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필 2023.03.31 09:00

1. 근로계약서

18시간, 140시간, 15일을 기준으로 근무한다.

계약서에 없는 사항은 근로기준법과 취업규칙에 따른다.

2. 취업규칙

사장이 필요할시 법령한도 내에서 연장,야간,휴일근무를 명할 수 있다.

업무상 필요할 때에는 휴일 또는 휴가 중이라도 츨근을 명할 수 있다.

회사는 필요할 경우 당직을 명할 수 있다.

3. 단체협약

1) 노동시간

18시간, 140시간, 15일을 기준 노동시간으로 한다.

회사는 기준노동시간을 초과할 경우 연장노동수당을 지급해야 한다.

2) 특별연장근무

긴급사항 발생으로 인한 연장근무 발생할 경우 제반비용을 실비로 지급한다.

 

============================================================================

회사의 특성상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여 업무 시간외나 휴일근무가 자주 발생하는 직업입니다.

위 1,2,3의 경우를 염두해 두고 질문 드리겠습니다.

 

1. 위 취업규칙상 근무를 "명"할 수 있다는 것은  근로자가 꼭 근무를 해야하는 것인지? 아니면 동의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2. 1명의 근로자가 아닌 전체 근로자가 시간외근무를 거부할 수도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서울
회사 업종 시설관리 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100~299인
본인 직무 직종 기타
노동조합 있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23.04.06 18:03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 취업규칙에도 불구하고 근로기준법 53조에 따르면 원칙적으로 연장, 야간, 휴일근로는 당사자간 합의하에 실시해야 하므로 일방이 거부하면 강제로 시행할 수 없을 것 입니다. 귀하의 설명만으로는 알 수 없으나 근로계약 등에 포괄적으로 합의한 경우 사전합의로 보기도 하므로 포괄적 합의여부에 대해 꼼꼼하게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2. 근로계약, 취업규칙, 단체협약에 따라 노사간 연장근로를 구체적으로 합의한 바 있다면 근로자가 정당한 사유없이 이를 거부(개별적, 집단적 모두)하는 경우 계약위반에 해당하여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노동조합에 의해 집단적으로 시간외근로를 거부한다면 쟁의행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근로시간 회사 근로자 인별 평균 연장근로 시간 산출 방법 2023.01.07 478
근로계약 포괄임금제 폐지 관련 1 2023.02.15 491
임금·퇴직금 퇴직금 산정시 시간외 수당 합산 기간 1 2023.02.16 1778
근로시간 연차(유급휴가) 사용한 주에 연장 근무할 경우 발생하는 수당 1 2023.02.16 3649
임금·퇴직금 1주 40시간 스케줄 근무자의 공휴일 근무에 따른 추가수당지급. 1 2023.03.13 2593
» 근로시간 시간외근무와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2023.03.31 355
근로계약 포괄임금제 인정되나요? (고정연장수당) 1 2023.05.04 1593
근로시간 포괄임금제 강제야근 맞는건가요? 2 2023.05.09 3214
임금·퇴직금 안녕하세요 급여와 근무 조건으로 인해 상담글 남깁니다 2023.05.18 166
휴일·휴가 사회복지시설 시간외근무 초과로 인한 대체휴무 지급 관련 문의 1 2023.05.29 1298
임금·퇴직금 정규직 전환시 포괄임금제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2023.06.09 347
임금·퇴직금 팀장이 되면서 시간외 수당이 빠지고 직책수당 추가 1 2023.07.13 1356
근로계약 시간외 근로 동의서, 비밀유지서약서 거부 시 1 2023.08.03 1025
임금·퇴직금 조기출근 문의 1 2023.08.22 354
근로계약 생산공정중 불량은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2023.09.06 259
직장갑질 연차 특정일 금지 2023.11.21 250
임금·퇴직금 시간외 수당 지급 문의 2023.11.29 199
근로시간 유연근무제 도입에 따른 시간외 근로수당 지급여부 문의 2023.12.27 349
임금·퇴직금 야간근로수당 지급 여부 2024.01.27 202
임금·퇴직금 토요일(휴일)근로시 시간외 수당 계산문의 2024.01.27 47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