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0
Extra Form
행정해석 번호 근로기준정책과-4935
행정해석 일자 2020.12.11.

병가기간 중 유급처리하던 주휴일을 무급으로 취업규칙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지

(근로기준정책과-4935, 2020.12.11.)

질의

단체협약에 따른 유급병가 시 병가기간 중에 주휴일이 포함될 경우 그동안 주휴일도 유급으로 부여해왔으나, 공무직 관리규정의 개정을 통해 주휴일을 무급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지

회시 답변

귀 질의상 단체협약에서 연 60일의 범위 안에서 유급병가를 허가할 수 있도록 규정하면서 유급병가기간 중에 포함된 주휴일에 대해서는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 등에 따로 정한 바 없이 그동안 유급으로 해온 것으로 보임.

- 따라서 주휴일을 유급으로 해온 것이 단체협약에 근거한 것인지 여부는 단체협약 체결 시 노사 당사자 간 의사가 중요한 바, 당사자 간 이견이 있는 경우에는 이에 대해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34조에 따라 관할 노동위원회에 단체협약의 해석을 요청할 수 있음을 알려드림.

한편, 근로기준법 제94조제1항은 “취업규칙 작성 및 변경 시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노동조합, 그러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과반수 의견을 들어야 하며, 다만 취업규칙을 불이익하게 변경하는 경우에는 그 동의를 받아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음.

- 만약 귀 단체에서 개정하고자 하는 공무직 관리규정이 근로조건과 복무규율에 관한 기준을 정한 것이라면 취업규칙에 해당하므로, 위 법에서 정한 절차에 따라 적법하게 개정하여야 할 것임.

- 또한, 종전에는 유급병가기간 중에 포함된 주휴일을 유급으로 해오다가 이를 무급으로 변경하거나 기존에 지급하던 수당을 미지급하도록 규정을 신설하는 것은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에 해당하므로,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노동조합, 그러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과반수 동의를 받아야 할 것임.

다만,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33조는 “단체협약에 정한 근로조건 기타 근로자의 대우에 관한 기준에 위반하는 취업규칙 또는 근로계약의 부분은 무효로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음.

- 따라서 귀 질의상 개정하고자 하는 공무직 관리규정이 유효한지 여부는 단체협약의 내용에 위반되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됨.

(근로기준정책과-4935, 2020.12.11.)


관련 법률

근로기준법 제94조(규칙의 작성, 변경 절차)

① 사용자는 취업규칙의 작성 또는 변경에 관하여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노동조합,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과반수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다만, 취업규칙을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는 경우에는 그 동의를 받아야 한다.
② 사용자는 제93조에 따라 취업규칙을 신고할 때에는 제1항의 의견을 적은 서면을 첨부하여야 한다.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33조(기준의 효력)

①단체협약에 정한 근로조건 기타 근로자의 대우에 관한 기준에 위반하는 취업규칙 또는 근로계약의 부분은 무효로 한다.
②근로계약에 규정되지 아니한 사항 또는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무효로 된 부분은 단체협약에 정한 기준에 의한다.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연차휴가ㆍ수당 업무상 재해로 휴업한 기간에 대한 연차휴가 부여 여부
연차휴가ㆍ수당 코로나19 관련 무급휴직자의 연차휴가 계산방법
취업규칙 변경 취업규칙 내용을 구체화하는 것이 불이익 변경에 해당하는지
» 취업규칙 변경 병가기간 중 유급처리하던 주휴일을 무급으로 취업규칙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