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12.21 16:23

안녕하세요. 김광성 님, 한국노총입니다.

1. 근로기준법에서는 일용직, 도급직, 시간급직, 월급직, 파트타이머, 아르바이트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분류되는 근로자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임금을 목적으로 근로를 1년이상 근로를 제공한 근로자는 퇴직할 때 계속근로연수에 따라 퇴직금을 지급받아야 합니다. (근로기준법 제34조)

관련 노동법 조항에 대한 검색은 노동법령 검색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다만, 계약명칭에 관계없이 1일 8시간 이하의 시간으로 근로시간을 정하는 근로계약(법정용어로는 단시간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단시간근로자)는 1주평균 15시간 이상 근로를 제공한 사람에 한하여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귀하의 누나분의 근로시간을 고려하여 이에 해당되는지 아닌지를 살펴보시기 바립니다.

이와 관련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노동OK 19번 사례 "파트타이머(아르바이트)의 근로조건은 어떻게 하나요?"편과 노동자료실에 등록된 32번 자료 <1년미만 단기계약근로자에 대한 근로기준법 등 적용방법 지침(노동부 2000.1)>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누나의 경우 아마도 파견근로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근로자파견법에 따른 파견근로자는 파견사업주와 사용사업주(실제 근로자를 사용하는 회사)라는 2개의 사용자에 의해 근로조건이 정해집니다. 다만 근로자파견법 제34조에 따라 근로기준법상의 근로계약과 임금 부분은 파견사업주가, 근로시간 및 휴식 등에 관한 부분은 사용사업주가, 사용자로서 책임을 지게 되는 관계로 누나분과 근로관계를 체결했던 파견사업주에게 퇴직금을 청구하면 될 것입니다.

4. 체불임금 해결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곳 온라인상담실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기가 부족하여 별도의 코너를 마련해놓고 있습니다.

<임금체불 해결방법>코너를 참조하면각 사례별로 유용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필요한 경우 전체자료를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자세한 해설을 참조로 유용하게 활용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주40시간근로 쟁취!>를 위한 저희 한국노총의 투쟁에 지지를 부탁드리며, 즐거운 하루되시길....


김 광성 wrote:
>
> 안녕하십니까?
> 궁금한것이 있어서 이렇게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
> 제누이의 일인데요, 롯데햄에서 1년넘게 근무를 했습니다. 전에 7년넘게 근무를 하다가 결혼과함께 퇴직을 하였고 다시 아르바이트로 근무를 했거든요, 근무기간은 1년이 조금 넘었
> 구요, 아르바이트도 퇴직금이 있다고 들어서 롯데햄(근무지)에 가보았거든요, 그곳에서는
> 용역업체에서 쓴것이니, 그곳에가서 일을보라고 하더군요. 그 업체가 '신원'이라고 알고 있는데 그곳에 가서 어떻게 해야하고 서류는 어떤것을 준비해야 하는지요.. 정확한 절차를 알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띄웁니다
>
> 수고하세요.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연차수당 지급시 지급기준은... 2000.12.28 800
Re: 연차수당 지급시 지급기준은... 2000.12.28 2101
임금체불 2000.12.28 763
Re: 임금체불 2000.12.28 439
시간외 근무수당에 관하여. 2000.12.28 394
Re: 시간외 근무수당에 관하여. 2000.12.28 643
시간외 근무수당에 관하여. 2000.12.28 420
Re: 시간외 근무수당에 관하여. 2000.12.28 406
계약직 노동자의 임의해고시,,, 2000.12.28 725
Re: 계약직 노동자의 임의해고시,,, 2000.12.28 1196
출근길 사고 궁금합니다. 2000.12.28 492
Re: 출근길 사고 궁금합니다. 2000.12.28 475
데이콤 파업 51일차 - 사이버 명예훼손에 관한 질문 2000.12.28 528
Re: 데이콤 파업 51일차 - 사이버 명예훼손에 관한 질문 2001.01.01 587
답변 감사합니다. 2001.01.04 355
퇴직후 아직까지 임금을 못 받고 있습니다. 2000.12.28 384
Re: 퇴직후 아직까지 임금을 못 받고 있습니다. 2000.12.30 399
8개월간 일한 노동의 의미를 찾고 싶습니다. 2000.12.28 498
Re: 8개월간 일한 노동의 의미를 찾고 싶습니다. 2000.12.30 426
부당해고 당했는데 실업급여도 못 받고 있습니다 2000.12.27 428
Board Pagination Prev 1 ... 5639 5640 5641 5642 5643 5644 5645 5646 5647 5648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