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11.02 11:37

안녕하세요. 이동규 님, 한국노총입니다.

상여금이 단체협약, 취업규칙 기타 근로계약에 미리 지급조건 등이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평균임금을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때로부터 이전 12개월중(1년)에 지급받은 상여금 총액의 3/12을 평균임금산정 기초에 포함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 경우 퇴직시점에 따라 평균임금에 산입할 상여금액이 달라져 퇴직금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근로기준법 제28조 제2항에 정하고 있는 퇴직금차등제도로 볼 수 없다는 것이 노동부의 견해입니다.

다만, 1년간의 상여금 총액은 고정적이나, 그 지급시기가 바뀌므로 인하여 개정규정이 시행되는 첫해에는 퇴직시점에 따라 평균임금 산입 상여액수가 달라질 우려를 대비하여 1년간의 상여금 총액(450%)을 기준으로 3/12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상여금의 매월 평균치를 산입하는 취지를 고려할 때 타당하다 사료됩니다.

<주40시간근로 쟁취!>를 위한 저희 한국노총의 투쟁에 지지를 부탁드리며, 즐거운 하루되시길....

이동규 wrote:
> 안녕하십니까?
> 저희 회사는 상여가 450%로 정해져 있고, 이에 대한 지급방식은 2001년 1월까지는
> 450%중 200%는 년도중에 월할로 계산하여 지급하고, 나머지 250%는 익년도 1월에
> 지급하여 오다 2001년 2월부터는 450%중 300%는 년도중에 월할계산하여 지급하고
> 나머지 150%는 익년 1월에 지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습니다.
> 이로 인하여 퇴직금 지급을 위한 평균임금 산정시 상여산입여부에서 퇴직일자에 따라서
> 퇴직일 직전일로부터 역산하여 과거 1년안에 실질적으로 지급한 상여가 450%를 초과하는
>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럴경우 제도 변경으로 인하여 과거 1년간에 지급한 상여율이 정해진 450%를 초과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지급한 초과분도 평균임금에 산입하는지 아니면 정해진
> 450%만 지급하고 실질적으로 지급한 초과분에 대하여는 평균임금 산입에 포함하지 않아도
> 되는지 여부와 또한 반대로 정해진 450%에 부족할 경우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를 문의 드리오니
> 바쁘시더라도 답변 부탁드립니다.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Re: 제가(사용자가 채용시 정한 근로조건을 일방적으로 어긴 경우) 2001.11.06 451
이런경우에두 산업재해가 성립돼는 건가요? 2001.11.05 435
Re: 이런경우에두 산업재해가 성립돼는 건가요? 2001.11.06 401
출산휴가 90일. 2001.11.04 890
Re: 출(출산휴가시 건강보험과 국민연금의 보험료를 납부해야 하나?) 2001.11.05 4015
국민연금 2001.11.04 349
Re: 국민연금(국민연금의 근로자부담분) 2001.11.04 608
노조설립 2001.11.04 363
Re: 노조설립 2001.11.04 369
업무상 과실의 책임 2001.11.04 1043
Re: 업무상 과실의 책임 2001.11.04 716
서비스업에서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부당해고를 당했습니다. 2001.11.04 766
Re: 서비스업에서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부당해고를 당했습니다. 2001.11.05 678
평균임금에 대하여 2001.11.03 532
Re: 평균임금에(일용직 근로자의 산재보험법상 평균임금 계산방법) 2001.11.03 5230
근로계약변경으로 의료보험혜택을 못받게 되었습니다. 2001.11.03 505
Re: 근로계약변경으로 의료보험혜택을 못받게 되었습니다. 2001.11.03 614
최저임금 받을 수 있나요? ( 급함 ) 2001.11.03 391
Re: 최저임금(도급제근로자의 적용여부와 식대관련) 2001.11.04 1169
위로금 요구 2001.11.03 450
Board Pagination Prev 1 ... 5350 5351 5352 5353 5354 5355 5356 5357 5358 5359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