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w 2022.06.02 12:51

안녕하세요.

제조업  안전쪽 관리감독자로 선임된 직원에게만 매월 수당 지급시 통상임금으로 포함시켜야 하는지 여부 궁금합니다.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경북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20~4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22.06.14 12:04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 통상임금은 소정근로의 대가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금품으로 정기적, 일률적,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것인지를 기준으로 객관적 성질에 따라 판단합니다.

     

    2) 통상임금의 기준이 되는 정기성은 임금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계속적으로 지급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 1개월을 기준으로 지급되나 1개월을 넘는 기간마다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이는 노사 간의 합의 등에 따라 근로자가 소정근로시간에 통상적으로 제공하는 근로의 대가가 1개월을 넘는 기간마다 분할 지급되는 것일 뿐, 그러한 사정 때문에 갑자기 그 임금이 소정근로의 대가로서 성질을 상실하거나 정기성을 상실하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매월 혹은 일정 주기에 대해 소정근로의 대가로 수당의 형식으로 임금이 지급된다면 이는 정기성을 갖췄다 볼 수 있습니다. 

     

    3) 통상임금의 기준이 되는 일률성은 모든 근로자에게 지급되거나 일정한 조건 또는 기준에 달한 모든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여기서 일정한 조건이란 고정적이고 평균적 임금 산출의 목적을 가진 통상임금 개념에 비추어 볼때 고정적 조건으로 소정근로에 대한 가치 평가의 대상이어야 합니다. 작업 내용이나 기술, 경력 등이 좋은 예에 해당합니다.

     

    4) 통상임금의 기준이 되는 고정성은 근로자가 제공한 근로에 대한 업적, 성과 기타 추가적 조건과 관계 없이 당연히 지급될 것이 확정되어 있는 성질을 말합니다. 고정적 임금은 임금의 명칭 여하를 불문하고 임의의 날에 소정근로시간을 근무한 근로자가 그 다음 날 퇴직한다 하더라도 그 하루의 근로에 대한 대가로 당연하고도 확정적으로 지급받게 되는 최소한의 임금으로 연장근로가산수당이나 휴일근로가산수당처럼 추가적인 조건을 충족해야 지급되는 임금의 경우 통상임금에서 제외됩니다.

     

    5) 이를 기준으로 볼때 안전관리감독자로 선임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수당은 매월 일정액을 안정관리감독자라는 소정근로의 성질에 근거해 지급하며 재직일 당시에 한해 지급하는 등의 제약조건이 없는 한 정기성,고정성, 일률성을 갖춘바 통상임금 산정시 산입해야 할 것입니다. 

     

    법원의 판례 역시  안전관리자로 선임·등록된 직원에게 매월 30,000원의 안전관리 직무수당을 지급한 경우, "안전관리 직무수당은 ‘안전관리자’라는 고정적인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근로자가 소정근로를 제공하기만 하면 근무성적과 무관하게 그 지급이 확정된 것이라고 볼 수 있어 정기적·일률적으로 지급되는 고정적인 임금인 통상임금에 해당한다"고 판결한바 있습니다.(대구고법 2015나305)

     

     

    안전관리자로 선임·등록된 직원에게 매월 30,000원의 안전관리 직무수당을 지급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으므로, 안전관리 직무수당은 ‘안전관리자’라는 고정적인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근로자가 소정근로를 제공하기만 하면 근무성적과 무관하게 그 지급이 확정된 것이라고 볼 수 있어 정기적·일률적으로 지급되는 고정적인 임금인 통상임금에 해당한다고 봄이 타당하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근로계약 해외 현지채용 1년 의무근로 위반 시, 손해배상에 관하여 1 2022.06.21 462
임금·퇴직금 주주야야비비 통상임금 문의드립니다 1 2022.06.21 1437
임금·퇴직금 감단직 근로자의 날 대근 관련 1 2022.06.21 1430
휴일·휴가 코로나 급여삭감 계산법 및 하루 더 쓴 연차수당계산 2022.06.20 673
기타 배우자동거를 위한 거소이전으로 실업급여 1 2022.06.20 1485
임금·퇴직금 개인사업자 변경으로 인한 퇴직금 미지급 1 2022.06.20 2239
휴일·휴가 야간근무로 인한 24시간 근무시 휴무일 산정 질문 1 2022.06.20 167
휴일·휴가 야간근무로 인한 24시간 근무시 휴무일 산정 질문 1 2022.06.20 450
직장갑질 대표이사의 직장내 괴롭힘 1 2022.06.20 1485
근로시간 초과 근무 및 시간외 수당 관련 문의 합니다. 1 2022.06.20 691
근로계약 근로계약서 미작성, 급여명세서 미발행 1 2022.06.19 1462
휴일·휴가 4교대 감시적단속근로자 근로자의 날 수당 지급 관련 문의 1 2022.06.19 2218
임금·퇴직금 안녕하세요 포괄임금제와 야근추가근무수당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 2022.06.19 504
임금·퇴직금 퇴직연금 DC형 가입을 했는데, 퇴직연금에 인센티브(성과금) 포함... 1 2022.06.19 3143
근로시간 4조3교대 월근로시간 산정 1 2022.06.18 615
고용보험 계약직업무변경으로 인한 퇴직 1 2022.06.18 386
임금·퇴직금 감단직의 법정공휴일 적용여부 1 2022.06.18 1388
근로시간 주말 연장근로 후 평일 중 연차사용 가능여부 1 2022.06.17 369
임금·퇴직금 포괄임금제 연장근무수당 관련 질의 1 2022.06.17 597
근로시간 주6일 단시간 근무자 주휴시간 1 2022.06.17 2507
Board Pagination Prev 1 ...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