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11.20 11:43

안녕하세요. 공영철 님, 한국노총입니다.

1. 노동부가 산재법시행규칙 제3장 제3절에서 정하고 있는 <업무상재해 인정기준>에 따르면 출퇴근 도중에 발생한 사고로 인하여 사상한 경우 다음의 요건을 정하고 있습니다.

① 사업주가 소속근로자들의 출·퇴근용으로 제공한 교통수단의 이용중에 발생한 사고일 것
② 사업주가 제공한 교통수단에 대한 관리·이용권이 사상한 근로자에게 전담되어 있지 아니할 것

2. 업무상 재해라 함은 근로자가 사업주와의 근로계약에 기하여 사업주의 지배관리하에서 당해 근로업무의 수행 또는 그에 수반되는 통상적인 활동을 하는 과정에 기인하여 발생한 재해를 말합니다.

만약 사상근로자가 자기관리하에 있는 자가용을 이용해 출근하다 사고을 당하신 거라면, 일반적으로 출근의 방법과 경로를 선택할 수 있게 되는바, 사용자의 지배 또는 관리하에 있다고 볼 수 없어 업무상 재해로 인정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출퇴근 중에 발생한 재해가 업무상의 재해로 인정되기 위하여는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제공한 차량 등의 교통수단을 이용하거나 사용자가 이에 준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하도록 하여 근로자의 출퇴근 과정이 사용자의 지배관리하에 있다고 볼수 있는 경우에 해당되어야 하고, 승용차의 관리와 이용에 근로자가 제한 받고 있었다는 것을 입증하셔야 합니다.

3. 파견근로자가 사용사업장에서의 파견근로중에 발생한 업무상 질병이나 부상(업무상 재해)에 대해서는 파견사업주가 책임을 지게 됩니다.

<주40시간근로 쟁취!>를 위한 저희 한국노총의 투쟁에 지지를 부탁드리며, 즐거운 하루되시길....

공영철 wrote:
> 망자가 소속한 회사는 건설회사이며
> 아침 출근길에 차량타이어의 파손으로 보이는 사고로 중앙선을 침범하여
> 대형차량과 정면 충돌하여 사망한건임.
>
> 회사 급여명세표에 보면 차량유지비로 20만원 이상을 받았으며
> 이를 회사에서는 비과세로 처리하여 회계상 처리한것으로 알고있음.
> 비록 회사와의 차량 임대차 계약서는 없으나 회사와의 계약이 이루어졌다고
> 보고 사업주의 지휘권아래서 운행되다가 발생된 산업재해가 아닌지요?
>
> 망자는 본사소속이며 현장으로 파견된 자 임
> 현장은 현장나름대로 산재보험에 가입된상태임.
> 산재보험혜택이 주어진다면 본사 산재보험으로 처리해애하는지 아니면 현장근로자를 위한
> 산재보험으로 처리해야하는지?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Re: 계약직이 받을수 있는 법적수당 2000.11.29 1393
규약 2000.11.28 459
Re: 규약 2000.11.29 890
임금체불을 해결하기위한 조건을 알고자 합니다 2000.11.28 450
Re: 임금체불을 해결하기위한 조건을 알고자 합니다 2000.11.29 495
저는 부당해고라고 하나 계약해지라고 합니다. 2000.11.28 359
Re: 저는 부당해고라고 하나 계약해지라고 합니다. 2000.11.29 462
건설현장추락사고 2000.11.28 950
Re: 건설현장추락사고 2000.12.13 479
Re: 건설현장추락사고 2000.12.13 587
Re: 건설현장추락사고 2000.11.29 999
혹시 고용보험을 통한 수급방법이 있나요? 2000.11.27 658
Re: 혹시 고용보험을 통한 수급방법이 있나요? 2000.11.27 481
급여를 아직도 받아가질 않아서... 2000.11.27 374
Re: 급여를 아직도 받아가질 않아서... 2000.11.28 447
퇴직금에 관해서... 2000.11.27 436
Re: 퇴직금에 관해서... 2000.11.28 524
어떠케되는지..... 2000.11.27 468
Re: 어떠케되는지..... 2000.11.28 392
사장이 20~30%만이라도 성의표시를 하라는 식으로 말하는데... 2000.11.27 460
Board Pagination Prev 1 ... 5663 5664 5665 5666 5667 5668 5669 5670 5671 5672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