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04.30 14:54
안녕하세요. adios 님, 한국노총입니다.

1. 상여금은 취업규칙, 단체협약 또는 근로계약에 미리 지급조건 등이 명시되어 있거나 관례로서 정기적, 고정적인 요건을 충족하여 계속 지급되어온 것이 인정된다면 단지 호의성 금품이 아니라 "근로제공에 대한 대가(=임금)"이라고 해석합니다. 회사의 상여금 제도가 관련 규정 또는 관행에 근거하여 일정금액 또는 일정비율로 일정한 기간마다 고정적, 정기적으로 지급된 것이라면 별도의 정함이 없는 한 근로제공기간에 대한 상여금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2. 이 경우 상여금 지급대상자를 "각 지급기간의 말일 현재 재직중인 자"로 정하였더라도 이를 상여금 지급기간 중간에 퇴직한 자에 대해 그 근무기간에 해당하는 상여금으리 지급을 배제하는 특별한 규정으로 볼 수 없다는 판례가 있습니다.

참고>

- 일정비율의 금액이 상여금으로 정기적으로 지급되어 왔다면 이는 그 명칭여하를 불문하고 모두 정기일 지급임금의 성격을 띈 것으로 볼 것이므로 특별히 다른 정함이 없는 한 상여금 지급기간 만료 전에 퇴직한 근로자에 대하여도 이미 근무한 월수에 해당하는 상여금이 지급되어야 할 것이고(대법원 1981.11.24 선고 81다카174 판결 참조), 비록 피고 회사 사장이 매기마다 상여금 지급대상자를 각 지급기간의 말일 즉 6월말일 또는 12월말일 현재 재직 중인 자로 정하여 그 지급기준을 시달하여 왔다 할지라도이러한 지급기준이 곧 상여금 지급기간의 중간에 퇴직한 자에 대한 그 근무기간에 해당하는 상여금의 지급을 배제하는 특별한 규정이라고 볼 수는 없다 할 것이다.(1982. 4. 13 대판 81 다카 137)

3. 그러나 위 판례는 노동부 행정해석과는 견해를 달리하는 것으로써 노동부는 관련규정이나 관행에 의해 "재직중인 자에 한하여 상여금을 지불한다."고 명시하였다면 지불일보다 먼저 퇴직한 근로자에게는 상여금을 제한하더라도 위법이라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상여금에 대하여 어떠한 조건을 붙일 것인지, 조건을 어느 정도 붙일 것인지는 노사의 자율적 의사결정에 맡겨져 있는 것이므로 "상여금 지급일 현재 재직중인자에 한한다"고 규정하였다면 그 자체로 일단 유하다는 것이죠..

4. 결국 노동부 선에서는 상여금 제한규정이 인정될 가능성이 크고, 법원에 소송이 제기되면 노동부의 판단이 뒤짚힐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이는 일률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며, 회사의 상여금 관련 제도의 규정과 취지, 관행을 종합하여 판단해야할 것으로 보여, 무자르릇 속시원히 답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라 사료됩니다. 이와 관련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노동OK 6번 사례 【상 여 금】 상여금 지급 예정일 전에 퇴직한 경우, 상여금을 못받나요?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이상 노동OK입니다. 즐거운 하루되시길....

adios 님께서 남기신 상담글입니다.
> 먼저 감사말씀 드리며 문의드립니다.
>
>
> 사측의 체불임금 관련건으로 현재 노동청에 진정서를 내고
> 담당 근로감독관이 사측에 대하여 실사를 한 상태입니다.
> 위 체불임금은 미지급된 상여로 이는 연봉에 포함되는
> 즉, 급여의 명분을 갖고 있는 상여임을 우선 말씀드립니다.
>
> 문의 드릴 사항은 체불임금 금액 범위인데요.
>
> 연봉 계약상 3,6,9,12월 각각 200%, 설과 추석에 각각 100%씩
> 총 1000%의 상여가 지급되어야 하며
> 급여일은 매월 25일, 상여일은 해당하는 월에 급여와 함께 지급되어 왔습니다.
>
> 그런데 미지급된 내용은 9월100%, 11월100%, 12월200% 로 총400% 이며
> 당시에는 경영난의 이유로 사측에 입장에 맞춰 불규칙하게 지급했습니다.
>
> 그런데 사원중 한 사람의 퇴사일자가 12월22일 이라는 점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 12월25일(급여일) 전에 퇴사하여 12월 상여 200%가 해당되느냐의 문제입니다.
>
> (*) 1개월중 2/3 이상 출근했을때 월급여를 100% 지급되는 경우처럼
> 이 경우에도 200%가 다 적용되어야 맞지 않을까요.
>
> (*) 혹은 명목상 '성과상여'라는 점을 감안할때 근무일까지 일자 계산을 해서라도
> 미지급된 금액을 지급해야 하는 것이 아닌지요.
>
>
> 제가 불명확하게 질문 드렸다면 말씀해주세요.
> 다시 정리해서 질문 드리겠습니다.
>
> 그럼 답변을 부탁드리겠습니다.
>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이럴땐 어떻게 해야 하나요? 2003.05.01 361
【답변】 이럴땐 어떻게 해야 하나요? 2003.05.06 399
이런 일도 성 희롱에 해당되는지 2003.05.01 392
【답변】 이런 일도 성 희롱에 해당되는지 2003.05.06 439
사업체 명의변경금지 신청... 2003.05.01 541
【답변】 사업체 명의변경금지 신청... 2003.05.06 816
이런경우도 산제처리를 받을 수 있나요???? 2003.05.01 568
【답변】 이런경우도 산제처리를 받을 수 있나요???? 2003.05.06 760
연봉제에서 실업급여 수급 방법? 2003.05.01 691
【답변】 연봉제에서 실업급여 수급 방법? 2003.05.06 1142
연수비 환불과 주식대금 관련 문의 2003.05.01 383
【답변】 연수비 환불과 주식대금 관련 문의 2003.05.05 608
사모 앞으로된 제산을 어쩔수 없는 것인지 도와주세요,,, 2003.05.01 410
【답변】 사모 앞으로된 제산을 어쩔수 없는 것인지 도와주세요,,, 2003.05.02 707
한달을 채우지 못하고 퇴사시에 급여 및 퇴직금 문제 2003.05.01 3182
【답변】 한달을 채우지 못하고 퇴사시에 급여 및 퇴직금 문제 2003.05.02 3913
실업급여를 받으수 있는지... 2003.05.01 393
【답변】 실업급여를 받으수 있는지... 2003.05.02 452
야간 근로만 하는 정규근무자 2003.05.01 390
【답변】 야간 근로만 하는 정규근무자 2003.05.02 444
Board Pagination Prev 1 ... 4467 4468 4469 4470 4471 4472 4473 4474 4475 4476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