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09.13 16:58

안녕하세요. 정남교 님, 한국노총입니다.

귀하의 질문이 간단해서 어디서부터 답변을 드려야 할지 모르겠군요. 일단 원칙적인 내용을 말씀드릴테니 후반에 저희들이 드리는 질문에 답하여 다시 한번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1. 근로기준법에서 정하는 기준근로시간은 1주44시간, 1일 8시간입니다. 다만, 근로자와의 합의하에 1주 12시간을 한도로 연장근로할 수 있고 연장근로, 야간근로(하오 10시~ 상오 6시까지의 근로), 휴일근로에 대해서는 가산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가산수당은 시간외근로에 대한 근로자의 동의여부에 불문하고 사실상 시간외근로가 이루어졌다면 근로시간에 관한 법규위반과는 별도로 해당근로자에게 가산수당을 지급하여야 합니다.

근로기준법 제55조에 의한 연장근로, 휴일근로, 야간근로에 대한 가산임금제도는 상시근로자수 5인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하는 사업장에 강제적으로 적용됩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예시는 홈페이지 노동OK 75번 사례 【연장근로,야간근로,휴일근로에 따른 수당은 어떻게 산정합니까?】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다만, 법에서 법정기준근로시간을 변형할 수 있는 경우가 있는데 탄력적근로시간제(근로기준법 제50조 제1항)나 선택적근로시간제 (근로기준법 제51조) 등이 있으며 근로시간계산의 특례라 하여 출장이나 외근이 잦은 근로형태에 있어 인정근로시간제를 도입할 수 있으며(같은법 제56조 제1항, 제2항), 업무의 특성상 근로시간을 근로자의 재량으로 하는 것이 효율적일 경우 재량근로시간제(같은법 제56조 제3항)를 도입할 수 있습니다.

기타 특수한 업종에 대해 연장근로의 한계인 1주 12시간을 초과하여 연장근로할 수 있게 하고 있는데 이는 근로기준법 제58조에서 정해지고 이와 같은 변형근로관련 법조항을 토대로 교대제근무가 시행될 수도 있습니다.

관련 노동법 조항에 대한 검색은 노동법령 검색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40시간근로 쟁취!>를 위한 저희 한국노총의 투쟁에 지지를 부탁드리며, 즐거운 하루되시길....

정남교 wrote:
> 안녕하십니까 수고하십니다 변형근로는 어떤경우에 해야하는지 일방적으로 사측에서 할수있는지 근로자가 반대를 했을 경우 연장수당을 받을수 있는지요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노조설립및 임금협상에 대해서... 2001.09.17 353
Re: 노조설립및 임금협상에 대해서... 2001.09.17 408
실업급여에 관하여(기간문제) 2001.09.17 526
Re: 실업급여에 관하여(기간문제)(12개월이내입니다.) 2001.09.17 510
연월차 수당에 대해서... 2001.09.17 381
Re: 연월차 수당에 대해서... 2001.09.17 435
해고수당은 얼마인가요? 2001.09.17 391
Re: 해고수당은 얼마인가요? 2001.09.17 876
연봉제일때 부당해고조치에 대한 지급금액 2001.09.17 355
Re: 연봉제일때 부당해고조치에 대한 지급금액 2001.09.17 424
권고제 사직에 대해서... 2001.09.17 347
Re: 권고제 사직에 대해서... 2001.09.17 377
복직이않되요 2001.09.17 443
Re: 복직이않되요 2001.09.17 502
퇴직금 관련 계산 법 문의 드립니다. 2001.09.17 409
Re: 퇴직금 관련 계산 법 문의 드립니다. 2001.09.17 902
실직자의 비애 2001.09.17 467
Re: 실직자의 비애 2001.09.17 444
권고사직에 관해... 2001.09.17 488
Re: 권고사직에 관해...(입사한지 1개월만에) 2001.09.17 1785
Board Pagination Prev 1 ... 5397 5398 5399 5400 5401 5402 5403 5404 5405 5406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