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yurise 님, 한국노총입니다.

1. 병역특례근로자라하더라도, 회사와의 관계는 일반근로자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병특근로자가 회사에서 재직하고 있던 기간동안은 근로기준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고, 1년 이상 근무하다 퇴사하였다면 계속근로연수에 대한 퇴직금(근로기준법 제34조)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근로기준법상 퇴직금제도는 상시근로자수 5인 이상인 사업장에 한하여 강제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남자친구분이 일하신 사업장에 근로자수가 5인 미만이었다면 회사가 퇴직금을 지급할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즉 남자친구분이 병특근로자라는 이유때문이 아니라, 사업장에 고용되었던 근로자수가 5인 미만이기 때문에 법정퇴직금제도에서 배제된다는 것이죠.

2. 그러나 입사시에 당사자간의 계약으로 퇴직금을 지급하기로 하였다면, 법에 의한 퇴직금은 아니지만 임의적인 약정퇴직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민사소송을 통하여야 하므로 퇴직금에 대하여 약정한 사실이 있음을 근로자측이 입증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만약 구두상으로 약정이 있었다면 밝혀내기가 쉽지는 않을 텐데 그렇다하더라도 동료근로자의 진술서나 전화녹음 등을 통하여 증빙자료를 확보한다면 가능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노동OK 55번 사례 【5인이하 사업장에서의 퇴직금은?】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40시간근로 쟁취!>를 위한 저희 한국노총의 투쟁에 지지를 부탁드리며, 즐거운 하루되시길....

yurise 님이 남기신 글:
:퇴직금에 관한 상담입니다..
:
:제 일은 아니고요.. 제 남친에 관련된 일입니다..
:
:제 남친이 99년 5월부터 01년 2월까지 병역특례업체에 다니게
:
:되었습니다.. 몸이 아파도 맘대로 결근할수 없고.. 여러가지로
:
:사직서를 제출하지 않은 상태에서 01년 2월에 회사를 관두게
:
:되었습니다.. 몇개월 뒤 병무청에서 입영통지서가 왔고..
:
:군에 가게 되었는데.. 회사 관둔지 1년이 넘었는데..
:
:아직 퇴직금이 안들어 왔다더군여..
:
:사직서를 제출하지 않고..5인 미만 사업체에 근무했는데..
:
:퇴직금 받을수 있을까여??
:
:빠른 답변 부탁 드립니다..^^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답변】정말 이래도(퇴직금 계산에 매월 고정적으로 지급받는 식... 2002.05.15 1521
【답변】 체불임금확인서와 근로감독관 2002.05.15 953
【답변】 체불임금 2002.05.15 325
【답변】정말 화가납니다..(노동부에 진정한지 3개월지 지나가는... 2002.05.15 758
【답변】 감시적,단속적 근로자의 범위 2002.05.15 1774
【답변】 밑의글수정 2002.05.15 378
【답변】 [임금체불] 이런경우의 해결방법은? 2002.05.15 325
【답변】 연봉제에대해서여(장시간근로 강요에 대한 대응) 2002.05.15 549
【답변】 통보15일((15일 전에 사직의사를 표하고 출근치 않았는... 2002.05.15 891
【답변】 연봉제 2002.05.15 371
【답변】 4가지 질문 2002.05.15 377
【답변】 전적전출과 호봉 조정 2002.05.15 1181
【답변】고용인턴제 아직 실시중인가요? 2002.05.14 402
【답변】이처럼 치사할수가 있을까요?(체불임금에 대한 진정을 취... 2002.05.14 519
산재휴직자의 연차는... 2002.05.14 724
연차 발생에 대하여 2002.05.14 462
도로교통재해 2002.05.14 367
【답변】출석요구를 받았는데여 2002.05.14 901
【답변】궁금해서여(체불임금으로 진정을 하였는데..) 2002.05.14 394
퇴직금을 받을수 있나요? 2002.05.14 387
Board Pagination Prev 1 ... 5058 5059 5060 5061 5062 5063 5064 5065 5066 5067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