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미네 2024.03.14 11:26

안녕하세요!

2021/2/15 입사 2024/3/31 퇴사 예정입니다.

회사가 연차수당을 제대로 안줄것같아 미리 문의드립니다.

 

2021/3/15~2022/1/15 매월 1개씩 해서 11개

2022/2/15일에 15개

2023/2/15일에 15개

2024/2/15일에 16개 해서 총 57개가 발생한다고 알고있는데,

 

회사에서는 2021~2022 2년간 10개 부여 / 2년동안 10개 사용

2023년 1.1일에 19.5개 / 19.5개 사용

24년 1.1일에 20개 / 2개 소진

 

한 상태입니다.

(3년 1개월 15일동안 총 49.5개 부여, 31.5개 소진) 

 

회사 입장에서는 18개만 수당으로 줄것같은데 

제생각에는 입사일 기준으로 하여 57개중 실사용갯수 31.5개 빼고 26.5개를 수당으로 받아야 맞는것같습니다.

노동ok사이트에도 입사일 기준으로 한 연차가 많을 시에는 입사일 기준으로 수당을 받아야 한다더라구요

 

제 계산이 맞는 것인지 문의드립니다.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대구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50~9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2'


  • Theia 2024.03.15 11:46작성

    글에.. 조금 내용설명이 많이 부족한듯 합니다.. // 정확이 년차사용일도 시점도 안적혀 있을 뿐더러~

    2024.01.01일 회사회계기준으로 왜? 20개가 발생했는지.. 파악 불가함  (월차 또는 잔여연차 이월이 있는건지)

     

    회계기준과, 입사일기준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년차사용일자를 정확히 따져가면서 파악해야 합니다.

     

    + 퇴사시 연차수당 지급에 있어서는 근로자에게 유리한 조건으로 따집니다.

       03.31일 기준으로 퇴사시 회계기준으로 남은 년차  또는  2023.02.15~24.03.14 까지 사용한년차가 15개 이하라면

       2024.02.15에 입사일기준으로 파생되는 년차  16개 

       둘중 하나로 유리한 조건으로 년차수당 지급 // 올해 회계기준으로 왜 20개인지는 설명 부족하지만, 2개소진후

       18개가 남았다면, 회계기준이 더 유리하기에 년차수당은 18개로 지급될것으로 사료됨

       

     

    + 연차사용촉진을 매년 회사가 진행하지 않았다면, 질문자님 계산으로 최근3년간 임금에 대해서는 청구가능함으로

       이건 회사측에 통보하셔서 협의를 하셔야 할 부분.. 연차사용촉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졌다면, 청구 불가능하나,,,

       대부분은 FM대로.. 연차사용촉진하는 기업이 있을지 의문..  보통.. 이런 부분은 퇴사후..노동청..

     

     

     

     

  • 라미네 2024.03.19 16:21작성

    안녕하세요 우선 답글 감사합니다!

     

    저희 회사는 일단 1/1기준으로 연차를 부여합니다

    올해 20개의 연차를 부여받은 이유는, 입사 첫해에 발생했던 월차를 하나도 못쓰게 했어서 이부분을 따졌더니

    담당자가 본인 권한으로 올해와 내년에 나눠서 연차에 추가해주겠다 해서 기존연차16개+추가4개 이렇게 받았습니다.

    (당연히... 연차사용촉진은.. 한번도 받은적이 없습니다.)

     

    아무튼 저의 계산이 맞는듯 하여 제 계산대로 담당자에게 전달해놓은 상태이고

    퇴직하고 제대로 입금해주는지 확인하려고 합니다. 

     

    다시한번 답글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딱 1년 근무 시 2년차 연차발생 여부문의(변경된 행정해석 질의) 1 2024.04.12 286
임금·퇴직금 통상임금 해당여부 1 2024.04.12 479
휴일·휴가 연차수당 상세계산법이 궁금합니다. 1 2024.04.12 300
임금·퇴직금 근로자의 날 5월 1일 근무에 대한 문의 1 2024.04.12 342
휴일·휴가 주27시간 단시간 근로 정규직 연차일수 연차수당 연차 문의드리니다. 1 2024.04.12 277
휴일·휴가 연차촉진에 대한 1 2024.04.12 264
임금·퇴직금 각종 수당의 통상임금 산입기준과 도움을 받을 곳이 궁금합니다. 1 2024.04.11 275
임금·퇴직금 퇴직금계산 문의 1 2024.04.11 198
해고·징계 부당해고 및 손해배상청구 가능성 1 2024.04.10 383
휴일·휴가 퇴사시 발생연차 일수 산출 1 2024.04.09 249
근로시간 공휴일을 포함한 주 토요일 연장근로 계산 1 2024.04.09 402
임금·퇴직금 12시간 근무 후 휴무자의 급여 정산 방법 1 2024.04.09 242
휴일·휴가 퇴사 시 연차 갯수 1 2024.04.09 406
휴일·휴가 휴일수당 미지급 신고시 1 2024.04.09 361
기타 이중취업 관련: 공공기관 종사자 부수입(연간: 2천만원 초과) 건... 1 2024.04.09 351
기타 동료직원 단축근무로 인한 추가 배정업무 거부할수 있는지 궁금합... 1 2024.04.09 108
근로시간 사측의 유연근무 강요 및 정규직과 계약직의 근무에 대한 보상 차... 1 2024.04.09 163
임금·퇴직금 수습기간 중도퇴사 급여지급 1 2024.04.09 304
기타 법정의무교육 및 중대재해처벌법 교육 문의 1 2024.04.09 297
근로계약 D-2 외국인유학생 비자 알바 신고 1 2024.04.08 505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