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스타 2021.09.13 17:28

저는 용역 파견근로자입니다

제가 현재 소속되어 있는 본사를 A라 하고, 인력 요청으로 계약한 회사를 B라 하고, 제가 파견되어 근무하고 있는 회사를 C라고 하겠습니다.

A라는 소속이 되어 B라는 회사와 계약을 하여 C라는 회사에 다니고 있다가

현재는 사직서를 쓰고 퇴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퇴사가 딱 1년을 채우고 10일 정도 더 일을 하고 퇴사를 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원래 A는 연차휴가가 5일정도였지만, 파견회사인 C회사에서 연차가 15일 주어져서 그 연차대로 하기로 하였고

1년이라는 기간동안 연차를 사용하였습니다.

그리고 제가 다닌 날로부터 연차를 적용하기로 정하였습니다.

(계약서에는 따로 연차에 대한 언급은 없습니다.)

그런데 1년을 채우고 나서도 유급휴가가 적용이 되어 1년이 넘은 시점에서 남은 연차를 사용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인가요?

만약에 부분을 A, B, C라는 회사에게 전부 이야기를 하였을때 아무런 문제가 없을까요?

만약에 쓰지말라고 하였을때는 유급휴가에 대한 것을 금전적으로 받을 수가 있는 것인가요?

너무나도 궁금합니다.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서울
회사 업종 시설관리 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1~4인
본인 직무 직종 기타
노동조합 없음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21.09.28 16:48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1)파견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연차유급휴가 지급의무에 관해 규정한 근로기준법 제 60조는 파견사업주, 즉 귀하를 실제 채용하여 임금을 지급하는 등 고용관계를 맺고 있는 사업주가 사용자 책임을 지도록 되어 있습니다. 

     

    2) 따라서 귀하가 A라는 업체와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있다고 한다면 어떤 사유에서 C라는 회사에서 귀하에 대해 연차휴가를 부여하는지 알수 없으나 A사업주가 귀하에 대해 1년간 소정근로일을 개근할 경우 근로기준법에 따른 연차휴가를 부여했어야 하는 것입니다. 

     

    근로기준법상 연차휴가 부여 의무가 없는 C사업장에서 귀하에게 연차휴가를 부여하였다면 이는 파견사업주인 A와의 계약에 따른 것일 수도 있고, 내부적으로 파견근로자에 대한 근로조건으로 부여하는 것일수도 있는 만큼 요건에 따라 발생한 미사용 연차휴가를 1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미사용 연차휴가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문제될 것은 없을 것입니다. 다만 근로기준법 상 연차휴가 부여의무가 없는 C사업장에서 어떤 사유로 연차휴가를 귀하에게 부여했는지 알기 어려우나, 별도의 약정을 통해 요건을 정하고(출근율등)이를 부여하는 경우라면 귀하가 해당 요건을 달성한 이상 연차휴가를 요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미사용 연차휴가에 대해 수당을 청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퇴직 후 급여 미지급 1 2021.10.01 667
근로시간 토요근무 1 2021.10.01 526
근로계약 아르바이트생의 일방적인 통보 1 2021.10.01 711
최저임금 근로 상세 급여계산 알고싶습니다. 주52시간 초과근무 1 2021.09.30 888
근로계약 삽업자가 근로계약서 분실시 어떻게 해야하나요? ㅠ 1 2021.09.30 849
임금·퇴직금 통상임금 계산 문의 1 2021.09.30 371
임금·퇴직금 휴직, 퇴사시 잔여연차수당 1 2021.09.30 1434
근로계약 계약직 계약기간 설정문의 1 2021.09.30 221
최저임금 경비원 2명 맞교대 24시간 격일제하고 야간12시간 격일제 변행시 ... 2021.09.30 1352
임금·퇴직금 퇴직시 퇴직금에 미지급된휴일근무수당포함여부 1 2021.09.30 1892
휴일·휴가 회계년도기준, 1년미만근무자, 연차촉진 1 2021.09.30 1478
직장갑질 잡무 등을 이유로 휴일근무 강요 등의 직장 내 괴롭힘 적용 여부... 1 2021.09.30 722
임금·퇴직금 근무기간(1년 4개월) 중 육아휴직, 병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으... 1 2021.09.30 1008
휴일·휴가 대체휴일 수당관련 문의 1 2021.09.30 242
임금·퇴직금 수행기사 연봉계약시 시간외 수당 1 2021.09.30 2228
임금·퇴직금 대표자 변경으로 근속기간의 일부만 퇴직금을 주겠다는 사업장 1 2021.09.30 477
해고·징계 미용실 인턴 근무자의 부당해고와 임금미달 ! 1 2021.09.29 910
근로계약 특별고용촉진장려금 대상자로 6개월계약기간 근무조건변경으로 추... 1 2021.09.29 454
고용보험 친족회사 고용보험 1 2021.09.29 571
고용보험 친족회사 고용보험 1 2021.09.29 792
Board Pagination Prev 1 ...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