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09.16 15:07

안녕하세요 민원인 님, 한국노총입니다.

1. 회사의 경영상의 사유에 따라 구두상으로 해고통보를 받고 고민하고 계시는 것으로 보입니다. 어찌되었건 회사측에서 8월말경에 9월까지만 근로계약이 유지되고 9월말부로 해고하겠다는 통보를 하였다면 회사측의 이러한 조치는 근로기준법 제32조에 따른 30일이전의 해고예고조치를 취한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회사입장에서는 근로자에게 30일분의 임금을 해고수당으로 지급하지 않아도 위법한 것은 아니라 할것입니다.

2. 근로계약의 체결과 해지(해고)는 원칙상 서면으로 정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우리사회의 관행상 구두상으로의 근로계약의 체결과 해고조치도 인정됩니다. 다만 차후 회사측에서 구두상으로 해고조치를 하는 경우 이를 번복하여 근로자를 곤궁에 빠뜨릴 소지가 있기 때문에 근로자가 회사측에 해고통지를 서면으로 요청한 행위는 잘 하신 일이라 사료됩니다.

3. 근로자가 해고를 당하면 근로기준법 제33조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관할 지방노동위원회(귀하의 경우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구제신청을 제기하여 원직복직과 해고기간동안의 임금을 청구하는 방법과 근로기준법 제32조에서 정하는 30일간의 해고예고행위가 없는 해고에 대해서 사용자에게 해고수당을 직접 청구하는 방법 등 2가지를 선택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에게 해고수당을 청구한다는 것은 사용자의 해고조치가 정당한 해고이건 부당한 해고이건 그 정당성의 여부와 관계없이 이를 "수용하고", 단지 사용자의 해고조치행위가 절차상으로 하자가 있는 행위(해고예고기간을 정하지 않았으므로)이므로 이에 대한 댓가를 청구한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동법 제33조에서 정하는 부당해고구제신청(부당한 해고이므로 사용자의 해고행위를 "수용하지 않겠다"는 의미)과 병행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4. 따라서 귀하의 경우, 회사측의 해고절차가 다만 30일간의 예고기간을 거친 것으로 미루어 하자는 없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해고수당을 청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 같고 다만 그 사유와 방법이 근로기준법 제31조에서 정하는 정리해고의 사유와 절차에 위반되는 '부당(정리)해고'로 사료되기 때문에 그 정당성의 여부를 다투고 원직복직과 해고기간동안의 임금을 청구하는 <부당해고구제신청> 조치만 취할 수 있습니다.

부당정리해고에 대한 상세한 해설은 홈페이지 노동OK 21번 사례 <무작정 정리해고가 가능합니까?-정리해고의 요건과 절차>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부당해고 구제신청은 서울지방노동위원회(논현동 71번지 02-541-1195~7)에 제기하여야 하며 아직까지 인터넷을 통한 접수는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부당해고구제신청서>를 작성하여 직접, 또는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습니다.

5. 저희 상담소에서는 현재 근로자의 해고 등에 관한 구제신청의 제반 편의를 돕기위해 해당 자료를 준비하고 있으나 아직 완성되지 못해 <노동자료실>에 등록되지는 못하였습니다만, 귀하의 편의를 돕기위해 임시라도 귀하의 이메일로 관련자료를 발송해드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구제신청의 절차와 신청서 작성, 조사방법과 대응 등이 상세히 소개되어 있습니다.)

6. 해고조치가 발효되는 이후 회사측이 취하는 각종의 부적당한 대응에 대해서는 '의연하게' 버티는 수밖에는 없습니다.

<주40시간근로 쟁취!>를 위한 저희 한국노총의 투쟁에 지지를 부탁드리며, 즐거운 하루되시길....

민원인 wrote:
> <상황설명>
>
> 1.본인은 1999.11월 중순 현 직장(마포구소재,자본금 20억,종업원 50명)에 인터넷사업팀을 신설한다하여 정규직 팀장으로 영입되어 이제까지 관련업무를 해 오다가 약 20일전에 관리이사로부터 9월까지만 고용관계를 유지하고 그 이후부터는 월급없이 회사를 이용하여 할 수 있는 일이 있으면 지원을 할테니 그렇게 하라는 구두해고통보를 받았습니다.
>
> 2.회사가 이런 통보를 한 배경은 기존 사업(영상제작)이외에 신설부서(홈쇼핑)의 사업악화로 자금여력이 없어 더 이상 인터넷사업에 투자할 여력이 없어 개발한 사이트는 제작업체로 넘기는 작업을 진행중에 있고 밑에 근무하던 직원들은 자진 사퇴하고 팀에 본인 혼자만 남아 있는 상태입니다.
>
> 3.본인은 처자식이 있는 가장으로 나이 40에 이직을 할 직장도 없고 억울한 것은 이 회사에 본인이 지원을 한 것이 아니라 사람이 급하게 필요하다고 빨리 오라하여 이직을 하는 과정에서 금전적인 손해를 감수하면서 영입되었는데 이제와서 이런 결과를 맞이하니 이용만 당했다는 느낌입니다.
>
> 4.본인은 관리이사에게 상기와 같은 이유로 부당해고에 응할 수 없으며 본인이 사직서를 쓰는 일은 없을 것이니 해고하려면 정식 해고처리를 하라고 했습니다.
>
> <질의사항>
>
> 1.관리이사가 20일전에 구두해고통보를 한 것은 한달치의 해고수당을 염두에 두고 한 것인지 여부,그렇다면 이것을 통장으로 받으면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할 기회를 상실하는 것인지 여부(동시에 둘을 병행할 수 없다는 글을 읽음)
>
> 2.부당해고 구제신청은 어떤 절차로 하는 것인지 여부,인터넷으로 하는 방법은 있는지,있다면 사이트명은 무엇인지 여부
>
> 3.앞으로 본인이 자진해서 퇴사하지 않으면 회사에서 책상을 치운다든가,10월 월급부터 주지 않는다든가,의료보험카드반납을 종용한다든가 등 온갖 수단을 동원하여 본인을 괴롭힐 텐데 이에 대한 대처방안과 자구안은 무엇인지 여부
>
> 가급적 빠른 답변 부탁합니다.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Re: 퇴직금우선변제순위? 2000.09.27 1483
객관적인 증거라면 구체적으로 2000.09.24 422
Re: 객관적인 증거라면 구체적으로 2000.09.25 517
연금 반액지급 정지 및 과지급금 행정소송건. 2000.09.24 2722
Re: 연금 반액지급 정지 및 과지급금 행정소송건. 2000.09.25 1201
근무후에 있는 예비군동원훈련의 유급처리여부 2000.09.23 1767
Re: 근무후에 있는 예비군동원훈련의 유급처리여부 2000.09.23 2733
사직일자이전 회사로부터의 일반적인 사직공고 2000.09.23 1145
Re: 사직일자이전 회사로부터의 일반적인 사직공고 2000.09.23 727
회사내에서 조합원의 사물놀이는 위법이되는지 2000.09.23 521
Re: 회사내에서 조합원의 사물놀이는 위법이되는지 2000.09.23 494
이런 경우에도 고용주의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요? 2000.09.23 2019
Re: 이런 경우에도 고용주의 혜택을 받을 수..(출장중의 재해) 2000.09.23 624
임금을 못받았는데요 어떻게 하면 될까요 2000.09.23 398
Re: 임금을 못받았는데요 어떻게 하면 될까요 2000.09.23 518
배당금과 인건비 비중 2000.09.22 547
Re: 배당금과 인건비 비중 2000.09.22 503
궁금합니다, 답변부탁드립니다 2000.09.22 414
Re: 궁금합니다, 답변부탁드립니다 2000.09.22 411
관련규정 2000.09.22 388
Board Pagination Prev 1 ... 5710 5711 5712 5713 5714 5715 5716 5717 5718 5719 ... 5863 Next
/ 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