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프로 2023.03.02 22:07

안녕하세요.
단체퇴사에 해당되는지 그리고 주동자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1. 4인이 각각 퇴사 예정이며, 본인 3월 초, 직원1 3월 중순말, 직원2 3월 말, 직원3 3월초 이렇게 퇴사 예정입니다.

본인은 1개월 전 통보는 안되었지만 사측과 협의하여 사표수리가 완료 되었으며 직원 1,2는 1개월 전 통보 후 퇴사 예정입니다.

직원 3은 5일전 통보를 했으나 사측과 아직 협의 중에 있습니다. 이럴 경우 단체 퇴사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가 들어오면 손해배상을 해야하나요? 

 

2.또한 각각의 불만을 얘기하다 보니 퇴사를 하는 게 맞겠다 싶어 퇴사를 진행하는데 불만을 많이 토로 했다고 주동자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주동자라는 표현에 맞는 행동은 어떤게 있을까요?

 

3. 직원을 각각 회의실로 불러 핸드폰을 끄게 하고 (사측은 회사의 발전을 위한다는 명분으로 녹음을 했습니다.) 주동자가 있지 않느냐며 저를 몰아가기 시작했습니다. 다른 직원 분들이 '그렇지 않다'라고 답변을 하자 얄팍한 우정으로 인하여 손해를 보실 수 있다는 말을 하였습니다. (녹음 존재)

그러자 사측에서 사내 메신저를 보여달라고 하였으며 이에 직원들이 보여주지 않자 왜 보여주지 않느냐며 얘기를 했다고 합니다.

이런경우 회사 측에 법적으로 요구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까요?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서울
회사 업종 예술 여가 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5~1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23.03.17 14:42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근로자가 사직의 의사를 표시하여 근로계약 관계를 종료시키는 것은 자신의 의지에 따른 자유 행위 입니다. 이에 대해 사용자가 손해배상의 책임을 묻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기간을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관계에 있는 근로자가 사용자에게 사직의 의사를 표시하고 사용자는 이에 대해 거부의사를 표시할 경우 민법 제 660조에 따라 30일이 경과해야 사직의 효력이 발휘됩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근로자들의 사직의사를 거부할 경우 30일의 경과 기간 동안 성실하게 근로제공의 의무를 다한다면 이후 사직의 효력이 발휘되는 시점에 사직하여 출근하지 않더라도 사용자로서는 근로자에게 선해배상을 청구하긴 어렵습니다. 

     

    2) 다만 근로자들이 집단적으로 사업장에 손해를 끼칠 목적으로 퇴사를 기획하였다면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근로자들의 고의를 입증하여 사업장의 손해와의 연관성을 증명하면 손해배상의 책임이 제기될 수 있습니다. 귀하의 상담내용처럼 근로계약관계에서 순수하게 불만을 느껴 사용자를 상대로 퇴사의 의사를 밝히고 정상적으로 퇴사하였다면 문제될 것이 없다 보여집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퇴사일 조정을 압박하는 회사,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2020.06.03 2266
기타 퇴사일 잡는 방법. 1 2012.03.12 8048
임금·퇴직금 퇴사일 기준 효력 관련 사항, 인수인계 원하는 수준까지 퇴직금 ... 2 2019.10.16 954
근로계약 퇴사일 관련 문의 드립니다., 2023.09.11 208
임금·퇴직금 퇴사일 관련 문의 1 2016.03.18 863
근로계약 퇴사 1 2023.06.30 114
임금·퇴직금 퇴사 2024.03.08 298
근로계약 퇴사의지를 밝힌 후 해외 출장 지시를 따라야하는지 의문입니다. 2 2019.04.19 1431
직장갑질 퇴사의지를 밝혔으나 퇴사를 못하고있습니다 1 2020.05.04 1388
근로계약 퇴사의사통보 후 1개월 내 퇴사 시 문의 2021.05.31 542
근로계약 퇴사의사를 밝히는데 협박을 받았습니다. 1 2016.01.13 1098
근로계약 퇴사의견을 내고 난 후에 회사에서 손해배상을 청구 한다고 해서... 1 2012.09.14 2593
임금·퇴직금 퇴사월급 1 2015.10.31 609
근로계약 퇴사요청 1달이내 이직문의 드립니다. 1 2017.12.22 926
» 기타 퇴사와 관련한 손해배상 소송 1 2023.03.02 650
휴일·휴가 퇴사예정자 연차 수 1 2022.03.25 424
임금·퇴직금 퇴사예정입니다 1 2019.11.08 219
기타 퇴사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1 2018.07.01 431
해고·징계 퇴사에 관하여 합의했는데 다른 결과를 줍니다. 2020.09.24 615
기타 퇴사신고를 고의로 안함 1 2013.12.06 1738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60 Next
/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