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09.30 12:35
안녕하세요 김남권 님, 한국노총입니다.

1. 근로기준법 제97조에서 "불이익변경시 동의'조항은 노동조합 또는 근로자집단과의 '합의'를 의미합니다.

취업규칙은 그 성격자체가 당해 사업장 종사근로자의 근로조건을 결정하는 규범(집단적 근로계약)이며, 그 변경은 단지 문구수정이라는 사소한 의미만이 아니라 근로자의 근로조건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며, 불이익변경이란 그 자체가 근로자의 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일뿐만아니라 새로운 근로계약을 체결하는 의미를 갖는 것이기 때문에 근로기준법에서는 단지 의견수렴의 절차만을 요구하는 것이아니라 "새로운 근로계약의 체결을 위한 합의"를 주문하고 있는 것입니다.

2. 따라서 취업규칙불이익변경에 관한 노동조합 또는 근로자집단과 합의의견을 표시되지 않은채 취업규칙이 행정기관에 신고되었다고 하더라도 신고행위 자체는 행정적인 절차일 뿐이지 "사실적으로 노조 또는 근로자집단과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취업규칙의 개정은 무효"입니다.

<주40시간근로 쟁취!>를 위한 저희 한국노총의 투쟁에 지지를 부탁드리며, 즐거운 하루되시길....

김남권 wrote:
> 근로기준법 97조에 의하면 취업규칙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노동조합의 의견서를 제출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경된 취업규칙에 대하여 노동조합의 동의를 구한 동의서가 아닌 의견서를 제출했다면 그 법적 효력을 알고 싶습니다.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Re: 이런 경우에는 어떡해야 되나요? 2000.10.05 480
해고수당 및 퇴직금 2000.10.05 545
Re: 해고수당 및 퇴직금 2000.10.05 471
기본급과 연장근로수당의 기준임금 2000.10.05 2015
Re: 기본급과 연장근로수당의 기준임금 2000.10.05 1871
부당해고 기간의임금에 대하여 2000.10.05 480
Re: 부당해고 기간의임금에 대하여 2000.10.05 635
노동조합법? 2000.10.05 528
Re: 노동조합법? 2000.10.06 445
부당해고 구제신청 2000.10.04 403
Re: 부당해고 구제신청 2000.10.05 852
해고수당 퇴직금 수령해도 구제신청에 영향이 없습니까. 2000.10.04 558
Re: 해고수당 퇴직금 수령해도 구제신청에 영향이 없습니까. 2000.10.04 1376
부당해고(복직의사가없을경우) 2000.10.04 569
Re: 부당해고(복직의사가없을경우) 2000.10.04 530
연봉제인 병원에서는 해고를 병원에서 마음대로? 2000.10.04 442
Re: 연봉제인 병원에서는 해고를 병원에서 마음대로? 2000.10.05 518
변호사의 이중수임 2000.10.04 787
Re: 변호사의 이중수임 2000.10.05 887
답답합니다 2000.10.04 423
Board Pagination Prev 1 ... 5704 5705 5706 5707 5708 5709 5710 5711 5712 5713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