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12.27 10:40

안녕하세요. digitl 님, 한국노총입니다.

1. 근로기준법 제59조 제2항 단서에서 정하고 있는 바는, 근로자의 계속근로 1년에 대하여 가산되는 1일의 연차휴가부여(=가산휴가)의 예외라 할 수 있습니다. 연차휴가는 원칙적으로는 2년 이상 계속근로한 근로자에 대하여 1년을 초과하는 근속에 1일의 가산유급휴가가 주어져야 하나, 기본적으로 발생하는 휴가일수(만근시 10개, 9할 이상 출근히 8개)와 가산휴가를 합한 휴가의 총일수가 총 20일을 초과할 경우에는 그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휴가청구권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곧바로 수당청구권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2. 이를 "연차유급휴가의 환가"라 하고, 이 때 지급되는 통상임금을 "연차휴가대체수당"이라고 합니다. 이는 연차가 유급휴가이기 때문에 쉬더라도 지급되는 임금(평균임금 또는 통상임금)과는 별도로 지급되는 것으로써, 20을 초과하는 연차휴가일수에 대해서는 통상임금을 지급하고 일을 시킬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관련 노동법 조항에 대한 검색은 노동법령 검색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40시간근로 쟁취!>를 위한 저희 한국노총의 투쟁에 지지를 부탁드리며, 즐거운 하루되시길....

digitl 님께서 남기신 상담글입니다.
> 연차휴가 일수에 대하여 궁금한 사항이 있어 상당을 요청합니다.
>
> 근로기준법 제59조 제2항의 단서에서 가산휴가의 제한규정을 두고 있는데, 휴가의 총일수가 20일을 초과할 경우에는 그 초과하는 일수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을 지급하고 유급휴가를 주지 않을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
> 1) "그 초과하는 일수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을 지급하고 유급휴가를 주지 않을 수 있다"라는 의미를
> 잘 모르겠습니다. 따라서 명쾌한 해석을 부탁드립니다.
>
> 2) 연차휴가 일수에 대한 상한선을 설정하여 연차휴가수당을 지급하려 하는데
> 상한설 설정이 가능한지요?
> 예) 연차일수가 38일인 경우 처리 방안은?
>
> * 바쁘시겠지만 빠른 답을 부탁드립니다.
>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일용직-초과근로수당 및 퇴직금 등 문의 2002.12.27 778
【답변】 일용직-초과근로수당 및 퇴직금 등 문의 2002.12.30 1519
약속한 임금을 지급하지 않았어요.+ 2002.12.27 370
【답변】 약속한 임금을 지급하지 않았어요.+ 2002.12.30 484
밀린월급을 안줘.. 소송을 걸려합니다.. 2002.12.27 691
【답변】 밀린월급을 안줘.. 소송을 걸려합니다.. 2002.12.30 880
임금채권보장제도로 체불된 임금받을때 궁금한점이있습니다. 2002.12.27 353
【답변】 임금채권보장제도로 체불된 임금받을때 궁금한점이있습... 2002.12.30 430
부당해고!! 2002.12.27 385
【답변】 부당해고!! 2002.12.30 357
해고인데 해고가 아니었다고 합니다... 2002.12.27 359
【답변】 해고인데 해고가 아니었다고 합니다... 2002.12.30 349
고용보험상실과 임금지불문제(관련없을지도모르지만 법률에 있는... 2002.12.27 441
【답변】 고용보험상실과 임금지불문제(관련없을지도모르지만 법... 2002.12.30 405
임금에 관해... 2002.12.27 325
【답변】 임금에 관해... 2002.12.30 341
도와주세요! 2002.12.27 328
【답변】 도와주세요! 2002.12.30 375
서류 제출시 법적 효력을 가질려면 어떻게 해야 되나요?? 2002.12.27 587
【답변】 서류 제출시 법적 효력을 가질려면 어떻게 해야 되나요?? 2002.12.30 514
Board Pagination Prev 1 ... 4700 4701 4702 4703 4704 4705 4706 4707 4708 4709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