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슝 2022.02.06 16:25

18년도 4월 입사~21년도 10월 퇴사로 약 3년 6개월정도 상용직 근무 후 자발적 퇴사하였습니다.

자발적 퇴사라 실업급여는 당연히 안되는걸로 알고 있어서 상용직 근무 일수랑 단기계약직 일수를

합산해서 실업급여 받을 수 있나요? 합산이 된다면 단기계약직 근무 일수가 최소 몇일이 되야하는지

기준이 있나요? 상용직 퇴사한지는 아직 3개월정도만 지나서 180일은 충분히 들어오는데 자발적 퇴사여서

계약직을 합산 후에 실업급여를 받을 생각입니다.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경기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50~9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22.02.10 15:25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고용보험법 40조에 따르면 '최종 이직 당시의 기준기간 동안의 피보험 단위기간 중 다른 사업에서 제58조에 따른 수급자격의 제한 사유에 해당하는 사유로 이직한 사실이 있는 경우에는 그 피보험 단위기간 중 90일 이상을 일용근로자로 근로하였을 것'이라고 명시하고 있어 자발적 이직 후 실업급여를 수급하시기 위해서는 90일 이상을 일용직으로 근로해야 하는데 여기에서의 일용직이란 1개월 미만 고용되는 사람을 말합니다. 따라서 자발적 퇴사하셨다면 단순히 계약직으로 3개월을 근무하였다고 해도 위의 요건을 충족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가까운 고용지원센터에 문의하시면 도움이 되실 것 입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휴일·휴가 경력직 연차 추가 1 2022.02.18 367
기타 실업급여 및 권고사직 관련 문의드립니다. 1 2022.02.18 562
기타 근로자 개인 사정으로 인한 휴직 문의건 1 2022.02.18 350
휴일·휴가 교대근무자 휴일대체 문의드립니다. 1 2022.02.18 2266
근로계약 근로계약서 수기수정 가능한가요? 1 2022.02.18 2252
노동조합 육아휴직자 1 2022.02.18 473
휴일·휴가 밀접접촉 연차 문의드립니다 1 2022.02.18 128
임금·퇴직금 나이트킵 간호사 포괄임금 1 2022.02.18 3915
임금·퇴직금 일근직 사원의 격일제 대체 근무시 보상휴가를 위한 급여 계산 도... 1 2022.02.17 481
휴일·휴가 연차수당계산관련 1 2022.02.17 198
해고·징계 (불법행위) 취업방해로 노동청에 신고해도 되나요? 1 2022.02.17 963
해고·징계 휴직 중 퇴사처리 문의 1 2022.02.17 1066
근로계약 근로계약서 관련 1 2022.02.17 327
임금·퇴직금 월, 고정 시간 외 수당이, 고정수당에 해당되는 부분이 아닌가요? 1 2022.02.17 995
기타 입사관련 1 2022.02.17 286
휴일·휴가 계약직 월차휴가 계산 관련 1 2022.02.17 796
임금·퇴직금 경비원 미화원 급여 계산 1 2022.02.17 3343
직장갑질 단체 회장의 업무상 갑질, 부당지시 및 배제 관련 1 2022.02.17 465
임금·퇴직금 근로기준법 위반 증인 출석 실업급여 1 2022.02.17 400
휴일·휴가 공휴일 연차 대체여부 1 2022.02.17 407
Board Pagination Prev 1 ...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