쌈마웨이 2021.12.16 16:09

주52시간제 시행을 앞서 대대적인 근무방식을 변경중으로  근로기준법에 벗어나지 않게 하기위해 조언을 얻고자 합니다.            아주 기본적인걸수도 있지만......도와주세요                                                                                                                                     

< 현 근무형태 > 주44시간제, 월차있음, 연차 최초 10일~1년마다 1일 가산, 퇴직금별도, 상여금은 유동적으로 차등지급.

                          - 사무직 임금형태 : 고정적 월급(기본금,직책수당,연장수당,기타수당) 단,휴일수당은 별도                                                              - 사무직 근로시간 : 평일08:00~19:30(잔업2시간) / 토요일08:00~17:00(잔업4시간)                                                                                                       개별적으로 근로시간이 다를수 있으며,시간 증가및 차감에있어 임금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 생산직 임금형태 : 시급제 + 고정적 수당(직책수당, 기타수당 월10만원~20만원 - 차등지급                                      

< 변경 > 주40시간제, 토요일무급, 월차없음, 연차 현행법, 퇴직금별도, 상여금은 유동적으로 차등지급.

             주44시간제, 사무직 김모씨 월급 : 3,300,000원(기본금 2,490,000원  연장수당 660,000원  기타수당 150,000원)                           주40시간제, 사무직 김모씨 월급 : 2,860,000원(기본금 2,158,000원  연장수당 572,000원  기타수당 130,000원) 

Q-1  주40시간제  월급 (3,300,000원/30일)×기본일수 26일(토요일 무급)  계산이 맞나요?

Q-2  아래의 통상시급 구하는 계산식 맞는방법이 어떤건가요?

    - 사무직▶고정월급/월소정근로시간(209시간) or 기본금/월소정근로시간(209시간) or 고정월급/월소정근로시간(252시간)               209시간 = [(8시간×5일)+주휴8시간] ×365일/7일/12개월           252시간 = [(10시간×5일)+주휴8시간] ×365일/7일/12개월          - 생산직▶기본금+고정수당/월소정근로시간(209시간) or 기본금/월소정근로시간(209시간) or 시급                                                                현재는 기본시급 기준으로 연장,휴일,야간 수당 계산. 

Q-3  월급제의 임금책정시 연장수당을 포함해서 책정합니다.                                                                                                                    급여대장에 통상시급을 적용하여 계산된 연장수당을 기재하여야 하나요?                                                                                        아님 크게 의미를 두지 않아도 될까요?(예로 기본금 2,158,000원  연장수당 572,000원  기타수당 130,000원)

Q-4  월급제의 모든수당을 포함해서 고정적으로 일정금액을 지급시 전체임금을 기본금항목에 적용해야하나요?                                  그냥 임의대로 분할해서 임금만 맞추면 되나요?                 

Q-5  연차수당은 현행법상 적용하여 소급적용해야 되나요?           

너무 자세히 적어 부끄럽습니다만 사내에서도 의견이 많이 달라 이렇게 문의드립니다.

빠른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경남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20~4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퇴직금에 연차수당포함 1 2021.12.28 205
휴일·휴가 퇴사시 잔여 연차 소진 관련되서 문의드립니다. 1 2021.12.28 1167
고용보험 질병퇴사 실업급여 1 2021.12.28 487
기타 퇴사 후 민원처리 1 2021.12.28 227
휴일·휴가 국립대학 조교(교육공무원, 행정업무) 육아휴직 관련 1 2021.12.27 2236
근로계약 야간근무자 급여 계산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1 2021.12.27 3835
휴일·휴가 사측의 실수로 과지급된 연차 반환청구 1 2021.12.27 659
해고·징계 징계후 인사조치 1 2021.12.27 646
근로계약 퇴사통보를 했는데요 1 2021.12.27 438
임금·퇴직금 산재휴직 완료 미출근 급여정산 1 2021.12.27 335
기타 무기계약직의 육아휴직 중 발생한 연차수당 지급 1 2021.12.27 2063
임금·퇴직금 12/31일 퇴사시 잔여연차수당 퇴직금 산입 1 2021.12.27 564
휴일·휴가 계약직 갱신에 따른 연차수당 지급 시 통상임금 기준 1 2021.12.27 612
근로계약 일반직에서 감단직으로 변경 1 2021.12.27 536
해고·징계 임금삭감 부당해고 근로계약서 위반 1 2021.12.27 1114
근로계약 근로계약서 질문 있습니다 1 2021.12.27 176
임금·퇴직금 퇴직금 산정 문제 1 2021.12.26 101
휴일·휴가 감단직 경비 연차사용 시 공제기준 1 2021.12.26 897
근로시간 특수직종에 따른 근로시간인정범위 1 2021.12.26 264
휴일·휴가 2022년 연차휴가대체합의제도가 불가시, 2022년 연차일수에서 202... 1 2021.12.25 1060
Board Pagination Prev 1 ...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