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06.26 17:20

안녕하세요. 이정훈 님, 한국노총입니다.

1. 노동부 사실조사과정에 임할 때 제시할 수 있는 근로계약서나 임금계약서 등이 있다면 더할나위없이 좋겠지만, 그러한 약정문서가 없다하더라도 근로자가 사용자와 구두상 체결한 근로조건에 대해서 그 지급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다만, 그 과정에서 사업주가 오리발을 내밀거나, 그 약정사실에 대한 내용을 다르게 주장한다면 근로자는 약정했던 사실관계를 입증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업주도 자신의 주장을 입증할 근거가 없는 것은 마찬가지이므로, 근로자는 가능한 일관된 질술을 할 수 있도록 몇가지를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상여금이나 임금 관련 사항에 대하여 구두상 약정한 금액을 아는 동료근로자나 퇴직한 근로자가 있다면 그에 대한 진술서를 받아두는 것이 좋으며, 사업주와의 대화내용을 녹음해두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근로자가 직접 기억을 더듬어 구두상 약정했던 사항을 기록하고 실제 지급받은 금액과의 차액, 그리고 미지급금액 등을 명세서로 만드는 노력도 필요합니다.

3. 근로기준법에 따른 퇴직금산정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노동OK 43,44,45번 사례와 7,8,9번 사례를 참고하시기 바라며, <노동자료실>에 등록된 퇴직금 자동계산기 을 다운받아 직접계산해보세요.

문제가 슬기롭게 풀리기를 바랍니다.

<주40시간근로 쟁취!>를 위한 저희 한국노총의 투쟁에 지지를 부탁드리며, 즐거운 하루되시길....

이정훈 님께서 남기신 상담글입니다.
: 곧 노동사무소로 출석을 해야 되는데요
: 근무기간은 1년 4개월정도이구요..임금체불(3개월)과 퇴직금및 상여금미지급으로 진정을 했습니다.
: 근데 제가 가진 자료라곤 체불전 3개월동안의 월급명세서뿐이라서요,,,
: 그리고 체불된 기간이 연봉협상을 한 이후의 기간이라....
: 퇴직금이 얼마나 되는 지도 모르구요,상여금도 처음받을 예정이었던상여금이라 역시 정확한 금액을 모릅니다.
:
: 어떤자료를 준비해야 될까요
:
: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퇴직금에 관하여.. 2003.04.19 313
퇴직금 관련 질문 입니다. 2003.04.24 313
이런 인센티브 제도 (2번째) 2003.05.06 313
【답변】 궁금 한데요 2003.05.13 313
★돈을 어떻게 받을쑤 있을까요/?★ =^0^= 2003.06.25 313
【답변】 산재처리관련..... 2003.09.18 313
【답변】 추가질문이여 2003.09.25 313
【답변】 상담좀 해주세요~~ 2003.12.05 313
☞억울합니다..답변 해주세요 2004.01.25 313
다시 문의 드려요. 답변이 없어서... 2004.02.06 313
부당해고 판정을 받았는데여.. 2004.02.11 313
다시 질문 드립니다..아래42605번 2004.07.08 313
답변부탁드립니다. 2005.01.06 313
실업급여문의 2006.02.03 313
휴일·휴가 퇴직 시 연차 계산 1 2020.04.29 313
휴일·휴가 2020년 2월1일 고용보험 상실시 발생 연차 갯수 1 2020.04.01 313
임금·퇴직금 주15시간 미만근무도중에 주15시간 이상 근무계약시 퇴직금 문의 2024.03.08 312
휴일·휴가 연차수당 2024.02.08 312
근로계약 근로계약 갱신기대권 여쭤봅니다. 1 2024.02.01 312
임금·퇴직금 단기 급여 일할 계산 1 2023.06.01 312
Board Pagination Prev 1 ... 5408 5409 5410 5411 5412 5413 5414 5415 5416 5417 ... 5861 Next
/ 58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