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08.28 21:07
안녕하세요 라인턴라인 님, 한국노총입니다.

1. 수차의 도급관계에 의해 사업이 이루어지는 업무에 종사하시는 근로자의 경우 자신의 회사에 체불임금을 청구해야 하는지 아니면 원청업체에 체불임금을 청구하는지에 대해 많이 곤혹스러워 하시는 것이 사싫입니다.

이러한 경우에 대비하여 근로기준법 제43조에서는 "원칙적으로 근로자를 고용한 직접책임자에게 임금을 청구해야할 것이지만 그 직접책임자가 임금을 지급하지 못한 사유가 바로 직상수급인(직상원청)에게 책임이 있는 경우에는 직상수급인도 연대책임을 진다"라고 정하고 있습니다.
이와관련한 구체적인 해설은 홈페이지 노동OK 42번 사례 <하청업체 근로자의 임금을 원청회사에 청구할 수 있나?>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위의 해설자료를 통해 귀하의 경우 누가 임금을 주어야할 책임이 있나 살펴보시기 책임이 있는 사용자에게 체불임금을 독촉하시기 바라며 이러한 독촉활동이 원만하지 않을 경우 귀하의 1차적인 사용자와 직상수급인을 연대하여 노동부에 체불임금에 관한 진정서를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노동부에 진정서를 제출하는 사례에 관한 자세한 해설은 홈페이지 노동OK ---> 노동자료실을 방문하여 15번자료 <임금체불 해결방법>이라는 문서를 다운받으십시요.자세한 해설을 참조로 유용하게 활용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주40시간근로 쟁취!>를 위한 저희 한국노총의 투쟁에 지지를 부탁드리며, 즐거운 하루되시길....

라인턴라인 wrote:
> 저는 직장을 다니다 상습적인 봉급 체불로 인하여 가정을 꾸려 나가기가 힘들어서 회사에 사직서를 제출하였는데, 밀린 봉급과 퇴직금 3년치 상여금을 받지 못하고있습니다. 다니던 직장은 대행사로서 원청은 따로 있습니다. 원청을 상대로 체불 임금과 퇴직금 및 상여금 지급 요구를 할 수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자세히 방법을 가르쳐 주십시오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해고예고수당과 수습사용중의 근로자 항에 관하여 2000.09.14 1078
Re: 해고예고수당과 수습사용중의 근로자 항에 관하여 2000.09.15 1578
5인이하 사업장에서의 퇴직금 지급에 관해 2000.09.14 963
Re: 5인이하 사업장에서의 퇴직금 지급에 관해 2000.09.15 1798
2702답변에 대한 추가질문입니다 2000.09.14 389
Re: 2702답변에 대한 추가질문입니다(배치전환의 적법성) 2000.09.15 562
답장 바람니다... 2000.09.14 456
Re: 답장 바람니다... 2000.09.15 630
무단결근이란? 2000.09.14 1074
Re: 무단결근이란? 2000.09.14 2193
월급 채납 2000.09.12 573
Re: 월급 채납 2000.09.13 748
채불임금 수령권 2000.09.12 633
Re: 채불임금 수령권 2000.09.13 478
휴일근무수당 지급유무건 2000.09.11 893
Re: 휴일근무수당 지급유무건 2000.09.13 991
임금 지급법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2000.09.11 389
Re: 임금 지급법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2000.09.13 426
어떻게 되는건지... 2000.09.11 462
Re: 어떻게 되는건지... 2000.09.13 437
Board Pagination Prev 1 ... 5717 5718 5719 5720 5721 5722 5723 5724 5725 5726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