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수가꿈 2023.04.18 10:38

안녕하세요,

저희는 50인 이상이며 최저임금 시간제로 월급여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월-일 24시간 운영되고 있어서

주40시간 근로자부터 15시간 미만 근로자까지 다양한 시간제가 근로하고 있는 형태입니다.

 

 

다가오는 5월에 법정공휴일이 상당히 많아서 급여 지급을 할 때 고민이 있어 글을 남깁니다.

 

1. 법정공휴일은 근무를 하면 시급 2.5배 적용 / 근무하지 않으면 1배 적용으로 알고 있습니다.

예) 5월 5일 어린이날 4시간 근무 시

9,620원 * 4시간 * 2.5배 = 96,200원

5월 5일 어린이날 4시간 근로자 미근무 시

9,620원 * 4시간 * 1배 = 38,480원

이렇게 급여 계산하면 되는 건지요?

또 하나, 법정공휴일에 근무하지 않아도 주휴수당에는 근무일 포함해서 계산하나요?

 

2. 만약 법정공휴일에 연차를 사용하게 된다면, 이 때는 시급 적용이 어떻게 되나요?

2.5배 적용이 되는 건가요, 아님 그냥 1배 적용이 되는 건가요?

 

3. 만약 포괄임금제로 전환하게 된다고 하면 

예) 일일 8시간 20일 근로를 기준이라고 한다면,

(9,620원 * 일8시간 * 20일) + (주휴수당 9,620원 * 일8시간 * 4주) = 1,847,040원

월급여 1,850,000원 정도로 계산하면 되나요?
이 때 법정공휴일은 어떻게 계산해야 하나요?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서울
회사 업종 보건업 사회복지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50~9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23.04.28 09:55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 자세한 상황을 알기 어려우나 월급제의 경우는 월급여에 유급휴일에 대한 임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휴일근로시 1.5배 이상만 지급하면 됩니다. 귀하의 설명은 시급제에 해당하는 내용으로써 시급제로 임금을 지급하는 경우 귀하의 말씀이 맞습니다. 법정공휴일은 근로제공의 의무가 없는 날이므로 주휴수당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2. 휴일은 근로제공의 의무가 없으므로 연차사용이 불가합니다.

     

    3. 포괄임금제는 '근로시간의 산정이 어려운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와 근로자 사이에 기본임금을 미리 산정하지 아니한 채 법정수당까지 포함된 금액을 월급여액이나 일당임금으로 정하거나 기본임금을 미리 산정하면서도 법정 제 수당을 구분하지 아니한 채 일정액을 법정 제 수당으로 정하여 이를 근로시간 수에 상관없이 지급하기로 약정'하는 임금계약방식입니다. 따라서 위법의 가능성이 높고 임금계약의 특성상 당사자간 약정이 가능하므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운 점 양해바랍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근로계약 근로계약 추가사항 2023.04.27 195
해고·징계 시말서 1 2023.04.27 193
임금·퇴직금 계약연봉에 포함된 상여금의 통상임금 여부?? 1 2023.04.27 1678
임금·퇴직금 통상임금 관련 1 2023.04.26 266
근로계약 고용승계 직급 문의 1 2023.04.26 294
휴일·휴가 2년 못 채우고 중도 퇴사시 생기는 연차의 수와 퇴직일, 실제 근... 2 2023.04.26 2152
임금·퇴직금 4인이하사업장 퇴직금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중 어느것으로 1 2023.04.26 486
고용보험 2021년 퇴사한 회사에서 2022년에 받은 연차수당에 대한 건강보험료 2023.04.26 491
노동조합 수습기간중에 휴직이된다면 수습기간이 채워지나요? 1 2023.04.26 525
휴일·휴가 휴일추가근로 수당 1 2023.04.26 673
임금·퇴직금 퇴직금 산정시 "야간전담간호사비" 평균임금 포함여부 1 2023.04.26 308
휴일·휴가 회사측에서 연차수당을 주지않으려 일방적인 퇴사일자 변경시 대... 1 2023.04.26 661
휴일·휴가 1년 미만 퇴사자 연차관련 문의드립니다. 1 2023.04.26 595
해고·징계 이런 경우 실업급여는 어떻게 되나요? 1 2023.04.26 423
임금·퇴직금 식대는 비과세 필수 항목이 아닌지와 미지급 주휴수당 지급가능여... 2023.04.25 901
해고·징계 출산휴가전 해고 2023.04.25 202
기타 아웃소싱 파견근무퇴사후 성과급지급 2023.04.25 160
임금·퇴직금 장기간 파업으로 인한 퇴직금 지급시, 상여금 반영 기간에 관해 ... 2023.04.25 565
고용보험 실업급여 대상 여부 2023.04.25 200
기타 육아시간 사용 관련 미허용시 회사에 요청할 수 있는 방법은? 2023.04.25 208
Board Pagination Prev 1 ...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