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프로 2023.03.02 22:07

안녕하세요.
단체퇴사에 해당되는지 그리고 주동자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1. 4인이 각각 퇴사 예정이며, 본인 3월 초, 직원1 3월 중순말, 직원2 3월 말, 직원3 3월초 이렇게 퇴사 예정입니다.

본인은 1개월 전 통보는 안되었지만 사측과 협의하여 사표수리가 완료 되었으며 직원 1,2는 1개월 전 통보 후 퇴사 예정입니다.

직원 3은 5일전 통보를 했으나 사측과 아직 협의 중에 있습니다. 이럴 경우 단체 퇴사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가 들어오면 손해배상을 해야하나요? 

 

2.또한 각각의 불만을 얘기하다 보니 퇴사를 하는 게 맞겠다 싶어 퇴사를 진행하는데 불만을 많이 토로 했다고 주동자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주동자라는 표현에 맞는 행동은 어떤게 있을까요?

 

3. 직원을 각각 회의실로 불러 핸드폰을 끄게 하고 (사측은 회사의 발전을 위한다는 명분으로 녹음을 했습니다.) 주동자가 있지 않느냐며 저를 몰아가기 시작했습니다. 다른 직원 분들이 '그렇지 않다'라고 답변을 하자 얄팍한 우정으로 인하여 손해를 보실 수 있다는 말을 하였습니다. (녹음 존재)

그러자 사측에서 사내 메신저를 보여달라고 하였으며 이에 직원들이 보여주지 않자 왜 보여주지 않느냐며 얘기를 했다고 합니다.

이런경우 회사 측에 법적으로 요구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까요?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서울
회사 업종 예술 여가 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5~1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23.03.17 14:42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근로자가 사직의 의사를 표시하여 근로계약 관계를 종료시키는 것은 자신의 의지에 따른 자유 행위 입니다. 이에 대해 사용자가 손해배상의 책임을 묻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기간을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관계에 있는 근로자가 사용자에게 사직의 의사를 표시하고 사용자는 이에 대해 거부의사를 표시할 경우 민법 제 660조에 따라 30일이 경과해야 사직의 효력이 발휘됩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근로자들의 사직의사를 거부할 경우 30일의 경과 기간 동안 성실하게 근로제공의 의무를 다한다면 이후 사직의 효력이 발휘되는 시점에 사직하여 출근하지 않더라도 사용자로서는 근로자에게 선해배상을 청구하긴 어렵습니다. 

     

    2) 다만 근로자들이 집단적으로 사업장에 손해를 끼칠 목적으로 퇴사를 기획하였다면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근로자들의 고의를 입증하여 사업장의 손해와의 연관성을 증명하면 손해배상의 책임이 제기될 수 있습니다. 귀하의 상담내용처럼 근로계약관계에서 순수하게 불만을 느껴 사용자를 상대로 퇴사의 의사를 밝히고 정상적으로 퇴사하였다면 문제될 것이 없다 보여집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단시간 근로자 초과 근무 수당에 대해서 1 2023.03.19 510
기타 실업급여 중 프리랜서 수익 1 2023.03.18 2184
임금·퇴직금 모텔숙박업 임금문의입니다... 1 2023.03.18 300
임금·퇴직금 급여에 관하여 2 2023.03.18 178
임금·퇴직금 연차수당 세금관련 비과세소득인가요? 1 2023.03.18 4313
기타 수습기간 중 당일퇴사를 하려는데 1 2023.03.18 1380
휴일·휴가 휴일대체 제도 구분 1 2023.03.17 656
임금·퇴직금 연봉협상 1 2023.03.17 188
휴일·휴가 퇴사 후 재입사 연차발생 부분 문의입니다. 1 2023.03.17 1913
휴일·휴가 야근계 안올렸다고 야근한 시간 인정안하는 회사 답변 부탁드립니다. 1 2023.03.17 569
휴일·휴가 연차사용과 주휴수당관련 1 2023.03.17 222
휴일·휴가 연차촉진일수 차등 적용 가능 여부 1 2023.03.17 343
해고·징계 구조조정 정리해고 대응 1 2023.03.17 1033
기타 스톡옵션 지급 가능할까요? 1 2023.03.17 195
휴일·휴가 건강검진 유급휴가건 1 2023.03.17 1845
임금·퇴직금 퇴직금 지급 문의 1 2023.03.17 180
기타 가불 1 2023.03.16 123
휴일·휴가 당직근무 후 비번이 공휴일인 경우 1 2023.03.16 1558
산업재해 산재요양급여 수령전 급여지급 2023.03.16 585
근로계약 근로계약서 수습기간과 구두로 말한 수습기간 또 퇴사기간 1 2023.03.16 1871
Board Pagination Prev 1 ...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