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08.24 12:45
저희 사업장은 관광업체로서 관람시설의 관리와 부대매장의 관리, 일반관리를 위해 70여명의 종업원이 근무하는 연중무휴로 운영하여 온 사업장입니다.
연중무휴로 운영되는 사업장임을 이유로 주휴일 및 기타 유급휴일(취업규칙이나 단체협약으로 쉬도록 정한 약정휴일)의 일수가 그 달에 5일 이상이면 5일만을 휴일로 주고 나머지 5일을 초과하는 휴일 일수에 대하여는 일방적으로 휴일수당만을 지급하고 있습니다.(회사는 위와같은 사실이 관행화되어 있고 본인 및 노동조합이 묵시적으로 인정하였다고 주장함.)
회사와 맺은 단체협약서에는 연장근로 및 유급휴일를 다음과 같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연장근로)
회사는 조출, 연장근로 및 유급휴일근로를 시킬 경우 사전에 조합 또는 본인의 동의를 얻어야 하며 조합원이 이를 거부한 이유로 불이익을 주지 않는다.
(유급휴일) 회사는 조합원에게 다음과 같이 유급휴일을 주고 유급휴일에 근로시 통상임금의 150%를 가산하여 지급한다.
1. 주휴일 : 주 1일로 정하되 일요일이 아니라도 가능하나 그 일자를 명확히 하여 실시한다.
2. 신정 : 1월 1일 -2일(2일), 설날 : 음력 12월 30일- 1월 2일(3일), 중추절 : 음력 8월 14일 - 16일(3일)
3. 삼일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각 1일)
4. 식목일, 근로자의 날, 어린이날, 현충일, 석가탄신일, 성탄절(각 1일)
5. 회사창립일, 노동조합설립일(각 1일)
6. 기타

1) 주휴일 외에 단체협약서에 정한 특정한 날(2,3,4,5항)이 그 일자가 명확히 정하여진 날임에도 불구하고 그날이 아닌 다른 날로 대체하여 쉬도록 하는 것이 정당한지?

2) 이 경우 당 노동조합이 근로자 전원의 동의를 얻어 2,3,4,5항의 지정된 휴일을 주어진 일자에 일괄적으로 쉰다고 회사에 문서통보를 한 후 일괄휴일을 하여도 무방한지 여부?

3) 또한 일정한 달에 휴일 일수가 5일을 초과하면 회사는 일방적으로 5일을 초과하는 휴일일수에는 휴일수당을 지급하고 휴일을 주지 않고 있으며, 또한 여성근로자들이 묵시적으로 동의를 하여 왔다고 주장할 경우 근로기준법에 의한 여성근로자 '야업금지'에 저촉되는지?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Re: 임금청구건 2000.09.07 407
너무어처구니가없어서.... 2000.09.06 383
Re: 너무어처구니가없어서.... 2000.09.07 571
어떻게 해야할줄모르겠습니다~ 2000.09.06 585
Re: 어떻게 해야할줄모르겠습니다~ 2000.09.07 366
Re: 통상임금적용여부 ? 2000.09.05 444
퇴직금 정산방법 2000.09.05 2985
Re: 퇴직금 정산방법 2000.09.06 863
취업을 하려는데 직계가족의 인감증명을 제출하라고... 2000.09.05 1760
Re: 취업을 하려는데 직계가족의 인감증명을 제출하라고... 2000.09.07 5079
퇴직금과 연월차수당지급에 관하여 2000.09.05 1143
Re: 퇴직금과 연월차수당지급에 관하여(연봉제) 2000.09.06 1343
일용직 상담 2000.09.05 467
Re: 일용직 상담 2000.09.06 405
2748에대한 추가질문 2000.09.04 431
Re: 2748에대한 추가질문 2000.09.04 469
이런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할지...꼭 도와주세요 2000.09.04 511
Re: 이런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할지...꼭 도와주세요 2000.09.05 436
산재보험처리후 회사의 책임은? 2000.09.04 2331
Re: 산재보험처리후 회사의 책임은? 2000.09.05 2278
Board Pagination Prev 1 ... 5718 5719 5720 5721 5722 5723 5724 5725 5726 5727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