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투보거스 2023.02.08 17:05

 

 

실근무시간 : 

 

10:00 ~ 17:00 (점심시간 70분 포함)

 

기존 시급 11,000원

 

주 5일

 

 

기존 시급제에서 이번에 급여제로 바꿔주기로 했습니다. 

월차까지 포함시키면 급여를 얼마로 설정해야 시급 11,000원 기준으로 삼으면서 맞는 급여가 되는걸까요? 

주휴수당이니 포괄임금제니 헷갈리네요. 

한달 중 평일이 20일인 날도 있고 22일인 날도 있고 해서 어떻게 결정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서울
상시근로자수 1~4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23.02.16 17:16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월급제의 경우 1년 12개월을 평균하여 임금을 지급하게 되므로 평일의 날짜 수와 상관없이 임금을 지급할 수 있습니다. 이 월급여에는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통상 근로자는 월 209시간을 기준으로 임금을 지급하면 되고 귀하의 경우는 단시간 근로자로 볼 수 있으므로 비례해서 부여하면 됩니다.

    즉 1일 근로시간이 6시간이라면 6시간*6일(주휴포함)*4.34=156.24시간이 나오고 여기에 시급을 곱하시면 될 것 입니다.

    포괄임금제의 경우 '근로시간의 산정이 어려운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와 근로자 사이에 기본임금을 미리 산정하지 아니한 채 법정수당까지 포함된 금액을 월급여액이나 일당임금으로 정하거나 기본임금을 미리 산정하면서도 법정 제 수당을 구분하지 아니한 채 일정액을 법정 제 수당으로 정하여 이를 근로시간 수에 상관없이 지급하기로 약정'하는 것을 말하므로 일반적으로 악용되는 것과 달리 실제는 엄격한 기준하에 실시하는 것이 타당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고용보험 4대보험 소급 요청 후, 사측에서 가입 및 상실 지연 1 2023.03.03 520
직장갑질 근로기준법 상 폭행의 의미가 궁굼 합니다 1 2023.03.03 695
임금·퇴직금 포괄임금제 연차수당 산입 1 2023.03.03 1704
근로시간 연가를 오프로 대체사용이 가능한지 여부 1 2023.03.03 166
임금·퇴직금 임금관련문의드려요 1 2023.03.03 120
임금·퇴직금 DC형 퇴직연금 인센티브도 포함인가요? 1 2023.03.03 1670
해고·징계 전문가님 답변부탁드립니다 1 2023.03.03 54
임금·퇴직금 근로계약서 상에 명시된 명절 상여금을 관례가 법이라며 지급이 ... 3 2023.03.03 1319
노동조합 노조 설립시 기존 단협의 적용 범위 1 2023.03.02 269
기타 퇴사와 관련한 손해배상 소송 1 2023.03.02 650
임금·퇴직금 주휴수당 포함 시급일 경우 연장 계산법 2 2023.03.02 1519
임금·퇴직금 연차 일수 계산 문의 1 2023.03.02 320
임금·퇴직금 연차수당 지급 문제 및 법적 서류 구비 질의 1 2023.03.02 600
휴일·휴가 도와주세요 퇴사후 연차관련 1 2023.03.02 442
휴일·휴가 퇴직시 연차 관련 입니다. 1 2023.03.02 271
고용보험 상시근로자 이중취업 문의 1 2023.03.02 1858
기타 법정의무교육 교육일지 작성 및 관리 1 2023.03.02 1131
임금·퇴직금 감시적 단속적 근로종사자 급여문의 1 2023.03.02 893
기타 도와주세요 1 2023.03.02 856
근로계약 대표와 퇴사 협의 후 번복 1 2023.03.02 749
Board Pagination Prev 1 ...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 5863 Next
/ 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