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01.16 17:41


이제협 님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로서 사업주에게 근로를 제공하고 임금을 지급받는 근로자라면 원칙적으로 세법에 따라 근로소득세를 납부해야만합니다.

고용보험의 경우 월 80시간 이상을 근로하는 근로자는 종사직종에 관계없이 고용보험에 당연가입되는 것입니다.

국민연금과 의료보험제도 역시 의무가입제도를 택하고 있습니다.

일정한 측면에서 보면 이러한 사회보험의 가입을 법적으로 강제하는 것이 개별근로자의 사정에 따라 너무하는 것이 아니냐는 문제제기기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전사회적인 측면에서 근로자 전체에게 이익이 된다고 보기때문에 의무가입제로를 택하고 잇는 것 같습니다.

의료보험에 대해서 근로자는 직장의료보험이나 지역의료보험 중 선택하여 가입할 수 있으나, 보험료를 대비하면 지역의료보험보다 직장의료보험료가 훨씬 싸기 때문에 귀하의 직장의료보험에만 가입하고 부양가족이 있는 경우 가족들을 부양가족으로 등록하시면 될 것 같군요...

업무상재해와 관련하여 지난번 답변에서 한가지 놓친것 같은데....

산재보상보험법에 따라 산재판정을 받은것과 무관하게 근로자는 사업주에 대해 민사배상청구를 할 수있으며 이에 대해 당사자간에 원만히 해결되지 않을 경우, 이를 다투는 민사배상청구소송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산재판정(업무상 재해)을 받지 않는 상황에서 법정에서 하나부터 열까지 이를 다투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이 비 현실적이기는 합니다.

용역회사와 상의하여 치료의 완결을 위한 위자료를 지급할 의향이 있는지 상의해보시기 바랍니다.


즐거운 하루되시길....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Re: 퇴직금 중간정산에 관한 문의 2000.01.27 797
Re: 퇴직금 산정 방법 2000.01.27 814
Re: 근로계약에 대한 문의???? 2000.01.27 831
[질문] 부당해고 같은데... 도움을... 2000.01.27 974
경력인정 2000.01.26 992
노동조합 통장 만들기 2000.01.26 3130
장려급, 급여삭감에 대한 적법여부 조치방법질의 2000.01.26 941
근로계약서의 서명을 하지 않으면...... 2000.01.25 1684
연봉제 계약시 고용인이 국민연금.의보.고용보험.100%부담해야 하... 2000.01.25 1176
우리사주에 대해... 2000.01.25 902
채불 임금을 받을 수 있을까요? 2000.01.25 1077
조합원의 자격 발생 시기 2000.01.24 839
퇴직금 중간정산에 관한 문의 2000.01.24 1123
퇴직금 산정 방법 2000.01.24 979
Re: 임금문제대해 알고싶습니다. 2000.01.23 843
Re: 정말 궁금합니다. 2000.01.23 762
근로계약에 대한 문의???? 2000.01.23 860
Re: 일용직의 상여금과 퇴직금에 대해 궁금합니다. 2000.01.23 2201
Re: 구두근로계약의 법적인 구속 한계 2000.01.23 1544
Re: 년월차 수당 지급에 관한 문의입니다. 2000.01.23 999
Board Pagination Prev 1 ... 5833 5834 5835 5836 5837 5838 5839 5840 5841 5842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