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미네 2024.03.14 11:26

안녕하세요!

2021/2/15 입사 2024/3/31 퇴사 예정입니다.

회사가 연차수당을 제대로 안줄것같아 미리 문의드립니다.

 

2021/3/15~2022/1/15 매월 1개씩 해서 11개

2022/2/15일에 15개

2023/2/15일에 15개

2024/2/15일에 16개 해서 총 57개가 발생한다고 알고있는데,

 

회사에서는 2021~2022 2년간 10개 부여 / 2년동안 10개 사용

2023년 1.1일에 19.5개 / 19.5개 사용

24년 1.1일에 20개 / 2개 소진

 

한 상태입니다.

(3년 1개월 15일동안 총 49.5개 부여, 31.5개 소진) 

 

회사 입장에서는 18개만 수당으로 줄것같은데 

제생각에는 입사일 기준으로 하여 57개중 실사용갯수 31.5개 빼고 26.5개를 수당으로 받아야 맞는것같습니다.

노동ok사이트에도 입사일 기준으로 한 연차가 많을 시에는 입사일 기준으로 수당을 받아야 한다더라구요

 

제 계산이 맞는 것인지 문의드립니다.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대구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50~9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2'


  • Theia 2024.03.15 11:46작성

    글에.. 조금 내용설명이 많이 부족한듯 합니다.. // 정확이 년차사용일도 시점도 안적혀 있을 뿐더러~

    2024.01.01일 회사회계기준으로 왜? 20개가 발생했는지.. 파악 불가함  (월차 또는 잔여연차 이월이 있는건지)

     

    회계기준과, 입사일기준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년차사용일자를 정확히 따져가면서 파악해야 합니다.

     

    + 퇴사시 연차수당 지급에 있어서는 근로자에게 유리한 조건으로 따집니다.

       03.31일 기준으로 퇴사시 회계기준으로 남은 년차  또는  2023.02.15~24.03.14 까지 사용한년차가 15개 이하라면

       2024.02.15에 입사일기준으로 파생되는 년차  16개 

       둘중 하나로 유리한 조건으로 년차수당 지급 // 올해 회계기준으로 왜 20개인지는 설명 부족하지만, 2개소진후

       18개가 남았다면, 회계기준이 더 유리하기에 년차수당은 18개로 지급될것으로 사료됨

       

     

    + 연차사용촉진을 매년 회사가 진행하지 않았다면, 질문자님 계산으로 최근3년간 임금에 대해서는 청구가능함으로

       이건 회사측에 통보하셔서 협의를 하셔야 할 부분.. 연차사용촉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졌다면, 청구 불가능하나,,,

       대부분은 FM대로.. 연차사용촉진하는 기업이 있을지 의문..  보통.. 이런 부분은 퇴사후..노동청..

     

     

     

     

  • 라미네 2024.03.19 16:21작성

    안녕하세요 우선 답글 감사합니다!

     

    저희 회사는 일단 1/1기준으로 연차를 부여합니다

    올해 20개의 연차를 부여받은 이유는, 입사 첫해에 발생했던 월차를 하나도 못쓰게 했어서 이부분을 따졌더니

    담당자가 본인 권한으로 올해와 내년에 나눠서 연차에 추가해주겠다 해서 기존연차16개+추가4개 이렇게 받았습니다.

    (당연히... 연차사용촉진은.. 한번도 받은적이 없습니다.)

     

    아무튼 저의 계산이 맞는듯 하여 제 계산대로 담당자에게 전달해놓은 상태이고

    퇴직하고 제대로 입금해주는지 확인하려고 합니다. 

     

    다시한번 답글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월급제를 시급으로 할때 어떤게 맞을까요? 1 2024.04.18 131
직장갑질 회사에서 고용한 노무사 대면조사 꼭 응해야 하나요? 1 2024.04.18 133
임금·퇴직금 시급직에서 월급직(포괄임금제) 전환 시 계약급여 산정 문의드립... 1 2024.04.18 155
임금·퇴직금 퇴직금 발생일자 문의 1 2024.04.17 167
임금·퇴직금 DC형 퇴직급 정기납입일 문의 1 2024.04.17 108
근로계약 육아휴직 대체자의 무기계약직 전환 가능 문의 1 2024.04.17 200
근로계약 산업기능요원 실업급여 1 2024.04.17 145
임금·퇴직금 퇴직금 산정 기준 문의 (귀속,지급 기준) 1 2024.04.17 230
근로시간 40시간 미만근로자(주 35시간, 25시간) 근로자에 대한 휴게시간 부여 1 2024.04.17 261
기타 연차관련 문의 드립니다. 1 2024.04.17 238
근로시간 1일근무 2일휴무 근로시간 1 2024.04.16 198
해고·징계 부당해고가 맞는지 궁금합니다 1 2024.04.16 414
근로계약 주3일 8시간 포괄산정연장근로시간은 월 몇시간일까요? 1 2024.04.16 169
임금·퇴직금 연차 수당 지급 법적 보장 기간 문의 1 2024.04.16 144
근로시간 임금피크제 초과근무 관련 문의 1 2024.04.16 177
휴일·휴가 퇴사 시 연차 계산 문의드립니다. 1 2024.04.16 379
임금·퇴직금 퇴직 후 회사에서 입금 요청 1 2024.04.16 273
근로계약 공고상 복리후생과 실제 조건 상이 1 2024.04.16 104
해고·징계 사업장 양도시 해고수당 지급 유무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 1 2024.04.16 118
휴일·휴가 임신기 휴일근무 문의 1 2024.04.16 107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