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06.20 15:56
안녕하세요. ms781220님, 한국노총입니다.

1. 사용자가 취업규칙을 불이익하게 변경하는 경우 1) 근로자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다면 그 노동조합, 2) 그러한 노동조합이 없다면 근로자 과반수의 동의를 얻어야 합니다. "2)"의 경우, 단순히 동의서를 돌려서 서명받는 식은 인정되지 않으며, 반드시 회의형식 또는 집단적 의사결정방식을 통한 동의여야 합니다. 다만, 모든 근로자가 한자리에 모이기 힘든 경우에는 기구별 또는 단위부서별로 사용자측의 개입이나 간섭이 배제된 상태에서 근로자 사옿간에 의견을 교환하여 찬반의견을 집약한 후 이를 전체적으로 취합하는 방식도 허용됩니다.

2. 한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위원이 위 "근로자대표"가 될 수 있는지가 문제되는데.. 노사협의회의 근로자위원에게 근로자 과반수 이상의 자유의사에 의해 취업규칙의 불이익변경에 관한 동의권을 위임한 것이 아니라면 동의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다시 말해서 노사협의회 근로자 위원은 원칙적으로는 근로자 대표가 될 수 없으나 근로자 과반수가 동의권에 대한 위임자을 작성하여 주었다면 근로자 대표로서 동의권행사를 할 수 있다는 것이고, 그러한 위임행위가 없다면 근로자 대표가 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참고>

-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 과반수의 동의를 받아야 하며, 근로자참여및협력증진에관한법률에 의한 근로자위원은 같은법 제4장에 의한 임무를 수행하는 자로서 근로기준법상 취업규칙의 불이익 변경에 대한 동의권을 가진 자로 볼 수 없음. 다만 근로자의 과반수가 자유의사에 기하여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에 대한 동의권을 근로자위원에게 위임하였다면 그 근로자위원은 근로기준법상 취업규칙의 불이익 변경에 대한 동의권을 가진 자로 볼 수 있음.(1999.9.1, 근기 68207-2144)

이상 노동OK입니다. 즐거운 하루되시길....

ms781220 님께서 남기신 상담글입니다.
> 노사협의회가 있는 경우
> 취업규칙 변경시 이 협의회의 의견청취, 동의로 변경이 가능한지..
> 즉, 노사협의회를 취업규칙 시행규칙 제17조의 "근로자의 과반수를 대표하는 노동조합"으로 간주할 수 있는지요....
>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취업면접 후 합격 통보를 받았는데.. 2003.06.21 3133
【답변】 취업면접 후 합격 통보를 받았는데..(채용내정 단계에서... 2003.06.23 6034
체불임금 및 퇴직금에 관하여 2003.06.21 462
【답변】 체불임금 및 퇴직금에 관하여(임금채권보장제도) 2003.06.23 678
제가 실업급여를받을수있을지 2003.06.21 424
【답변】 제가 실업급여를받을수있을지 2003.06.23 354
실업급여 수령에 대해서... 2003.06.21 366
【답변】 실업급여 수령에 대해서... 2003.06.23 705
취업규칙 해석(산전후출산휴가) 2003.06.21 1057
【답변】 취업규칙 해석(산전후유급휴가를 총 90일을 유급휴가로 ... 2003.06.23 1016
급)부당해고관련문의드립니다.. 2003.06.21 374
【답변】 급)부당해고관련문의드립니다..(차량이 없다는 이유로 ... 2003.06.23 393
육아휴직 신청을 않받아주면 어떻게 하죠? 2003.06.21 888
【답변】 육아휴직 신청을 않받아주면 어떻게 하죠? 2003.06.23 876
근로년수에 관하여 2003.06.21 410
【답변】 근로년수에 관하여(퇴직금발생 요건 중 계속근로연수 1... 2003.06.23 707
급여명세서..의문점. 2003.06.21 423
【답변】 급여명세서..의문점(직장건강보험은 1인 이상 근로자 사... 2003.06.23 1007
계속근로에 의한 연차휴가 부여 2003.06.21 359
【답변】 계속근로에 의한 연차휴가 부여 2003.06.23 455
Board Pagination Prev 1 ... 4383 4384 4385 4386 4387 4388 4389 4390 4391 4392 ... 5861 Next
/ 58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