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03.27 18:35

안녕하세요 박정훈 님. 한국노총입니다.

1. 임시직, 계약직. 일용직 근로자라하더라도 당연히 근로기준법에 따른 보호를 받습니다. 근로기준법에서는 근로자의 신분과 근로계약방법을 따지지는 않습니다. 다만, 사회의 '잘못된 상식'으로 임시직, 계약직, 일용직 근로자 등은 노동부에 신고도 못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는 '잘못된 상식'에 불과합니다.

2. 귀하의 경우 계약직 근로자로 보입니다.
1년이하의 근로계약기간을 정하고 근로를 제공하는 근로자를 '단기계약근로자'라 합니다. 단기계약근로자의 근로기준 등에 관해서는 이곳에서의 자세한 해설보다는 홈페이지 노동OK ---> 노동자료실에 등록된 32번 자료 <1년미만 단기계약근로자에 대한 근로기준법 등 적용방법 지침>을 다운받아 검토하시는 것이 효율적이라 판단됩니다.

즐거운 하루되시길...

박정훈 wrote:
> 수고하십니다.
> 저는 작년 (1999년 3월) 한 인쇄소로 부터 문서작성대행 아르바이트(2주간)를 하고 아직까지 약속된 금액(340,000원)을 지급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계속 입급해주겠다는 말만하고 약속은 이행하지 않다가 얼마전 부터는 전화도 받지 않고 있습니다. 제 경우도 임시계약직근로자에 해당되는지, 최고장을 발송하고, 노동부의 중재를 받을 자격에 해당되는지 알고싶습니다. 금액의 규모를 떠나서 신용과 인간성을 경시하는 무리로 부터 반드시 합당한 권리를 찾고 싶습니다.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Re: 유공자의 대우? 2000.04.04 516
고용보험! 왜 못봤죠.... 2000.04.02 1256
Re: 고용보험! 왜 못봤죠.... 2000.04.04 627
휴직기간과 연차산정 2000.04.01 1126
Re: 휴직기간과 연차산정 2000.04.04 1047
5인이하사업장에서의 연월차/생휴수당 2000.04.01 1545
Re: 5인이하사업장에서의 연월차/생휴수당 2000.04.04 2810
써비스업 종사자도 노조설립이 가능한지요 2000.04.01 918
Re: 써비스업 종사자도 노조설립이 가능한지요 2000.04.04 890
연봉제하에서 월차,연차,보건휴가 사항 2000.03.31 981
Re: 연봉제하에서 월차,연차,보건휴가 사항 2000.03.31 1991
상여금관련 문의에 대한 답변 갑사합니다. 2000.03.31 873
Re: 상여금관련 문의에 대한 답변 갑사합니다. 2000.03.31 518
국민연금관련건 2000.03.31 617
Re: 국민연금관련건 2000.03.31 617
국민연금 및 고용보험 2000.03.31 526
Re: 국민연금 및 고용보험 2000.04.04 698
좀 여쭤볼께요 2000.03.31 453
Re: 좀 여쭤볼께요 2000.04.04 464
내용증명에 기입해야 할 내용 중 2000.03.31 461
Board Pagination Prev 1 ... 5801 5802 5803 5804 5805 5806 5807 5808 5809 5810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