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느티나무 2022.12.27 17:02

1. 연차 수당 계산 중 사이트에서 제시한 자동계산이 이해 되지 않아 질문합니다.

    42시간 근무 2,300,000원의 급여 미사용연차수 12개

   해당 란에 기입하고 계산을 누르니 월소정 근로시간 217시간이 나오고

   2,300,000/217=10,599 시급이 나옵니다.

   10,599*8=84,792  

   84,792*12[미사용연차수]=1,017,504원 나옵니다.

   그런데 여기 자동 계산은 일급이 89,032가 나오고 연차수당은 1,068,384

   왜 다른 결과가 나오는 걸까요?

 

2. 시급이 [주42시간]217시간 보다 [주40시간]209시간 근로가 시급이 더 높은가요??

    2,300,000/217=10,599

    2,300,000/209=11,005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경기
회사 업종 시설관리 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20~4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22.12.28 16:54작성

    노동OK입니다.

    주42시간 근무인 경우, 통상임금 계산 기준시간수는 217시간입니다.

    217시간= (1주 실근로시간 42시간+주휴유급처리시간 8시간) * (365일÷12월÷7일)

    따라서 월급여를 고정적으로 2,300,000만원을 받는다면, 시간당 통상임금은 10,599원이고 일급 통상임금은 84,792원이 맞습니다.

    • 시간급 통상임금 10,599원 = 2,300,000원 / 217시간
    • 일급 통상임금 84,792원 = 10,599원 * 8시간

    그리고 연차휴가 12일분 미사용분에 대한 보상은 1,017,504원입니다.

    • 12일분 연차수당  1,017,504원 = 84,792원*12일

    연차수당 계산기에서 일부구간(1주 근무시간이 주41시간~주43시간인 경우)에서 표기오류가 발견되어 곧 수정하겠습니다. 지적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주40시간을 근무하는 경우가 주42시간을 근무하는 것보다 시간당 임금이 더 많은 것은 당연합니다. 같은 급여를 받더라도 근로시간이 작으니, 시간당 임금이 많아지는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기타 감시단속직 해제 가능 여부 1 2023.01.16 1604
임금·퇴직금 퇴사날짜가 언제부터 시작이 될까요? 1 2023.01.15 494
근로시간 휴게시간 1 2023.01.15 527
휴일·휴가 주주야야비비 교대근무자들의 법정공휴일적용여부 1 2023.01.15 3495
기타 연차생성 및 퇴직금 1 2023.01.15 475
해고·징계 입사대기중 채용취소 1 2023.01.15 911
기타 실업급여 신청 시 근무일수 계산 및 근로법 위반 내용 문의 2023.01.14 845
근로계약 상여금 통상임금 적용문의 2 2023.01.14 342
임금·퇴직금 상여금 관련 질문드려요 1 2023.01.13 142
임금·퇴직금 퇴직금 문의 드립니다. 1 2023.01.13 379
산업재해 회시 회식 후 폭행 1 2023.01.13 918
근로계약 회사에서 신상명세서 작성 요구 1 2023.01.13 1075
임금·퇴직금 인센티브 지급 의무 문의드립니다. 1 2023.01.13 1259
기타 자발적 퇴사자의 사직서 제출일과 회사 퇴사처리일 관련 문의 件 1 2023.01.13 757
해고·징계 이런 경우 부당해고는 아닌지 1 2023.01.13 335
휴일·휴가 회계연도 기준 연차발생 수당지급의 건 1 2023.01.13 622
휴일·휴가 5인미만 근무지 기준 1 2023.01.12 726
임금·퇴직금 연봉계약 시작일부터 규정이 적용되는지 문의드립니다. 1 2023.01.12 258
휴일·휴가 퇴사 시 입사년도 기준 총 연차일수 1 2023.01.12 756
근로계약 실업급여 문의요ㅠ 1 2023.01.12 665
Board Pagination Prev 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