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07.03 14:59

안녕하세요. 궁금이 님, 한국노총입니다.

1. 실업급여는 근로자가 "어쩔 수 없는 사정에 의해" 직장을 상실하게 되었을 때 다른 직장을 구하는데 필요한 일정의 보조금을 지급하고자 하는 취지이므로, 근로자가 순수하게 개인적인 사정(전직, 학업, 자영업 등) 으로 이직하는 것은 수급의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그렇다면 "어쩔 수 없는 사정"이라고 하는 판단이 필요하게 되는데, 해고(근로자의 중과실에 의한 해고는 해당되지 않음) 또는 정당한 자기사정에 의한 사직이라면 수급자격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2. 1) 귀하가 해고를 당한다면 그것이 귀하의 중과실에 의한 징계해고가 아닌 이상 실업급여를 수령하실 수 있는 이직사유에 해당하게 되고, 2) 귀하의 질병에 의한 것으로써 담당한 업무를 정상적으로 수행하기가 불가능 또는 곤란하여 이직하는 경우에는 정당한 자기사정에 의한 사직에 해당되어 실업급여를 수급할 수 있습니다.(이 때는 의사의 소견서나 진단서가 증거로써 필요합니다.)

노동부 고시 제2002-1호(2002.1)【구직급여수급자격제한기준】중 실업급여 지급사유에는 이직사유를 사례별로 명시하여 실무상 고용안정센터에서 판단의 근거로 사용하고 있으니 그 내용을 【이곳】에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실업급여는 평균임금의 50%를 지급받게 되는데, 그 구체적인 액수와 계산방식에 대해서는 【실업급여-얼마동안, 얼마를 지급받습니까? (기간과 금액)】 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타 실업급여에 관한 자세한 해설은 【실업급여 해결방법】 코너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실업급여에 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관할 고용안정센터에 문의하시면 보다 친절하고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전국고용안정센터는 【이곳】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주40시간근로 쟁취!>를 위한 저희 한국노총의 투쟁에 지지를 부탁드리며, 즐거운 하루되시길....

궁금이 님께서 남기신 상담글입니다.
> 저는 작년 10월 부터 계약직으로 콜센타에 근무하고있습니다.
> 그런데 올해 4월부터 직업상 목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이라 목이 아프고 목소리가 쉬고 잘 나오지않게 되어 병원에 가니 말을 하지말고 쉬어야한다고 하여 5월 1개월은 병가로 휴식을 취하고 6월달에도 상태가 안좋아 6월에는 한달 휴직을 하였습니다.
> 7.2일 다시 출근 했으나 마찬가지로 전화를 서너통화 받고나면 또다시 목이 잠기고 목소리가 나오지 않아 회사에서 요구하는 업무수행을 할수없기에 그만두려고 회사에 실업급여를 받을수 있는 사유가 되냐고 하자 안된다고 하였습니다.
> 그래서 제가 이 사이틀에서 조회해 보니 체력의 부족, 질병 등의 사유로 업무수행이 불가하여 이직한 경우는 해당이 되는것으로 나와있는데 맞는건가요?
> 그리고 1년계약직이라 계약기간이 만료되는 10월에는 받을수 있는것으로 알고있는데요. 만약 그이전에 회사에서 해고를 당해도 받을수 있나요
> 또 지급이 가능하다면 임금계산시 인센티브(성과에따라 지급)도 포함이 되는건가요
> 답변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법인이 망했을 경우 체불임금은.. 2002.07.06 729
2년전에 못받은 월급도 받을 수 있나요? 2002.07.06 563
★도와주세요! 2002.07.06 347
*직장상사간의 개인적인 문제로 피해를 봤습니다. 2002.07.06 481
[진정서 낸 이후..] 2002.07.06 377
단체협약 재체결 2002.07.06 487
궁금합니다. 2002.07.06 326
근로자인지 사업자인지 2002.07.05 349
17464의 재질문!! 2002.07.05 329
【답변】 이럴줄이야...(무단퇴사라고 주장하면서 퇴직금을 지급... 2002.07.05 524
【답변】 초과근무수당...?(월급제근로자의 연장근로에 대한 수당... 2002.07.05 1807
【답변】 부당해고의 여부 2002.07.05 380
【답변】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 2002.07.05 459
계약직 근무자에게 유급휴가는 없나요? 2002.07.05 807
【답변】 몇달이나 지났는데~ 2002.07.05 383
【답변】 이런 경우 실업급여 받을수 있는지????? 2002.07.05 636
【답변】 단시간 근로자의 휴일근로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2002.07.05 1225
퇴직금 산정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2002.07.05 344
모르는게 병이지요 2002.07.05 348
건설현장 채용 임시직근로자의 계속근로 2002.07.05 546
Board Pagination Prev 1 ... 5000 5001 5002 5003 5004 5005 5006 5007 5008 5009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