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03.23 13:56

빠르고 정성스런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하나 더 여쭙고 싶은건 부당해고구제신청시에 다시 일할 의지가 있다는 게
다른 회사가 아닌 지금 제가 다니고 있는 이 회사에서 계속 일할 마음이 있어야한다는 말씀이십니까?
그럴 경우에만 가능한건지요
그리고 해고수당은 제가 6개월 이상이 되지 않아서 받을 수 없다는 말씀인거죠?
예상은 했지만 정말 그렇다니까 암담합니다......
암튼 고맙습니다
이런 곳이 있어서 정말 다행입니다
힘없는 노동자들을 위해 계속 수고해주시구요
저를 포함해 여기에 글 올리는 분들 같은 일들이 빨리 줄어들기를 바랍니다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상담소 wrote:
>
> 안녕하세요. 근로자 님, 한국노총입니다.
>
> 1. 갑작스러운 해고위협에 당황스러우셨겠습니다만 아직 정식으로 해고통보를 받은 것이 아닌 이상, 성급하게 맞설 필요는 없습니다. 나중에라도 회사측으로부터 명확하게 해고통보를 받게되면 그 때 조치를 취하는 것이 오히려 근로자에게 유리합니다. 섣불리 예단하게 되면 회사측에서 '해고한적 없다'고 잡아땔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
> 2. 해고는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근로계약관계를 해지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그 사유야 어떻든간에 사회적 약자인 근로자에게 생활상의 곤궁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는 이유로 근로기준법 제30조에서는 "사용자는 근로자에 대하여 정당한 이유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기타 징벌을 하지 못한다."고 정하고 있습니다. 이른바 부당해고나 부당징계를 금지하는 조항입니다. 여기서 정당한 이유라 함은 근로자가 근로관계를 유지시킬 수 없을 정도로 큰 잘못을 저질렀다거나 회사의 긴박한 경영상의 이유로 인한 정리해고 정도가 인정될 뿐입니다.
>
> 귀하의 경우, 근로자가 담당하는 업무를 폐지한다하더라도 그것만으로 갑작스럽게 해고시킬 수는 없으며 사용자는 해당근로자를 타부서로의 배치전환시킨다거나 근로시간단축 혹은 휴직기간 설정 등 해고를 회피할 수 있는 충분한 노력을 다하여야할 책임이 있는 것입니다. 그러한 사정없이 갑자기 해고하였다면 엄연히 부당해고가 됩니다.
>
> 3. 근로자가 해고를 당하면 구제받을 수 있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입니다.
>
> 첫째는 사용자측의 해고행위가 부당하다고 판단되고 다시 일하고자하는 의욕이 있는 경우라면 관할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구제신청'을 제기하는 것입니다.(5인 이상 사업장에 한합니다.) 다른 하나는, 사용자측의 해고행위가 부당하든 정당하든 관계없이 30일전에 미리 예고하지 않은 해고에 대해서는 30일분의 임금을 해고수당으로 청구할 수 있습니다.(근로기준법 제32조에서는 근로자를 해고하고자하는 경우 그 해고가 정당한 해고이든 부당한 해고이든 반드시 30일전에 미리 예고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다만, 동법 제35조에서는 해고예고적용예외자들을 규정하고 있는데 귀하가 입사하신지 한달이 조금 넘었다면 해고수당은 지급받으실 수 없습니다. 이와 관련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노동OK 50번 사례 "해고와 해고수당"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4. 따라서 귀하가 경우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구제신청'을 제기하는 것이 구제받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구제신청을 하실 경우에는 원직복직하겠다는 의사를 명확히 가지셔야 합니다. 부당해고구제신청은 근로자의 권리를 원상회복시키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
> 일단, 해고를 예단하지는 마시고 회사의 태도를 지켜보시다가 명확하게 해고통보가 오면 재차 질문주시기 바랍니다.
>
> <주40시간근로 쟁취!>를 위한 저희 한국노총의 투쟁에 지지를 부탁드리며, 즐거운 하루되시길....
>
> 근로자 wrote:
> > 우선 말씀드리기 전에 시간이 없으니 바쁘시더라도 제발 오늘내로 답변 부탁드립니다
> > 예전에 다니던 회사를 통해 알게 된 분이 자신의 회사로 스카웃 제의를 했고 사정상 전에 다니던 회사에서 받지 못한 임금까지도 해결해주기로 약속을 하고 근로계약을 했습니다
> > 당시 직장을 다니지 않던 저로서는 나쁜 조건이 아니어서 우선 1년단위로 연봉협상을 하고 계약서를 쓰고 일을 하기 시작한지 내일로써 한달하고 일주일이 지나게됩니다
> > 그런데 어제 갑작스럽게 해고통보 같은 걸 받았습니다
> > 정식으로가 아니고 상사에게서 들은 말이라 지금 초조하기만 합니다
> > 이 곳에 들어와서 여기저기 읽어봤는데 해고에 관한 볍령들이 저 같이 한달 조금 넘은 사람들에게도 적용이 되는 것인지가 궁금합니다
> > 월급 근로자로서 6월이 안된자는 해당이 안된다고 하던데 저 같은 경우가 이에 포함되는 겁니까? 월급이 아니라 연봉인데도 여기에 적용이 되는건지 근무기간이 한달밖에 안될 때는 여러 법령에서 제외의 대상이 되는건지 알고 싶습니다
> > 전에 다니던 회사에서도 월급을 받지 못한지 한참이 되서 경제적으로 많이 힘든 상황인데 지금 여기서도 갑작스럽게 이러니 정말 앞이 안 보입니다
> > 아직 한달 월급은 받지 않았지만 들리는 얘기로는 그것만이라도 감사히 받아야한다는 분위기인데요, 정말 억울해서 글 올립니다
> > 아, 해고의 사유는 회사의 방향수정으로 제 전문분야의 일을 이제 하지 않게되서 제가 이 회사에 필요없다는 겁니다
> > 그리고 저는 수습사원이 아닌 정직원입니다
> > 빠른 답변 부탁드립니다
> > 달리 알아볼 곳이 없습니다
> >
> >
>
>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세금공제액을 주지 않았을때 2001.03.27 547
Re: 세금공제액을 주지 않았을때 2001.03.27 616
임금체불확인에 대해서 2001.03.27 437
Re: 임금체불확인에 대해서 2001.03.27 548
퇴직금중간정산 및 환입 2001.03.27 879
Re: 퇴직금중간정산 및 환입 2001.03.28 1163
가압류상태에서 임금이 우선될수 있는지? 2001.03.27 488
Re: 가압류상태에서 임금이 우선될수 있는지? 2001.03.27 599
산재처리가 가능한지요 2001.03.27 661
Re: 산재처리가 가능한지요 2001.03.27 1323
토요일 퇴사를 했는데 주차수당 받을수 있나요? 2001.03.27 902
Re: 토요일 퇴사를 했는데 주차수당 받을수 있나요? 2001.03.27 1273
생리휴가도 만근기준인가요? 2001.03.27 1383
Re: 생리휴가도 만근기준인가요? 2001.03.27 2120
체불임금때문에 진정서까지 냈는데.. 2001.03.27 552
Re: 체불임금때문에 진정서까지 냈는데.. 2001.03.27 642
진정 후 사장이 끝까지 버티는데요 2001.03.27 442
Re: 진정 후 사장이 끝까지 버티는데요 2001.03.27 422
압류가 되어도 또 할일이 있나요? 2001.03.27 477
Re: 압류가 되어도 또 할일이 있나요? 2001.03.28 579
Board Pagination Prev 1 ... 5563 5564 5565 5566 5567 5568 5569 5570 5571 5572 ... 5863 Next
/ 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