쌈마웨이 2021.12.16 16:09

주52시간제 시행을 앞서 대대적인 근무방식을 변경중으로  근로기준법에 벗어나지 않게 하기위해 조언을 얻고자 합니다.            아주 기본적인걸수도 있지만......도와주세요                                                                                                                                     

< 현 근무형태 > 주44시간제, 월차있음, 연차 최초 10일~1년마다 1일 가산, 퇴직금별도, 상여금은 유동적으로 차등지급.

                          - 사무직 임금형태 : 고정적 월급(기본금,직책수당,연장수당,기타수당) 단,휴일수당은 별도                                                              - 사무직 근로시간 : 평일08:00~19:30(잔업2시간) / 토요일08:00~17:00(잔업4시간)                                                                                                       개별적으로 근로시간이 다를수 있으며,시간 증가및 차감에있어 임금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 생산직 임금형태 : 시급제 + 고정적 수당(직책수당, 기타수당 월10만원~20만원 - 차등지급                                      

< 변경 > 주40시간제, 토요일무급, 월차없음, 연차 현행법, 퇴직금별도, 상여금은 유동적으로 차등지급.

             주44시간제, 사무직 김모씨 월급 : 3,300,000원(기본금 2,490,000원  연장수당 660,000원  기타수당 150,000원)                           주40시간제, 사무직 김모씨 월급 : 2,860,000원(기본금 2,158,000원  연장수당 572,000원  기타수당 130,000원) 

Q-1  주40시간제  월급 (3,300,000원/30일)×기본일수 26일(토요일 무급)  계산이 맞나요?

Q-2  아래의 통상시급 구하는 계산식 맞는방법이 어떤건가요?

    - 사무직▶고정월급/월소정근로시간(209시간) or 기본금/월소정근로시간(209시간) or 고정월급/월소정근로시간(252시간)               209시간 = [(8시간×5일)+주휴8시간] ×365일/7일/12개월           252시간 = [(10시간×5일)+주휴8시간] ×365일/7일/12개월          - 생산직▶기본금+고정수당/월소정근로시간(209시간) or 기본금/월소정근로시간(209시간) or 시급                                                                현재는 기본시급 기준으로 연장,휴일,야간 수당 계산. 

Q-3  월급제의 임금책정시 연장수당을 포함해서 책정합니다.                                                                                                                    급여대장에 통상시급을 적용하여 계산된 연장수당을 기재하여야 하나요?                                                                                        아님 크게 의미를 두지 않아도 될까요?(예로 기본금 2,158,000원  연장수당 572,000원  기타수당 130,000원)

Q-4  월급제의 모든수당을 포함해서 고정적으로 일정금액을 지급시 전체임금을 기본금항목에 적용해야하나요?                                  그냥 임의대로 분할해서 임금만 맞추면 되나요?                 

Q-5  연차수당은 현행법상 적용하여 소급적용해야 되나요?           

너무 자세히 적어 부끄럽습니다만 사내에서도 의견이 많이 달라 이렇게 문의드립니다.

빠른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경남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20~4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퇴사시 퇴직금과 초과근무 문의 1 2021.12.29 401
기타 출장비도 4대보험 계산시 제외하고 계산해야되나요?? 1 2021.12.28 1700
임금·퇴직금 퇴직금 정산 원천징수 소득세공제 1 2021.12.28 419
노동조합 근로시간면제 사용 권한. 1 2021.12.28 249
휴일·휴가 연차문의 1 2021.12.28 142
근로계약 이 근로계약 적법한지랑 휴일근로수당 관련 궁금한게 있습니다. 1 2021.12.28 284
근로계약 계약서 작성 보수 1 2021.12.28 153
임금·퇴직금 연차휴가 발생년도에 따른 사용년도(기간)과 지급년도에 관한 건 1 2021.12.28 345
기타 실업급여기간 취업신고의 기준 1 2021.12.28 617
휴일·휴가 법정공휴일 근로에 대한 처리방법 1 2021.12.28 460
임금·퇴직금 실업급여 신청 관련 질문입니다. 1 2021.12.28 184
임금·퇴직금 급여내역 임금계산 1 2021.12.28 101
해고·징계 시말서 작성을 사유로 성과를 최하위 평가하여 성과급을 최소로 ... 1 2021.12.28 492
임금·퇴직금 퇴직금연차수당포함 1 2021.12.28 205
휴일·휴가 퇴사시 잔여 연차 소진 관련되서 문의드립니다. 1 2021.12.28 1161
고용보험 질병퇴사 실업급여 1 2021.12.28 484
기타 퇴사 후 민원처리 1 2021.12.28 224
휴일·휴가 국립대학 조교(교육공무원, 행정업무) 육아휴직 관련 1 2021.12.27 2209
근로계약 야간근무자 급여 계산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1 2021.12.27 3811
휴일·휴가 사측의 실수로 과지급된 연차 반환청구 1 2021.12.27 656
Board Pagination Prev 1 ...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