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06.20 15:56
안녕하세요. ms781220님, 한국노총입니다.

1. 사용자가 취업규칙을 불이익하게 변경하는 경우 1) 근로자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다면 그 노동조합, 2) 그러한 노동조합이 없다면 근로자 과반수의 동의를 얻어야 합니다. "2)"의 경우, 단순히 동의서를 돌려서 서명받는 식은 인정되지 않으며, 반드시 회의형식 또는 집단적 의사결정방식을 통한 동의여야 합니다. 다만, 모든 근로자가 한자리에 모이기 힘든 경우에는 기구별 또는 단위부서별로 사용자측의 개입이나 간섭이 배제된 상태에서 근로자 사옿간에 의견을 교환하여 찬반의견을 집약한 후 이를 전체적으로 취합하는 방식도 허용됩니다.

2. 한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위원이 위 "근로자대표"가 될 수 있는지가 문제되는데.. 노사협의회의 근로자위원에게 근로자 과반수 이상의 자유의사에 의해 취업규칙의 불이익변경에 관한 동의권을 위임한 것이 아니라면 동의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다시 말해서 노사협의회 근로자 위원은 원칙적으로는 근로자 대표가 될 수 없으나 근로자 과반수가 동의권에 대한 위임자을 작성하여 주었다면 근로자 대표로서 동의권행사를 할 수 있다는 것이고, 그러한 위임행위가 없다면 근로자 대표가 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참고>

-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 과반수의 동의를 받아야 하며, 근로자참여및협력증진에관한법률에 의한 근로자위원은 같은법 제4장에 의한 임무를 수행하는 자로서 근로기준법상 취업규칙의 불이익 변경에 대한 동의권을 가진 자로 볼 수 없음. 다만 근로자의 과반수가 자유의사에 기하여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에 대한 동의권을 근로자위원에게 위임하였다면 그 근로자위원은 근로기준법상 취업규칙의 불이익 변경에 대한 동의권을 가진 자로 볼 수 있음.(1999.9.1, 근기 68207-2144)

이상 노동OK입니다. 즐거운 하루되시길....

ms781220 님께서 남기신 상담글입니다.
> 노사협의회가 있는 경우
> 취업규칙 변경시 이 협의회의 의견청취, 동의로 변경이 가능한지..
> 즉, 노사협의회를 취업규칙 시행규칙 제17조의 "근로자의 과반수를 대표하는 노동조합"으로 간주할 수 있는지요....
>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답변을 주십시요. 2003.06.23 329
【답변】 답변을 주십시요.(징계위원회를 열지 않은 해고의 정당성) 2003.06.24 561
계약만기로인한 실직급여관련건 2003.06.23 525
【답변】 계약만기로(계약직의 산전후휴가와 계약기간만료를 이유... 2003.06.24 2953
퇴사한지 한달이 되가는데 급여를 받지못하고 있습니다. 2003.06.23 524
【답변】 퇴사한지 한달(돈이 없다고 못준다고 버티는 사용자) 2003.06.24 554
이직확인서에 관하여.. 2003.06.23 442
【답변】 이직확인서에 관하여.. 2003.06.24 564
휴게시간에 대하여 알고싶습니다. 2003.06.23 612
【답변】 휴게시간(휴게시간은 근로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2003.06.24 968
퇴직금에 관하여,. 2003.06.23 487
【답변】 퇴직금에 관하여,.(미지급된 상여금을 평균임금에 산입... 2003.06.24 600
성과급 수령자의 실업급여... 2003.06.23 772
【답변】 성과급 수령자의 실업급여... 2003.06.23 620
임금체불 관련 대표이사 월급 가압류에 대해.. 2003.06.23 1179
【답변】 임금체불 관련 대표이사 월급 가압류에 대해.. 2003.06.23 1944
구직활동... 2003.06.23 733
【답변】 구직활동...(인터넷을 통해 이력서를 제출한 경우 적극... 2003.06.23 2235
중도퇴사시 상여금 지급방법 2003.06.23 2236
【답변】 중도퇴사시 상여금 지급방법 2003.06.23 1862
Board Pagination Prev 1 ... 4384 4385 4386 4387 4388 4389 4390 4391 4392 4393 ... 5864 Next
/ 5864