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스트 2022.05.31 13:26

문의드립니다.

 

2022.01.01 ~ 2022.05.01 : 육아 휴직 기간

2022.05.02 ~ 2022.12.31 : 복직 후, 실 근무기간

 

연차 비례계산을 해야하는데,  

휴직 기간 및 근무 기간 나눠서 연차계산 도와주세요.

 

(제 계산으로는 2022년 비례발생 연차는 14.5개인거같은데 ㅠㅠ )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경남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20~4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3'


  • 상담소 2022.06.02 16:50작성

    노동OK입니다.

    연차휴가 계산시, 육아휴직 기간에 대해서는 출근한 것으로 간주해야 합니다. 즉 육아휴직을 사용한 기간과 그렇지 않은 기간을 나누어 계산할 필요는 없습니다. 아래 소개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 미니스트 2022.06.02 22:32작성

    아 제가 설명을 누락시켰네요.

     

    복직 후, 단축근무를 시행해 

    원래 1일 8시간 근무지만, 1일 6.5시간 단축근무를 시행합니다.

     

    2022.01.01 ~ 2022.05.01 : 육아휴직 기간 ( 1일 8시간 적용 )

    2022.05.02 ~ 2022.12.31 : 복직후, 단축근무 시행 ( 1일 6.5시간 적용)

     

    소정근무시간이 달라져서 비례연차 계산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아하, 그런 상황이었군요....

    육아기근로시간단축을 사용하는 경우, 연차휴가의 적용은 근로기준법 시행령 별표 2(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 결정기준 등에 관한 사항)에서 정한 아래 방식에 따른 연차휴가(시간단위)를 주어야 하며, 1시간 미만은 1시간으로 봅니다.

    • 통상근로자의 연차휴가일수 * (단시간근로자의 소정근로시간/통상근로자의 소정근로시간) * 8시간

     

    따라서 문의하신 육아기근로시간단축이 포함된 연차휴가는 아래 방식에 따라 계산된 14일 7시간으로 봄이 타당합니다.

    단, 해당근로자의 근속연수를 고려하여 육아기근로시간단축을 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근무했다면 부여받았을 연차휴가일수는 17일(입사 5,6년차)이고, 회사의 2022년 1년간의 소정근로일수는 250일, 이중 육아휴직기간(1.1.~5.1.)의 소정근로일수는 80일, 복직후 기간(5.2.~12.31.)의 소정근로일수는 170일인 경우를 가정하여 계산한 것입니다.

    1) 육아휴직 사용기간의 연차휴가일수를 시간수로 환산 : 17일 * (80일/250일) * 8시간 = 43.52시간이고,

    2) 육아기근로시간단축기간의 시간수 환산 : 17일 * (170일/250일) * (6.5시간/8시간) * 8시간 = 75.14시간입니다.

    즉, 해당근로자에게는 43.52시간+75.14시간=118.66시간의 연차휴가를 주어야 하는데, 위 시행령에서 1시간미만(0.66시간)은 1시간으로 간주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119시간의 연차휴가를 부여해야 합니다.

    이를 다시 1일 단위로 환산(119시간/8일)하면, 14일 7시간입니다.

    근로기준법 시행령 별표2는 아래 첨부한 파일을 참조하세요

     


List of Articles
근로계약 근로 계약이 이러한 구조일때 각 업체를 어떻게 명칭하나요? 2022.06.14 92
임금·퇴직금 사업주에게 퇴직연금 DB형 가입해달라고 요청할 수 있나요? 2022.06.14 362
임금·퇴직금 재계약시 월급협상 결렬로 계약만료로 인한 실업급여를 받을 수 ... 2022.06.13 1883
임금·퇴직금 퇴직금 문제로 자꾸 딴지를 겁니다. 2022.06.13 637
임금·퇴직금 시간제근로자 통상임금 2022.06.13 772
임금·퇴직금 급여일할계산 1 2022.06.13 394
휴일·휴가 근무 중 무급휴가 시 내년 연차 몇 개 발생하나요 ? 1 2022.06.13 6671
임금·퇴직금 월급/일급 1 2022.06.13 665
휴일·휴가 토,일 휴무 대신 금,일 휴무 가능한가요? 1 2022.06.12 491
임금·퇴직금 6월1일 지방선거 출근했는데 평일로 취급해줍니다 1 2022.06.12 269
근로계약 휴무급여 문의드립니다 1 2022.06.12 165
휴일·휴가 육아휴직 보너스제 1 2022.06.12 267
근로시간 연장 근로시간에 관한 질문 입니다 2 2022.06.12 414
임금·퇴직금 1년 미만 단기계약후 퇴직에 따른 질문입니다. 1 2022.06.11 855
근로시간 탄력근무제에서 연장근로시 수당 지급 기준 1 2022.06.11 2245
해고·징계 해고예고수당과 구제신청은 같은건가요? 1 2022.06.10 552
임금·퇴직금 계약된 인센티브 미지급 및 인센티브 퇴직금 미반영 1 2022.06.10 1363
해고·징계 부당해고에 해당되나요? 1 2022.06.10 252
기타 단기알바 실어급여 1 2022.06.10 620
여성 권고사직과 육아휴직 1 2022.06.10 1749
Board Pagination Prev 1 ...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 5861 Next
/ 58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