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ginal 2023.11.13 18:01

 

1]근무조건 : 일급제(계약서상 1일 소정근무시간 8시간) 스케줄 계약직 근로자

( 111,600 - 기본급 88,000/주휴수당(일급기준)18,600/식대5,000)

-> 통상임금은 아래 두가지 방법중 어떤 것이 맞을까요, 문의처마다 답변이 달라 곤혹스럽습니다.

 1) 111,600/8시간 = 13,950(통상시급)

 2) 주휴는 제외한 (88,000+5,000)/8시간 = 11,625원

 

2]근무기간 : 2023 5 22일 월요일 ~ 5 28일 일요일 근로

1) 토요일의 경우 공휴일(부처님오신날)로 계약서상 8시간이 아닌 5시간만 근로

- 기본급(8시간) + 휴일근로(5시간) + 가산수당(5시간 * 50%) 

1-1)  111,600+ (11,000*5 + 18,600 + 2,500) + (13,950*5*50%)

1-2) 일 93,000원(기본급+식대) + (11,000*5 + 2,500(4시간 이상인 경우 절반지급중)) + (11,625*5*50%)

핵심은 주휴를 빼고 계산하는 게 맞는지, 포함해야 하는 것인지입니다

 

2) 일요일의 경우 주 40시간이 초과되는 2시간에 대해 아래의 계산이 맞는지? (1주일 총 42시간 근무)

5시간 기본급 + 2시간 초과근로 150% (이경우 계산(기본급에 주휴는 포함인지, 초과근로의 통상임금은 어떻게 되는지)은 어떻게 하는 것이 맞을까요)

 

위 계산으로 지급되는 항목들은 급여 명세서에 표기는 어떤 시간까지를 어떻게 나누어야 하는지, (기본급/초과근무수당/휴일근무수당)

 

 

Extra Form
성별 남성
회사 업종 보건업 사회복지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100~29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24.01.02 11:24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별도의 통상임금 시간급에 대해 정함이 없고 식대가 식사여부에 따라 지급되는 실비변상적 성격의 금품이 아닌 식사여부와 무관하게 비과세를 목적으로 책정된 경우라면 원칙적으로 통상임금에 해당하는 기본급과 식대의 합을 해당 소정근로시간 8시간으로 나눈 11,625원이 통상임금 시간급이 됩니다. 

     

    2) 따라서 유급휴일인 공휴일에 5시간 근ㄹ제공시 5시간*11,625원*1.5배+ 1일 일급을 더해 급여를 지급바으시면 됩니다. 근로계약상 식대의 지급요건을 별도로 정한바 없다면 식대는 고정적, 정기적, 일률적 성격의 금품으로 공휴일에 근로제공을 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지급되어야 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노동조합 근로면제시간 2023.12.30 239
근로계약 3개월 계약직 계약 연장 2023.12.28 691
근로시간 유연근무제 도입에 따른 시간외 근로수당 지급여부 문의 2023.12.27 348
여성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시 질문 드립니다 2023.12.27 316
근로계약 근로계약서 매년 갱신 재작성 여부 2023.12.26 985
근로시간 감시단속직 상근직 대근투입여부 2023.12.18 198
근로계약 퇴사 의사 전달기간 문의 2023.12.15 254
근로계약 근로계약석 (연봉계약서) 및 급여명세서 기본급, 제수당 자세한 ... 2023.12.14 1003
기타 병원소속 직원이 해당 병원에서 진행하는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경... 2023.12.13 202
근로시간 시설관리(기술직)직원 소정근로시간 산출에 대하여 2023.12.11 154
임금·퇴직금 사전안내 없이 월급에서 퇴직연금을 제했어요 2023.12.08 441
임금·퇴직금 퇴직금 관련 문의 2023.12.08 375
임금·퇴직금 잔업수당 추가분으로 고정OT(수당) 지급 2023.12.08 552
근로계약 연봉계약서 수정 2023.12.07 160
근로시간 야간수당문의 2023.12.07 123
휴일·휴가 119안전센터 상시근로자 수 산정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2023.12.06 120
임금·퇴직금 감시단속적 근로자 연차수당 문의 2023.12.06 442
근로계약 정규직에서 기간제 계약직으로 전환시 문의드립니다. 2023.12.04 439
근로계약 근로계약서 없이 일하다 생긴 손해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을까요? 2023.12.02 298
휴일·휴가 단시간근로자 연차계산 문의(주6일출근) 2023.12.01 717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38 Next
/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