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11.18 23:08
저는 97.9.10 '가'라는 회사에 입사하여 근무하던중,
99.1.1.부로 사업의 일부분이 '나'라는 회사로 양도되어 ,2000.11.5일부로 퇴사하였습니다.
그리고 '다'라는 회사로 전직하였습니다.

그런데 '가'->'나'로 사업부가 이관될 당시
'사직서'를 저를 포함한 약 150명의 인원이 '가'회사 사장의 '고용승계'라는 선언에 의해 '사직서'는 제출하지 않았습니다.물론 '가'회사사장의 지시에 의해서였습니다.퇴직금만 정산하여 받았으며,'가'회사에 의해 97.9월파견근무중이던 동일 대기업에 동일업무를 2000.11.5퇴사할때까지 담당하여왔습니다.

2000.11.5 퇴사당시 적치 연월차갯수는 41개였는데,
'나'회사에서는 '총 41개 연월차중에서 1999.12.31당시 적치된 30개를 제외한 나머지 연차에 대해서만
보상해주겠다고 합니다.

저는 대기업에 파견되어 근무하고 있었으며,
해당대기업에서는 근무특성상 근무연수에 관계없이
적치된 연월차에 대해서는 무조건 보상해준다는 확약이 있었으며,실제 97년이래 퇴사한 파견직원들에 대해서 지금까지 잔여연월차를 퇴직일수를 근무일수에 포함시켜 보상하여, 저를 파견한 회사에 지급해왔으며,
실제 기퇴직자들에게 '나'회사는 지급하여 왔습니다.

그런데 저의 경우에만 보상을 못해주겠다며,
앞에서 말씀드린대로 2000.11.5 퇴사당시 적치 연월차갯수는 41개였는데,
'나'회사에서는 '총 41개 연월차중에서 1999.12.31당시 적치된 30개를 제외한 나머지 연차에 대해서만
보상해주겠다고 합니다.

우스운것은,'나'회사는 원도급회사(저를 포함한 직원들이 파견근무하는회사-대기업)에 청구하면 원도급회사는 지급해준다고하는데도 ,저에게만큼은 아예 1999.12.31이전분은청구하지 않고,저에게도 지급하지 못하겠다고 합니다.

근로기준법에 의하면,
[사용자의사유]로 인하여 미사용되어 적치된 연월차에 대해서는 지급의무가 있다고하는데 저의 경우는 어떻게 해야되는지요.

답변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법정관리하의 임금지급은? 2000.11.22 918
Re: 법정관리하의 임금지급은? 2000.11.22 1869
부당해고 결론 2000.11.22 351
Re: 부당해고 결론 2000.11.22 392
1년미만근무한 근로자가 퇴직시에 상여금과 퇴직금은? 2000.11.22 1149
Re: 1년미만근무한 근로자가 퇴직시에 상여금과 퇴직금은? 2000.11.22 1008
규약 2000.11.22 407
Re: 규약 2000.11.22 411
체불임금을 받아내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2000.11.21 321
Re: 체불임금을 받아내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2000.11.21 526
이제부터 어떻게 하면 되죠? 2000.11.21 338
Re: 이제부터 어떻게 하면 되죠? 2000.11.21 532
머릴 써서 절 내쫓았슴당 억울하고 그사람 밉습니다. 2000.11.21 418
Re: 머릴 써서 절 내쫓았슴당 억울하고 그사람 밉습니다. 2000.11.21 498
명예훼손에 해당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2000.11.21 385
Re: 명예훼손에 해당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2000.11.22 487
팀장님이 참고인이라 진술서가 중요하다고... 2000.11.21 876
Re: 팀장님이 참고인이라 진술서가 중요하다고... 2000.11.22 1232
노동조합의 법적효력에 대하여? 2000.11.21 407
Re: 노동조합의 법적효력에 대하여? 2000.11.22 469
Board Pagination Prev 1 ... 5667 5668 5669 5670 5671 5672 5673 5674 5675 5676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