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hi 2022.07.29 15:26

10인 미만 사업장입니다.

근로자 한분이 건강상의 사유로 잦은 당일 연차 사용하여 벌써 올해 연차를 소진하였습니다.

최대한 근로자분을 배려하여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도입하려 하나, 모든 직원이 아닌 한분을 위한 선택적 근로시간제가 가능할까요?

서면합의서가 필수인데 근로자 대표는 따로 없는 상황입니다.

근로자 한분이랑만 서면합의를 진행해도 문제없을까요?

회사입장에서는 연차없이 무단결근(급여공제) 처리하기보다 선택적 근로시간제 등을 통해 최소 1주 40시간동안 맡은 일을 처리하기만 하면 됩니다. 여러 제도가 있는데 "출퇴근을 근로자 마음대로 정하고, 의무시간대도 없으며, 소정근로시간을 충족"하기만 하면 되는데 어떤 걸 도입해야 할까요ㅠㅠ 선택적 근로시간제, 보상휴가 등 어떤 게 가장 최적일까요? 또한 한 사람을 위해서만 가능할까요..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광주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5~1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휴일·휴가 근로기준법 연차 유급 휴가 대체합의에 따른 휴무일 기준 1 2021.10.22 705
근로계약 퇴사번복 1 2021.11.22 2193
휴일·휴가 글번호 111039 관련 추가 질문 있습니다. 1 2021.12.10 94
근로시간 휴일의 대체 관련 1 2022.01.04 391
산업재해 산재 일부 승인후 종결 2022.01.27 1453
산업재해 산재처리안해주는 비용에 대한 보상방안 1 2022.03.02 3112
기타 진정후 합의를 통해 취하서를 작성했습니다. 궁금한점이 있어 질... 2 2022.03.15 882
» 근로시간 선택적 근로시간제는 꼭 근로자대표와 합의해야 하나요? 2022.07.29 540
해고·징계 부당해고 1 2022.09.22 446
산업재해 근무중 입원환자에게 폭행을 당했을 경우 2 2022.11.28 545
임금·퇴직금 급여삭감시 퇴직금 보호를 위한 합의서 작성 1 2022.12.26 1180
임금·퇴직금 임금체불 미 합의 2023.06.12 294
임금·퇴직금 퇴직금 산정시 시간외근무수당 불산입 불법여부(노사합의사항) 2024.04.23 22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