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01
Extra Form
행정해석 번호 근로기준정책과-4451
행정해석 일자 2021.12.23.

입학요강 상 자녀 우선 입학 조건 설정이 차별에 해당하는지

(근로기준정책과-4451, 2021.12.23.)

질의

서울 소재 외국인학교에서 근로계약서상 직원의 자녀는 해당 학교의 장학금과 교복할인 혜택이 있음이 명시되어 있고, 입학요강상 최우선 입학순위 리스트에 직원의 자녀가 적혀있음에도 한국에서 채용된 직원 자녀의 학교 입학은 거부하고 해외에서 채용된 직원 자녀의 입학은 허용한 것이 근로기준법 제6조에서 금지하는 차별에 해당하여 처벌이 가능한지

회시 답변

근로기준법 제6조(균등한 처우)는 “사용자는 근로자에 대하여 남녀의 성(性)을 이유로 차별적 대우를 하지 못하고, 국적・신앙 또는 사회적 신분을 이유로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적 처우를 하지 못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바,

- 제6조에서 금지하는 ‘차별적 처우’는 ‘근로조건’에 대한 것으로, 입학요강상 해당 외국인학교 직원의 자녀를 입학 최우선 순위에 두는 것을 근로조건이라고 보기는 어려울 것으로 사료되며, 제6조 위반에 따른 벌칙조항인 근로기준법 제114조 적용대상은 아닌 것으로 판단됨.

(근로기준정책과-4451, 2021.12.23.)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취업규칙 작성·신고 정부 예산 지침을 근거로 취업규칙과 다른 근로조건을 적용할 수 있는지
해고ㆍ징계ㆍ감봉 비위행위자에 대한 성과급, 명예퇴직수당 지급 기준 마련시 감급 제재 규정의 제한을 받는지
근로자ㆍ적용 대학병원 교원이 협력병원에 겸직할 때 협력병원을 사용자로 볼 수 있는지
노동기본권 채용일을 기준으로 재고용 여부를 달리하는 것이 차별에 해당하는지
근로자ㆍ적용 해외법인 흡수합병 시 피 합병회사 소속으로 있던 근로자에 대하여 준거법을 선택할 수 있는지
근로자대표 일부 직종, 부서에만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도입하고자 하는 경우 근로자대표 선출 단위
취업규칙 작성·신고 퇴직자에게도 취업규칙을 적용할 수 있는지
근로시간・휴일 적용제외 일반근로자가 단속적 근로자의 업무를 대신하는 경우 임금 산정
기타 직원 추천 채용시 포상금을 지급하는 것이 중간 착취 배제 규정에 위배되는지
임금ㆍ평균임금 매출달성 이후 협의로 배분율을 정하는 금품의 임금성 여부
직장내괴롭힘 구조조정, 성과압박, 노조탄압 등이 직장내 괴롭힘에 해당하는지
취업규칙 변경 불리하게 변경하는 취업규칙의 찬반 의견 교환 후 취합하는 방법
해고ㆍ징계ㆍ감봉 직위해제 기간에 대한 보수 감액지급이 감급 제재에 해당하는지
기타 가해자의 상급자를 폭행금지 위반 양벌규정으로 처벌할 수 있는지
휴업ㆍ휴업수당 업무 특성상 업무수행이 불가능한 기간 대기발령한 경우 휴업수당 발생 여부
근로시간 선택적 근로시간제하에서 의무적 시간대 설정 방법
근로시간 교대제 적용 근로자에 대해서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적용할 수 있는지
직장내괴롭힘 피해근로자 의견청취의 의미와 의견청취 시점
임금ㆍ평균임금 연장근로수당이 줄어든 기간을 평균임금 계산기간에서 제외힐 수 있는지 여부
근로시간 승진시험 시간이 근로시간에 해당하는지
근로자ㆍ적용 교원인 의사가 협력병원에 겸직할 때 협력병원의 근로자로 볼 수 있는지
임금 지급ㆍ청산ㆍ소멸 노동위원회의 차별처우 시정명령을 미이행한 경우 금품청산 적용 여부
취업규칙 변경 사내 인트라넷을 통해 개별 전자서명 형식으로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 동의를 받을 수 있는지
취업규칙 변경 특정 근로자 집단에만 한정하여 적용할 규정을 신설한 경우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 여부 및 동의 주체
휴업ㆍ휴업수당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사용하는 경우의 휴업수당
직장내괴롭힘 사립대학교 교원과 직원 간에 우위성 인정 여부
취업규칙 변경 변경된 연봉제 규정은 변경 시행일 이후 입사한 근로자에게만 적용되는지
직장내괴롭힘 직장내 괴롭힘 조사 과정에 당사자 강제 참여 및 조사 생략 가능 여부
근로자ㆍ적용 선원이 육상에서 근로한 경우 근로기준법 적용 여부
해고ㆍ징계ㆍ감봉 직급을 하향시키는 강임으로 인한 임금 감액이 감급 제재 규정 적용 대상인지
해고ㆍ징계ㆍ감봉 아파트 관리사무소 근로자를 다른 아파트로 전보할 수 있는지
임금 지급ㆍ청산ㆍ소멸 법정교육시간에 대한 별도의 임금기준을 정해도 되는지
근로계약・변경・사직 근로자의 고용주체 변경이 가능한지
정리해고ㆍ고용승계 정리해고 후 정년 도달 근로자를 재고용하는 것이 해고근로자의 우선재고용권을 침해하는 것은 아니다.
취업규칙 변경 승진체계 개편 등 특정 직종에 대한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시 동의 주체
직장내괴롭힘 직장내 괴롭힘 조사 과정은 어디까지로 볼 수 있는지
연장ㆍ야간ㆍ휴일근로 특별연장근로 건강검진이 산업안전보건법상 건강검진을 대체할 수 있는지
연차 사용촉진・대체사용 주40시간을 초과하는 약정 근로일의 연차휴가 적용 가능 여부
해고ㆍ징계ㆍ감봉 체류자격 상실자에 대한 근로계약 해지가 적법한지
임금 지급ㆍ청산ㆍ소멸 임금 일부를 기부하기 위한 임금공제시 매월 동의서를 받아야 하는지
근로시간 특정 부서, 특정 근로자에게만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적용할 수 있는지
근로계약・변경・사직 사용자는 당초의 근로계약 내용과 다른 업무지시를 할 수 있는지
통상임금 탄력적 근로시간제 도입에 따른 보전수당의 통상임금 해당 여부
휴업ㆍ휴업수당 수사 중인 근로자를 업무배제하는 경우 휴업수당을 지급해야 하는지
휴업ㆍ휴업수당 직위해제 시 휴업수당 발생 여부
연차휴가ㆍ수당 적법한 쟁의행위 시 연차휴가 계산방법
직장내괴롭힘 불법파견 시에도 파견근로자에게 직장내 괴롭힘 금지 규정이 적용되는지
취업규칙 변경 직장 단체보험의 보장 내용을 축소 변경하는 것이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 여부
근로자ㆍ적용 근로계약 체결 후 근무개시가 없었을 경우 상시 근로자 수 산정 방법
취업규칙 작성·신고 고용승계된 근로자가 적용받는 취업규칙은 무엇인지
노동기본권 고정연장근로수당 기준을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차별에 해당하는지
해고ㆍ징계ㆍ감봉 장해급여 수급기간이 해고금지 기간에 해당하는지
근로계약・변경・사직 하나의 법인 내 다른 소속 기관으로 근무하게 될 경우 다시 근로계약을 체결해야 하는지
통상임금 출퇴근 불편 해소를 위한 거주지 이동에 지원하는 주거수당이 통상임금에 해당하는지 여부
임금 지급ㆍ청산ㆍ소멸 간식비를 상품권으로 지급할 수 있는지
직장내괴롭힘 파견근로자도 직장내 괴롭힘 규정을 적용받는지
근로자ㆍ적용 채용 전형 중에 있는 자가 근로자인지 여부
직장내괴롭힘 협력사 직원에 대한 직장내 괴롭힘으로까지 적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지
임금 지급ㆍ청산ㆍ소멸 도급인의 귀책사유로 수급인이 휴업수당을 지급하지 못하는 경우 도급인의 연대책임 여부
기타 사용증명서 발급 시점인 '즉시'의 개념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