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10.18 10:52


김 영수 님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1. 업무상과실에 대해

근로자가 업무수행중 과실이 발생하여 회사(또는 고객)측에 손해를 끼친 경우, 사업주(또는 고객)는 해당 근로자에 대해 손해배상청구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근로기준법에서는 근로자의 업무상 과실에 따른 사업주의 손해배상청구권까지 원천적으로 막고 있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민법상의 논리에따라 당사자간의 계약(고용계약)이 성실히 이행되지 못하고 그에따르는 금전적 손해를 입은 경우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는 것이지 손해배상을 "반드시 해야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모든 업무상의 과실행위에 대해 근로자에게 그 책임을 전가하는 경우, 근로자의 업무능률을 저하시켜 오히려 전체적으로 마이너스 효과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업주측에서도 근로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것은 신중히 처리해야 합니다.

2. 공금사용에 대해

귀하가 언급하신 공금문제에 대해서는 사업주로부터의 일정항 양해(적극적 인정과 묵시적 인정 포함)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이를 이유로 문제를 삼을 수는 없습니다.

3. 임금체불에 대해

사업주가 근로자의 업무상과실에 대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고하더라도 그 방법과 금액을 일방적으로 결정할 수는 없습니다.

법대로 한다면 어떠한 경우에도 근로자의 임금에 대해서는 전액 지불하여야 하며 세금과 공과금과 같이 법령에 근거한 것을 제외하고는 이를 원천적으로 공제하고 나머지를 지급하는 방식은 당연히 불법입니다.

사업주의 입장에서 근로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하려면 이를 법원에 소송(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하고 법원으로부터 손해의 책임여부와 그 배상액을 결정받으면 근로자의 임금에서 이를 공제할 수는 있씁니다.

그러나 귀하의 업무상 과실의 성격이 사업주의 관리감독의 소흘로 인하여 발생한 것이라기 보다는 귀하의 책임(분실에 따른 책임)이 크기때문에 사업주가 제기하는 50대 50의 비율은 사회통념적으로 타당하다고 사료됩니다.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Re: 임금인상과 상여금 지급에 관한 질문입니다. 1999.11.23 1706
Re: 복수노조는... 1999.11.22 1458
임금인상과 상여금 지급에 관한 질문입니다. 1999.11.22 1516
복수노조는... 1999.11.22 1590
Re: 소수노조 1999.11.22 1634
Re: 퇴사일과 퇴사처리일이 다릅니다..이하 3가지. 1999.11.22 1937
Re: 노조가입자격범위에 관하여... 1999.11.22 3242
Re: 공무원 간암의 공상처리 가능성에 대한 질문 1999.11.22 4236
Re: 이것이 궁금하다 1999.11.22 1638
소수노조 1999.11.22 2100
퇴사일과 퇴사처리일이 다릅니다..이하 3가지. 1999.11.22 2274
Re: 운영자님! 정말 분합니다 ㅠ+ㅠ 1999.11.22 1729
노조가입자격범위에 관하여... 1999.11.22 2080
Re: 연차수당에 관하여 궁금합니다...... 1999.11.22 1638
Re: 아르바이트 임금에대해 1999.11.22 1901
Re: 에이즈 환자의 부당해고 1999.11.22 2597
이것이 궁금하다 1999.11.22 1628
공무원 간암의 공상처리 가능성에 대한 질문 1999.11.22 3720
운영자님! 정말 분합니다 ㅠ+ㅠ 1999.11.21 1665
연차수당에 관하여 궁금합니다...... 1999.11.21 1802
Board Pagination Prev 1 ... 5848 5849 5850 5851 5852 5853 5854 5855 5856 5857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