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2022.11.28 20:52

저희 사업소 근무형태는 4조2교대(주/야/비/휴) 로 돌아가고 있고

경비직원으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주간: 08시~20시(근무 10시간, 휴게시간 2시간)

야간: 20시~익일 08시(근무 10시간, 휴게시간 밤12시~2시 : 2시간)

저희사업소는 호봉제이며 통상임금은 12,981원 입니다. 

 

휴일 근무가 없는 달의 급여명세서를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 통상임금: 12,981원 

- 주간근무 총 12시간씩 10일, 야간근무 총 8일 편성 ( 월차: 주간1일 야간1일 총 2일 사용)

- 연장근로시간: 32시간(하루 2시간씩 연장근로 총 16일근무)

- 야간근로시간: 42시간(밤10시~아침6시까지 2시간 휴게시간 제외하고 6시간씩 7일근무)

 

여기서부터 중요!!! 급여명세서에 나와있는 계산식

- 시간외근무수당 계산방법: 통상임금시급(12,981원) * 50% * 시간외근무시간 =  207,690원

- 야간근무수당 계산방법: 통상임금시급(12,981원) * 50% * 야간근무시간 = 272,600원

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저희가 문제제기 하는 부분은 근로기준법에 시간외 수당과 야간근무수당은 통상임금의 50%를 가산한다 라고

되어있고 그렇다면 저기 식에서 * 50%가 아닌 * 150%가 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이 부분을 사업소에 문제제기 하였더니 돌아왔던 답이

1. 시간외 수당과 야간수당의 100%가 통상임금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50%만 주는 것이 맞다.

2. 그리고 1주 40시간이 안되기 때문에 근로기준법상 시간외 수당과 야간수당이 적용되지 않는다. 

입니다.

 저희가 공부해본 결과 근로기준법 상 연장근로는 1일 8시간 또는 1주 40시간이기 때문에 1일 8시간을 초과하는 2시간씩은

근로기준법상 연장근로에 해당한다고 생각 하는데 맞나요?

 사업소측의 설명이 적합한지에 대한 검토 부탁드립니다. 근로계약서상 수당  '근로기준법' 등 노동관계 법령에 따른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부산
회사 업종 공공행정
상시근로자수 50~99인
본인 직무 직종 기타
노동조합 있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격일제 근무자 연차일수, 통상시급계산일기준 2022.12.26 1239
임금·퇴직금 급여삭감시 퇴직금 보호를 위한 합의서 작성 1 2022.12.26 1220
기타 실업급여 문의드립니다. 2022.12.25 203
기타 상담 부탁드립니다 2022.12.25 146
기타 상시근로자 2022.12.25 429
임금·퇴직금 평균임금과 통상임금 퇴직금 계산 2022.12.24 2292
임금·퇴직금 퇴직금 인센티브문의 2022.12.24 224
임금·퇴직금 해외주재원 퇴직금 계산 문의 2022.12.24 776
노동조합 지부 위원장선거 2022.12.24 260
휴일·휴가 연차휴가 문의 2022.12.23 248
임금·퇴직금 퇴직금 계산시 산정기간 문의(귀속월, 지급월? 기준) 2022.12.23 1074
산업재해 산재 권고사직 2022.12.23 612
임금·퇴직금 폐업시 퇴직금 및 급여, 연차수당 2022.12.23 1742
임금·퇴직금 임금 2022.12.23 108
휴일·휴가 연차 결근 병가의 정의 2022.12.23 1913
근로시간 과로로 인한 즉시 퇴사 2022.12.23 366
임금·퇴직금 단시간 근무자 연장근무수당 2022.12.22 375
근로계약 조건부 휴직계 2022.12.22 501
고용보험 실업급여(이사로인해)문의합니다. 2022.12.22 964
임금·퇴직금 휴일수당 계산식 문의드립니다. 2022.12.22 721
Board Pagination Prev 1 ...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