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봉봉02080821 2023.01.11 01:42

회계연도 기준 연차 적용 기관입니다. 

계속근로기간이 1년 미만인 기간제 근로자가 계약 종료 후 연달아 재계약 체결시, 재계약일 기준으로 연차 생성 책정안이 맞는지 검토를 부탁드리고자 합니다. 재계약은 기관에서 계속 근로로 간주합니다. 



1. 최초 계약(입사일~계약 종료일): 2022.7.1~2023.6.30 / 11개 연차 매월 1일자 기준 부여


2. 평가 후 재계약(재계약일~종료일): 2023.7.1~2024.6.30

문의1: 비례연차 8일(15일×184일/364일)을 재계약 시작일인 23년도 7월 1일에 지급해도 되는지 여부

문의2: 2024년 1월 1일부로 연차 15일을 부여하면 되는지 여부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부산
회사 업종 교육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100~29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있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23.01.17 10:59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근로계약이 단절되고 다시 시작되는 것으로 보았을 때도 비례연차가 발생하나 그 시기는 회계연도 기준이므로 2024년 1월 1일이 되어야 할 것 입니다. 물론 최초 계약기간에도 2023년 1월 1일에 비례연차를 부여해야 합니다.

    둘째, 계속근로기간을 인정한다면 15일 부여가 타당하고 근로관계가 단절되었다고 본다면 비례연차만 부여하면 됩니다.

     귀하의 말씀만으로는 정확한 사실관계를 알기 어려우나 먼저 최초 계약부터 입사한 것으로 볼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 입니다. 먼저 이에 대한 정리가 필요할 듯 합니다. 연장 혹은 갱신된 것이라면 계속근로기간을 인정할 수 있으나 공개채용을 통해 사실상 다시 근로계약을 체결한 것이라면 계속근로기간이 단절되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휴일·휴가 근로시간단축 연차계산 1 2023.01.25 552
휴일·휴가 개인 휴직 이후 연차 계산 1 2023.01.25 562
기타 교육비(회사 지원금)의 경우 연말정산시 과세소득인가요? 비과세... 2023.01.25 2161
기타 단협위반 1 2023.01.25 443
휴일·휴가 임금, 특근수당, 휴식시간 관련 질문입니다. 1 2023.01.25 681
휴일·휴가 군입대 휴직자의 연차생성문의 1 2023.01.25 1067
기타 사직서 제출하니, 한달 채우지 않으면, 손해배상청구 한다고 합니다 1 2023.01.25 4903
임금·퇴직금 퇴직 시 연차 정리 관련 질문입니다. 1 2023.01.25 469
임금·퇴직금 퇴직금 중간정산 관련 상담 1 2023.01.25 370
임금·퇴직금 신고 누락 1 2023.01.25 150
고용보험 수습기간 종료 후 해고되었는데 실업급여 어떤 항목으로 받을 수... 1 2023.01.25 2416
임금·퇴직금 퇴직금 비정기적수당 및 지급날짜에대해 묻고싶습니다. 1 2023.01.24 392
산업재해 산재 신청후 회사에서 급여 입금 독촉 1 2023.01.24 634
임금·퇴직금 퇴직금의 퇴직소득세 계산시 근속연수 계산 1 2023.01.24 1323
근로계약 계약직 근로자 연봉인상 가능 여부 1 2023.01.24 956
고용보험 훈련연장급여가 실제로 지급받는 사람이 좀 있나요? 1 2023.01.23 373
근로계약 실질적 근로자 1개월 단위 프리랜서 계약 실업급여 1 2023.01.22 1203
임금·퇴직금 임금지급보류 1 2023.01.21 199
임금·퇴직금 상여금삭감 및 위장도급 관련하여 문의 드립니다. 2023.01.20 296
임금·퇴직금 학업으로 인한 개인 휴직 시 근로 기간 포함 문의 1 2023.01.20 762
Board Pagination Prev 1 ...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 5863 Next
/ 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