 산정 관련
기타 기간제법 시행 이전 근로계약을 반복ㆍ갱신한 경우 계약기간 만료로 고용관계를 종료시킬 수 있는지 여부
» 취업규칙 작성·신고 '계약직규정'을 적용받던 기간제근로자가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되었다면 일반직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취업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