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11.13 02:32
일반 사업장에 대한 기술서비스를 실시하는 공공기관의 근로자입니다.

저희회사는 제조업종의 사업장을 방문하여 기술지원을 실시하는 공공기관으로서 수행업무는 기술지원종류별로 여러가지가 있지만 통상적인 업무절차는 본부는 사업의 종류별로 매년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지방에 시달하고 각 지방은 본부종합계획에 따라 지방별 지원사업장선정 및 본부보고, 사업장 방문일정통보, 사업장 집체교육, 방문기술지원, 보고서 작성 및 사업장 통보, 종합결과보고의 내용으로 업무가 이루어 집니다.

모든 사업수행시 사업장 방문출장이 동반되게 되며 방문팀구성 인원 및 방문일수는 규모에 따라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관련서류 작성 및 보고에 필요한 시간등을 감안하면 1인당 업무수행가능물량은 제한되게 되는데 경영층에서는 이러한 적정업무물량이상의 과다한 규모의 수행목표를 설정하여 이의 달성을 요구함으로서 법적근로시간내에서의 근무완료가 어렵고 결과적으로 거의 매일 3시간 이상의 초과근무가 필요한 실정입니다.

결국은 조합원들의 가정은 말할수 없이 손상되고 있으며 사업장 기술지원에 있어서도 기술지원시간의 단축 및 사업장당 기술지원반 참여인원의 축소문제를 야기하여 이런 실정에 대한 문제점을 보고하였었으며 회사내 최고 책임자의 확인(결재)까지 있었으나 이에 대한 개선 대책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상황으로서 모든 사업을 내년에도 계속 올해만큼 실시해야 한다고 하는 등 개선의 여지가 보이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 44시간의 쟁취를 위한 현실적인 방안이나 노조에서 취할수 있는 조치 및 이러한 민원을 해결하기 위한 법적절차가 어떻게 되는지 조언바랍니다.

참고로 이러한 초과근무 실태에 대해 적정사업물량을 정량적으로 객관화하여 종합보고까지 한 상태기 때문에 본부의 사업담당자 부터 최고 경영층까지 인지하고 있다는 객관적인 증거는 있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사업수립은 사업별 담당차장의 계획수립, 부장검토, 국장검토, 이사검토, 사장결재의 과정을 거쳐 시달된다고 볼때 법 제 49조의 근로시간의 위반 행위자가 어느선까지 미칠수 있는지요.

저희는 공공기관(정부출연기관) 노조입니다만 이러한 근로기준법 49조의 근무시간 적용조항에서 제외되거나 별도로 적용받는 규정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주 44시간근무도 요원한데 주 40시간 근무쟁취는 더욱더 까마득하게 느껴지는군요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인센티브에 관한.. 2000.11.23 349
Re: 인센티브에 관한.. 2000.11.24 444
사직을 강요하는 경우 2000.11.23 524
Re: 사직을 강요하는 경우 2000.11.24 491
등기상 임원이 아닌 임원이 노조가입 가능한가요? 2000.11.23 811
Re: 등기상 임원이 아닌 임원이 노조가입 가능한가요? 2000.11.24 1632
퇴직금정산에 대해... 2000.11.22 504
Re: 퇴직금정산에 대해... 2000.11.22 433
법정관리하의 임금지급은? 2000.11.22 927
Re: 법정관리하의 임금지급은? 2000.11.22 1873
부당해고 결론 2000.11.22 351
Re: 부당해고 결론 2000.11.22 392
1년미만근무한 근로자가 퇴직시에 상여금과 퇴직금은? 2000.11.22 1149
Re: 1년미만근무한 근로자가 퇴직시에 상여금과 퇴직금은? 2000.11.22 1008
규약 2000.11.22 407
Re: 규약 2000.11.22 411
체불임금을 받아내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2000.11.21 321
Re: 체불임금을 받아내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2000.11.21 526
이제부터 어떻게 하면 되죠? 2000.11.21 338
Re: 이제부터 어떻게 하면 되죠? 2000.11.21 532
Board Pagination Prev 1 ... 5669 5670 5671 5672 5673 5674 5675 5676 5677 5678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