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irjshhehrdk 2024.03.15 12:10

2020.03.09 입사, 연차사용개수 : 0/9 (4~12월 : 9생성) - 제 생각입니다.

2021 연차사용개수 : 13/15

2022 연차사용개수 : 15/15 (촉진대상)

2023 연차사용개수 : 14/15 (촉진대상)

2024.02.22 퇴사, 연차사용개수 : 2/16 (올해부터 16개라고 통보 받았습니다.)

 

회사에서 2년차 이후 부터는 연차촉진대상이라고 통보 받았고

회사에서 휴가 촉진을 회계년도 단위로 즉, 1년 단위로 했습니다.

 

그럼 20년 3월에 입사했으니 4~12월 = 9개

21년 15 - 13 = 2개

22,23년도 촉진대상으로 제외

24년 16 - 2 = 14개

9+2+14 = 25개가 맞을까요?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전북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50~9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2'


  • Theia 2024.03.15 12:43작성

    2021년 3.9일  월차 11 + 년차15 =26  (단 1년미만월차 11개에 대해여 촉진 안했다는가정하)

    1년미만근로자 년차촉진은 2020년 3월31일인가? 아마 그때쯤 법개정되서

    시행하도록 바꼇는데.. 메뉴얼이 복잡해서.. 보통 다음해  26 -빼기 사용한월차 차감하고 파생함..

     

    26-13 잔여연차 = 13개  (년차사용촉진헀다면 사라지거나, 년차수당지급)

     

    2022년 3.9일 년차 15

    15-15  = 잔여연차 0개

     

    2023년 3.9 년차가 파생되어야 하는데? 2023.2.22 퇴사?

    근데 2023년에 14개를 썻다고 하니... 퇴사일자오류?  2024.2.22일 보고

    근속3년차 16개 - 사용 14 = 잔여연차 2개

    근데 또 올해 2024년 2개 사용했다니  잔여연차 0

     

    상기내용은 입사일 기준 연차이며

    입사일 기준으로는 연차수당 발생안합니다.

     

    상기 답변은.. 입사일만 적어져 있어서 입사일 기준으로만 계산됨

    회사가 회계기준으로 년차 운영중이라면 3년간 년차사용일자 까지 확인해야 정확한 계산가능

    마지막 근무가 입사일까지 근무하지 않으면 즉 2024.3.9일 근무하지 않으면 무조건 회계기준이 유리함. 

    2.22일까지 근무 후 퇴사하셨다면 입사일 기준으로 올해 3년차 연차가 파생되지 않음

    회사가 회계기준으로 연차수당을 줬다면 몇개 줬는지는 3년간 년차사용일자 다 봐야함

     

    이상 지나가던 행인 답변 드립니다.

  • heirjshhehrdk 2024.03.15 12:56작성

    죄송합니다 오타입니다 2024.02.22 퇴사입니다
    24년도에는 2개 사용 했습니다

    회사는 회계년도 기준으로 적용한다기에 1년 단위로 연차사용을 촉진 했습니다. 결과 받을때는 입사년도 기준으로 지급되었다고 하네요

    회사에서 2년차 이후 부터는 연차촉진대상

    회사는 회계년도 기준으로 적용한다기에 1년 단위로 연차사용을 촉진 했습니다. 결과 받을때는 입사년도 기준으로 지급되었다고 하네요.

    그럼 20년 3월에 입사했으니 4~12월 = 9개

    21년 15 - 13 = 2개

    22,23년도 촉진대상으로 제외

    24년 16 - 2 = 14개

    9+2+14 = 25개가 맞을까요?


List of Articles
휴일·휴가 연장근로 문의 1 2024.04.19 106
임금·퇴직금 퇴직금 중간정산 사유 문의 1 2024.04.19 357
근로시간 단시간근로자의 소정근로시간 유연적 적용 가능여부 문의 1 2024.04.19 195
기타 복리후생제도 변경 1 2024.04.19 141
근로시간 휴게시설 설치 위반 여부 1 2024.04.19 206
고용보험 근로계약서상 고용보험 1 2024.04.18 120
임금·퇴직금 금요일 회사사정상 휴무 하고 퇴사 급여정산및 퇴직금 정산일자 문의 1 2024.04.18 189
임금·퇴직금 고정 OT 월급제일 경우 공휴일 미근무시 연장 감액가능한가요 1 2024.04.18 230
임금·퇴직금 근로계약 기간 단절이 되지 않았다면 퇴직금 받을 수 있는지요? 1 2024.04.18 135
임금·퇴직금 근로기준위반 1 2024.04.18 115
임금·퇴직금 월급제를 시급으로 할때 어떤게 맞을까요? 1 2024.04.18 147
직장갑질 회사에서 고용한 노무사 대면조사 꼭 응해야 하나요? 1 2024.04.18 151
임금·퇴직금 시급직에서 월급직(포괄임금제) 전환 시 계약급여 산정 문의드립... 1 2024.04.18 187
임금·퇴직금 퇴직금 발생일자 문의 1 2024.04.17 180
임금·퇴직금 DC형 퇴직급 정기납입일 문의 1 2024.04.17 115
근로계약 육아휴직 대체자의 무기계약직 전환 가능 문의 1 2024.04.17 241
근로계약 산업기능요원 실업급여 1 2024.04.17 178
임금·퇴직금 퇴직금 산정 기준 문의 (귀속,지급 기준) 1 2024.04.17 253
근로시간 40시간 미만근로자(주 35시간, 25시간) 근로자에 대한 휴게시간 부여 1 2024.04.17 304
기타 연차관련 문의 드립니다. 1 2024.04.17 247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