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10.25 10:34

안녕하세요. 문금석 님, 한국노총입니다.

월차유급휴가는 1월을 개근한 자에 대하여 당연히 발생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월차휴가대신 월차수당으로 대체지급하였다면, 퇴직전 3개월의 기간 개근하였다는 것을 전제로 이에 해당되는 수당액을 퇴직금 산정의 기초가 되는 평균임금에 산입한다는 것이 대법원의 견해입니다.

다음 대법원 판례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월차휴가수당은 1월을 개근한 자에 대하여 당연히 발생하는 것이므로 이는 1년간 적치하여 사용하거나, 분할하여 사용하거나 근로자의 자유의사에 따르게 되어 있으므로 그 지급시기 및 지급받을 자에 관하여 판시와 같이 제한하는 피고회사의 내규가 있다하더라도 이와 관계없이 원고들이 ""퇴직전 3개월""의 기간 개근을 하였다면 ""그에 해당하는 수당액""은 이를 퇴직금산정의 기초가 되는 평균임금계산에 산입하여야 마땅할 것이다.( 1982.11.23, 대법 81다카 1272 )

* 월차유급휴가의 경우 월차수당으로 대체지급하였다면 퇴직일 이전 3개월간에 지급(발생)된 금액을 산입하여 평균임금을 산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 1989.05.04, 임금 32240-6726 )

<주40시간근로 쟁취!>를 위한 저희 한국노총의 투쟁에 지지를 부탁드리며, 즐거운 하루되시길....

문금석 wrote:
> 안녕하세요.
> 여기저기 찾아보다가 적당한 답변이 없어서 질문 드립니다.
>
> 퇴직금 산정시 일반적으로 평균임금을 적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년차수당의 경우 3/12만큼을 적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
>
> 그런데 월차수당의 경우는 어떤식으로 포함시키는지 궁금합니다.
> 퇴직일로 부터 전 3개월동안 받은 월차수당의 1/3만큼을 평균월급여에 포함시키는건지,
> 퇴직일 전 1년동안 받은 월차수당 전체의 1/12만큼이 평균월급여에 포함되는거지 궁금합니다.
>
> 답변 부탁드리고요, 그럼 안녕히들 계십시요.
>
>
>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도와주세요. 매우어렵습니다 2001.10.28 486
Re: 도와주세요.(업무상재해로 장해가 남았을 때 장해급여는?) 2001.10.30 794
이런경우 최저임금 적용은? 2001.10.28 423
Re: 이런경우 최저임금 적용은? 2001.10.30 412
체불임금 고소 후 진행상황이... 2001.10.28 611
Re: 체불임금 고소 후 진행상황이... 2001.10.30 1568
회사에서 일어난 사고에 대한 책임범위 2001.10.28 428
Re: 회사에서(업무상 발생한 손해배상금을 배상해야 하나?) 2001.10.30 1113
실업급여와 산재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2001.10.27 413
Re: 실업급여와 산재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2001.10.30 1182
저희 아빠께서.. 2001.10.27 460
Re: 저희 아빠께서..(업무수행 중 교통사고의 사고처리) 2001.10.30 645
간부사원도(manager)도 노동조합구성원이될수있는지요 2001.10.27 461
Re: 간부사원도(manager)도 노동조합구성원이될수있는지요 2001.10.30 988
부당한 부서배치로 자진퇴직강요시 2001.10.27 1128
Re: 부당한 부서배치로 자진퇴직강요시 2001.10.30 949
미지급받은 체불건 2001.10.26 396
Re: 미지급받은 체불건 2001.10.29 794
Re: 미지급받은 체불건 2001.10.30 532
Re: 미지급받은 체불건 2001.10.30 324
Board Pagination Prev 1 ... 5358 5359 5360 5361 5362 5363 5364 5365 5366 5367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